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 한국의 전 세계 반도체 생산 점유율…'역대최고치' 전망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美 반도체산업협회 보고서…대만 제치고 중국 이어 두 번째
10년간 생산능력 증가율 129%로 2위


2022년 대비 2032년 전 세계 반도체 생산 점유율 ⓒ미국반도체산업협회·보스턴 컨설팅 그룹 보고서=연합뉴스


2032년 한국의 반도체 생산 비중이 전 세계 시장의 약 20%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대만을 제치고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비중이 큰 것이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와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이 8일(현지 시각) 발표한 '반도체 공급망의 새로운 회복 탄력성' 보고서에 따르면, 2032년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생산능력은 19%에 이르게 된다. 이는 역대 가장 높은 수준으로 2022년의 생산비중 17%보다 2%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중국(2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아 대만(17%)과 미국(14%)도 앞서게 된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반도체 생산 비중은 중국(24%)과 대만(18%)에 이어 일본과 함께 공동 3위다. 그러나 2032년에는 생산비중이 19%로 오르면서 대만을 제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한국은 반도체 산업 발전에 일찍 투자해 삼성과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반도체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며 "전 세계 낸드 플래시 메모리와 D램 시장에서 각각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했다.

이처럼 한국의 생산 점유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반도체 공장 건설을 통해 생산능력이 많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이 기간 한국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을 129%로 내다봤다. 이는 미국(203%)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유럽(124%)과 대만(97%), 일본(86%), 중국(86%) 등도 앞선다. 2012년 대비 2022년 우리나라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90%)은 중국(365%)에 이어 두 번째를 차지했다. 이 기간 다른 지역의 생산능력 증가율은 대만(67%), 유럽(63%), 일본(36%) 등의 순이었다. 미국(11%)은 가장 낮았다.

다만, 첨단 공정을 포함한 10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이하 한국의 반도체 생산 점유율은 31%에서 9%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같은 기간 대만도 69%에서 47%로 하락이 예상됐다. 이 같은 관측은 미 정부가 반도체 지원법을 앞세워 미국 내 설비 투자를 장려하면서 첨단 공정을 위한 공장을 짓는 등 투자가 많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미 정부는 반도체 생산 보조금(390억 달러), 연구개발(R&D) 지원금(132억 달러) 등 모두 527억 달러(75조5000억원)를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32년 미국의 반도체 생산능력 증가율은 2022년 대비 3배 수준(203%)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생산 점유율도 10%에서 14%로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미국의 10나노미터 이하 공정의 생산 점유율은 2022년 0%에서 10년 뒤인 2032년에는 28%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고서는 관측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