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사장 선상신·대표이사 우종순)의 사장과 부사장 겸 편집국장 자녀들이 지난해 아시아투데이에 입사해 편집국 기자로 근무 중이다.

선상신 아시아투데이 사장의 딸 A씨는 지난해 3월 아시아투데이에 입사해 5월부터 ‘바이라인’에 이름을 올렸다. 아시아투데이는 지난해 7월 수습기자 3명을 공개 채용했는데, 인사국에 따르면 A씨는 이에 앞서 인턴기자 6개월을 거쳐 10월 홀로 정규직 기자로 채용됐다. 

정규성 부사장 겸 편집국장 딸 B씨도 지난해 6월부터 아시아투데이에 근무했다. B씨는 2017년 타 언론사에 입사해 5년차 기자로, 현재 아시아투데이 정치부 국회 반장이다. 회사는 B씨 채용 때도 B씨를 홀로 입사시켰다.

선 사장과 정 부사장 겸 편집국장은 지난해 1월 초 임기를 시작했다. 선 사장과 정 부사장·편집국장 임기 첫 해 해당 임원들의 자녀가 같은 매체에 입사한 셈이다. 사측은 같은 해 공채 수습기자 최종합격 때와 달리 A씨와 B씨 채용 사실은 공고하지 않았다. 선 사장은 불교방송(BBS) 보도국장과 사장, 한국언론진흥재단 경영본부장, 아시아투데이 상임고문 등을 지냈다. 정 부사장 겸 편집국장은 2016~2019년 45·46대 한국기자협회장을 지냈다.

아시아투데이의 실질 대주주인 우종순 부회장 겸 대표이사의 가족 등 특수관계인들의 부정 채용 의혹도 끊이지 않고 있다. 우 부회장은 2005년 아시아투데이를 창간해 편집국장, 편집총괄 부사장, 대표이사·사장, 발행인을 지냈고 지난해 2월부터 대표이사와 부회장을 겸임하고 있다. 

▲우종순 아시아투데이 대표이사 부회장과 선상신 사장, 정규성 부사장 겸 편집국장. 아시아투데이 보도 갈무리
▲우종순 아시아투데이 대표이사 부회장과 선상신 사장, 정규성 부사장 겸 편집국장. 아시아투데이 보도 갈무리

전·현직 기자들은 아시아투데이의 C기자 입사 과정을 놓고 오래 전부터 우 부회장 관련 의혹이 회사 안팎에 파다하다고 모은다. 이들에 따르면 C기자는 2009년에 입사했는데, 입사 당시 우 부회장과 결혼 관계이던 배우자의 아들로 알려졌다. C기자는 아시아투데이 입사 당시 언론 관련 경력이 전무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아시아투데이에 근무했던 현직 기자 D씨는 “대부분의 아시아투데이 직원들은 그 얘길 들어본 적이 있는데, C기자가 어린 나이에도 데스크를 다는 등 고속 승진하고 편집국장조차 C기자에겐 함부로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거의 ‘기정사실’로 본다”고 했다. 

C기자는 입사 당시 29세로, 2015년 근무 6년차에 아시아투데이 내 핵심 부서로 알려진 산업부 데스크(부장대우)를 달았고 이듬해 부장으로 승진했다. 당시 아시아투데이 편집국 규모는 100여명으로 C기자 연차에 미뤄 이례적인 영전이다. C기자는 현재 한국기자협회 부회장과 기자협회 아시아투데이 지회장을 맡고 있다.

[ 관련 기사 : 아시아투데이 대표 아들, 공채 없이 기자 입사 ]

“우 부회장 극렬한 ‘반노조’ 경영…전횡에 문제제기 어려워”


복수의 전·현직 아시아투데이 기자는 임원 자녀로 입사한 직원들이 사내 같은 연차의 기자들에 비해 고액 연봉을 누린다고도 전했다. 아시아투데이 임금체계는 개별 연봉제다. 복수의 5년차 이상 기자는 연봉이 대략 3000만원대인 데 비해 B씨는 5000만원 가까이 책정됐다는 것. 이들은 C기자 또한 같은 연차에 비해 훨씬 높은 연봉을 받는다고 전했다. 아시아투데이 공채 신입 기자 초봉은 3000만원 안팎으로 알려졌다.

▲아시아투데이 로고. 아시아투데이 홈페이지 갈무리
▲아시아투데이 로고. 아시아투데이 홈페이지 갈무리

그러나 전·현직 아시아투데이 관계자는 ‘우 부회장을 비롯한 대주주와 경영진 전횡에 내부에서 문제 제기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분위기’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통상 노동조합이 노동자 권익을 보호하고 불합리한 경영에 제동을 거는 역할을 하지만, 우 부회장의 완강한 반노조 행태로 인해 와해 상태라는 것. 우 부회장은 사실상 말단 평기자까지 인사를 좌우하며, 편집국장직은 임기나 임명동의제 없이 그의 뜻에 따라 임명과 교체가 이뤄진다고 했다.

아시아투데이 노동조합이 2017년 출범했을 때 사측은 우 당시 사장 주도로 부서장들에게 노조 활동 의심자를 보고하도록 하는 등 색출에 나섰다. 현재 노조위원장과 부위원장은 모두 퇴사했다. 아시아투데이에 몸담았던 복수 기자는 사측이 입사 면접에서 노조에 대한 생각을 묻고, 우 부회장이 데스크 회의에서 “삼성이 노조가 있었으면 벌써 망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일상적으로 해왔다고 전했다. 아시아투데이 기자 E씨는 “누가 임원진의 친인척인지 가늠하기 어려운 정도로 암암리에 입사한 사람이 많아 노동자들이 규합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아시아투데이 인사국 관계자는 미디어오늘에 “A기자와 B기자 모두 채용 공고를 내 정상적인 경쟁 채용으로 입사했다”고 밝혔으며 채용 사실을 외부에 알리지 않은 이유엔 “매번 공채 결과를 밝히는 게 정답은 아니며 상황과 인원에 따라 판단이 다를 수 있다”고 답했다. 해당 기자가 임원 가족이란 사실이 채용에 영향을 미쳤는지 묻는 질문엔 “두 기자가 아시아투데이 임원과 가족관계인지 밝힐 수 없다”고 했다. 

B기자 연봉과 관련해선 “5000만원대가 아니다. 평균 5년차 기자연봉과 비교해 얼마나 높은지는 밝힐 수 없다”라고 해명했다. C기자 입사 당시 우 부회장과의 특수관계 의혹에는 “사실이 아니다. 처음 듣는 내용이니 사실이라 할 수 없고, 확인해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 부사장 겸 편집국장은 B기자가 본인의 딸이라고 시인한 뒤 추가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선 사장은 미디어오늘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

우 부회장과 C기자는 특수관계와 입사 특혜 의혹을 모두 부인했다. C기자는 “사실이 아니다. 비슷한 말이 많은 것은 알고 있다. 관련한 찌라시 유포자를 고소한 적이 있다”면서도 고소 결과에 대해선 답변하지 않았다. 우 부회장은 “사실이 아니다. 사생활을 왜 취재하느냐, 내게 묻지 말고 인사국에 알아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