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4월27일 판문점에서 남북 정상이 회담을 열었다. 사진은 군사분계선에서 처음 만나 악수를 하는 당시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한국공동사진기자단)
2018년 4월27일 판문점에서 남북 정상이 회담을 열었다. 사진은 군사분계선에서 처음 만나 악수를 하는 당시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한국공동사진기자단)

2018년 4월27일. 분단사상 최초로 남북 정상이 판문점에서 회담을 열었다. 세계의 이목이 쏠린 가운데 두 정상이 손을 맞잡고 분단선을 넘어서는 순간은 세기의 장면으로 남았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대화의 물꼬를 텄다. 4월27일 정상회담 후 두 정상이 직접 발표한 판문점선언은 국내는 물론 해외를 흥분시켰다. 완전한 비핵화와 남북관계의 획기적 개선 등 합의사항이 담겼기 때문이다. 그해에만 남북정상회담이 세 차례 열리고 첫 북미정상회담까지 성사되면서 '한반도의 봄'을 기대하게 했다.


세계가 주목한 순간… '평화의 시대, 역사의 출발점에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손을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사진은 판문점에서 손을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측 지역에 갔다 다시 남측지역으로 향하는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손을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사진은 판문점에서 손을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측 지역에 갔다 다시 남측지역으로 향하는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한국공동사진기자단)

2018년 4월27일 오전 9시30분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의 폭 50㎝, 높이 5㎝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마주 섰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환하게 웃으며 반갑게 악수했다.

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을 가볍게 넘었다. "저는 언제쯤 넘어갈 수 있겠습니까?" 문 대통령의 물음에 김 위원장이 "그럼 지금 넘어가볼까요"라고 답했다. 남북 정상은 서로 손을 맞잡고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1953년 정전선언 후 66년 동안 단 한 번도 본 적 없던 장면이 탄생한 순간이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오전 10시15분부터 판문점 남쪽 구역 '평화의집'에서 회담했다. 회담에 앞서 김 위원장은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건네준 펜으로 '새로운 역사는 이제부터. 평화의 시대, 력사의 출발점에서. 김정은 2018. 4.27'이라고 방명록에 적었다.


이후 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너무나 쉽게 넘어온 역사적인 이 자리까지 11년이 지났는데 잃어버린 11년이 아깝지 않게 해야 한다"고 소감을 말했다.

분단 상징 '도보다리'서 단독회담… '파격의 30분'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도보다리를 거닐며 예정에 없던 공개 밀담을 30분 동안 나눴다. 사진은 도보다리 위에서 담소를 나누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도보다리를 거닐며 예정에 없던 공개 밀담을 30분 동안 나눴다. 사진은 도보다리 위에서 담소를 나누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한국공동사진기자단)

김 위원장은 오전 회담을 마치고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쪽으로 돌아갔다. 두 정상은 각자 점심을 먹고 기념식수를 하기 위해 남쪽 군사분계선 근처 '소떼길'에서 다시 만났다. 소떼길은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1998년 6월16일 500마리 '통일소'와 함께 방북할 때 지난 길이다.

문 대통령은 백두산 흙을, 김 위원장은 한라산 흙을 삽에 퍼서 미리 심어놓은 1953년생 반송에 세 차례 뿌렸다. 문 대통령은 대동강 물을, 김 위원장은 한강 물을 나무에 뿌렸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평화와 번영을 심다'라는 글이 새겨진 반송 표지석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었다.

기념식수 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공개 밀담을 나눴다. 두 정상은 판문점 자유의집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걸어 도보다리로 향했다.

문 대통령의 권유로 두 정상은 나무의자에 앉아 약 30분 동안 회담했다. 문 대통령은 손가락을 하나씩 접어가며 뭔가를 설명했고 김 위원장은 고개를 끄덕였다. 두 정상의 말소리는 전혀 들리지 않았지만 자주 웃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 모든 순간은 TV 생중계로 한국은 물론 전세계에 송신됐다.

두 정상은 도보다리 공개 밀담 뒤 20여분 동안 오후 회담을 한 후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에 서명했다. 6·15와 10·4에 이은 세 번째 남북 정상 선언이다.

분단 70여년 만에 최고의 드라마 '판문점 선언'

2018년 4월27일 판문점선언을 발표하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한국공동사진기자단)
2018년 4월27일 판문점선언을 발표하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진=머니투데이(한국공동사진기자단)

평화의집 광장에서 두 정상은 "한반도에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음을 8000만 우리 겨레와 전 세계에 엄숙히 천명한다"는 선언과 함께 '4·27 판문점선언'을 공동 발표했다.

4·27 판문점선언에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와 적대행위 전면 중지, 완전한 비핵화와 핵 없는 한반도 실현 등을 약속한 내용이 담겼다.

공동 회견에서 문 대통령은 "이제 우리는 결코 뒤돌아 가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 합의가 역대 합의서처럼 시작만 뗀 불미스러운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우리 두 사람이 무릎을 마주하고 긴밀히 협력해 반드시 좋은 결실이 맺어지도록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배우자인 리설주 여사도 평화의집에 모습을 드러냈다. 오후 6시30분부터 3시간 동안 4·27 판문점 회담의 성과를 자축하는 공연과 만찬이 이어졌다.

문 대통령의 권유로 평양냉면을 준비해온 김 위원장은 "대통령께서 멀리 온, 아… 멀다고 하면 안되갔구나. 맛있게 드시면 좋겠다"며 호탕하게 웃었다. 이때 함께 배석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북측의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과 김여정 부부장 등 모두가 활짝 웃었다. 회담장의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밤 9시28분 김정숙 여사와 리 여사가 작별 포옹을 마치자 김 위원장을 태운 차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쪽으로 돌아갔다. 2018년 4월27일 12시간에 걸친 평화 드라마는 그렇게 막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