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온투자파트너스, 올해 만기 펀드 11개...신규 조합 결성 속도 [넘버스]

입력
수정2024.05.22. 오후 4:19
기사원문
김가영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2024년 05월 13일 18시 17분 넘버스에 발행된 기사입니다.
 
 

유니온투자파트너스가 모태펀드 출자사업 위탁운용사(GP)에 선정되면서 투자를 위한 '실탄'을 늘릴 수 있게 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운용 중인 펀드의 다수가 만기를 앞두고 있지만 신규 펀드를 결성하고 운용자산(AUM)을 늘리며 중형 벤처캐피털(VC)로서 입지를 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유니온투자파트너스는 모태펀드 문화계정 문화일반 정시 출자사업의 유일한 GP로 정해졌다. 이에 따라 모태펀드로부터 200억원을 출자받아 4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하게 된다. 업계에 따르면 이 펀드는 수익률 관리를 위해 프로젝트보다 에쿼티(지분) 위주로 투자할 예정이다.

지난 2000년 설립된 유니온투자파트너스는 문화·콘텐츠에 집중 투자하다가 2016년 기업투자본부를 신설하고 바이오, 모빌리티, 프롭테크 등으로 투자영역을 확대해왔다. 지난해 말 기준 AUM은 4600억원 수준으로 △유니온글로벌익스페디션투자조합 △유니온기술금융투자조합 △유니온K-문화콘텐츠투자조합 등 현재 31개의 벤처투자조합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운용 중인 펀드 다수가 만기를 앞두고 있어 신규 펀드 결성을 통한 드라이파우더(미소진 자금) 확보가 필요해졌다. 유니온투자파트너스는 지난해 펀드 3개를 청산했다. 올해 11개, 내년에는 6개 펀드의 만기가 돌아온다. 결성 금액은 총 1600억원으로 전체 운용금액의 35%에 달한다. 2022년 말까지만 해도 공동운용(Co-GP)펀드를 포함한 AUM이 5700억원으로 6000억원에 근접했지만 1년 새 1000억원 이상 줄어들었다. 

최근 벤처투자 시장의 회복세가 뚜렷한 가운데 모태펀드 출자사업을 포함한 신규 펀드 결성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유니온투자파트너스는 매년 성공적으로 펀딩을 완료하며 몸집을 불려왔다. 2020년 813억원, 2021년 392억원, 2022년 818억원의 펀드를 결성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405억원의 펀드를 조성했다. 관리보수도 같은 기간 51억원, 59억원, 69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