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t remove location and memory (KOR)

입력
수정2024.05.13. 오전 10:33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KIM HYUN-YE
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It was something unimaginable when he was a college student playing guitar in a jazz band. He never thought he would speak up to combine art and technology for a social cause. Akitsugu Maebayashi, 59, is a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Advanced Media Arts and Sciences in Japan. He revived the memorial monument in memory of Koreans in the Gunma Prefectural Forest Park, which was destroyed by the prefecture.

This is how the professor revived the monument. First, download the app on a smartphone or tablet. Then, run the app and point at the site where the monument had been. The old monument will reappear as an augmented reality (AR)-based memorial. Why did Maebayashi create the app? On May 8, I talked with him on Zoom over his project.

“I knew the existence of the memorial in the Gunma Forest, but reading the news of the demolition of the memorial, I came up with the idea.” After the prefecture removed the monument, which was built by local residents in 2004, with heavy equipment in January, the professor began thinking about whether there was anything he could do. He wanted to use technology and started to consult with artists and professors he knew. As the monument was already destroyed, he chose to use its videos and photos online. He found people who could reproduce the monument with AR technology and released the app with his own money.

In terms of technology, the app can make the monument appear anywhere. But the professor thought that location was important. “The monument in Gunma Forest is gone, but the location of the monument cannot be erased.” He wants to convey the message that even though Gunma Prefecture destroyed the monument, it could not wipe it out from people’s memories as long as the site remains.

Civic groups erected the monument 20 years ago in memory of the Korean laborers forced to work at mines and military factories in Gunm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onument had an inscription, “Memory, Reflection and Friendship.” It contained the wishes from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that friendship can bloom between the two when the sad history is acknowledged. There are 150 monuments for Koreans across Japan. The monument in Gunma Forest is the only one that was forcibly removed.

In June, Gunma Prefecture Governor Ichita Yamamoto and Korean Ambassador to Japan Yun Duk-min will meet. It is the time for diplomacy. I hope the governor will remember what the professor said. “A man-made object may disappear, but location and memory cannot be erased.”

사라지지 않는 장소
김연예 도쿄 특파원

재즈밴드에서 기타 연주를 하던 대학생 시절엔 상상도 못 했던 일이었다. 사회에서 벌어지는 일에, 그것도 예술에 기술을 더한 방식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게 될 줄 말이다. 마에바야시 아키쓰구(59) 일본 정보과학예술대학원대학 교수다. 그는 군마현에 의해 최근 산산조각 나 사라진 군마의 숲 조선인 추도비를 되살려냈다. 소생 방법은 이렇다. 우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앱을 내려받는다. 원래 추도비가 있던 군마의 숲 자리로 가서 앱을 실행해 비추면 추도비가 예전 모습 그대로 떠오른다. '증강현실(AR) 조선인 추도비’다. 그는 왜, 이런 앱을 만들었을까. 지난 8일 저녁, 줌으로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군마의 숲에 추도비가 있다는 건 ‘정보’로는 알았어요. 그런데 눈에 보이는 형식으로 철거가 이뤄진 것이 이 아이디어를 내게 된 큰 계기였어요.” 2004년 시민들의 손으로 군마의 숲에 세워졌던 비석을 군마현이 지난 1월 말 중장비로 부서뜨린 뒤, 그는 뭔가 할 수 있는 것이 없을까 고민하기 시작했다. ‘기술을 사용해보자’는 생각에 알고 지내던 작가, 교수들과 상의를 나갔다. 이미 무너지고 없는 추도비. 인터넷에 널려있는 영상과 사진들이 원재료가 됐다. 그는 AR 기술로 재현해내는 사람들을 찾아냈고, 사비를 들여 이번 추도비 앱을 내놨다.

사실 기술적으로만 보면 앱을 사용해 추도비를 집 안 거실에서도 세워볼 수도 있고, 거리에서도 세워볼 수 있었다. 하지만 마에바야시 교수가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군마의 숲’이라는 장소. “군마의 숲 조선인 추도비는 사라지고 없지만, 오랜 시간 추도비가 있던 장소까지 지워버릴 수는 없다”고 했다. 추도비 장소가 남아있는 한, 군마현이 추도비를 산산조각내더라도 추도비를 사람들의 기억에서 없애버릴 수 없다는 메시지를 담은 셈이다.

20년 전, 시민단체들은 일제강점기 시절 군마의 광산, 군수공장에 동원됐던 조선인 노동자들을 기리기 위해 비를 세웠다. “기억 반성 그리고 우호”라는 문구도 새겨넣었다. 부의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어야 이웃 국가인 두 나라의 우정이 싹틀 수 있다는 양 국민의 염원을 담았다. 일본 전역에 있는 조선인을 위한 비는 약 150개. 이렇게 강제로 철거된 비는 군마의 숲 추도비가 유일하다.

이르면 오는 6월 야마모토 이치타 군마현지사와 윤덕민 주일 한국대사와의 만남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른바 외교의 시간이다. 1년을 조금 넘긴 한·일 관계 개선 얘기까지 가지 않더라도 마에바야시 교수의 말은 기억해주길 바란다. “사람이 만든 물건은 사라져도, 그것이 있던 장소와 기억까지 지울 수는 없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