심장·뇌·콩팥에 약물 전달 가능한 '나노입자' 나왔다

입력
기사원문
박정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KAIST
다양한 장기로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을 담은 연구 성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속표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장기에 직접 약물을 전달하는 나노의약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간, 비장, 폐와 같이 비정상적인 단백질을 분해하는 세포(대식세포)가 활발히 활동하는 일부 장기에만 약물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콩팥, 심장, 뇌와 같은 장기에도 약물을 전달할 수 있어 다양한 장기에 발생한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전상용 생명과학과 교수와 이희승 화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장기로 약물을 전달하는 새로운 인공 나노입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다섯 가지의 단당류 단위체를 기반으로 조합적인 패턴을 구현해 인공 탄수화물 나노입자(GlyNP) 수십 종을 합성했다. 체내에서 다양한 생물학적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단당류 단위체를 모사해 인공 나노입자를 만들어낸 것이다.

연구팀은 이어 합성된 인공 나노입자를 분석해 간, 신장, 비장, 폐, 심장, 뇌에 적용할 수 있는 나노입자 후보군을 선별했다. 간, 신장, 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나노입자 후보군이 해당 장기 내에서 각각 간세포, 신장 상피세포, 대식세포를 표적으로 삼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특성은 해당 장기에 생긴 질병을 더욱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전상용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약물 전달 기술을 사용하면 독성을 낮추고 효능을 크게 올릴 수 있어 기존에 가능하지 않았던 장기별 질병 치료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온라인판에 지난달 15일 온라인 게재됐다. 제30회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생명공학 & 생명과학 분야에서 은상을 수상하며 장기별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제시한 성과로 인정받았다.

장기 선택적 인공 탄수화물 나노입자(GlyNPs) 선별 및 평가 모식도. KAIST 제공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