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초원로가 한반도까지읽음

정수일 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 www.kice.ac

그 길…한반도에 닿다

길은 문명을 오가게 하는 징검다리다. 징검다리가 없으면 개울을 건널 수 없는 것처럼 길이 없으면 문명은 교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길을 떠난 문명의 교류란 상상할 수 없으며, 길을 알아내는 것은 문명교류를 연구하는 데 선결조건이다. 바꿔 말해 문명교류가 있었다면 길은 필히 있었다는 것이며, 교류와 길은 바늘 가는 데 실이 가듯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사실 길을 제대로 알고 연구해야 교류의 과정이나 교류물의 원류, 그리고 그 접변 과정을 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문명교류의 길을 통칭 실크로드라고 한다. 실크로드에는 지구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3대 간선과 남북을 세로로 가르는 5대 지선이 있으며, 그 밖에도 이 간선과 지선을 그물망으로 얽어주는 수많은 갓길과 샛길이 있다.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14)초원로가 한반도까지

그런데 이상야릇하게도 아직까지 길과 교류가 제멋대로 갈라져 있다. 이를테면 교류는 있는데 길은 없었다고 하는 식의 착각이다. 극명한 일례가 우리 한반도의 경우다. 자고로 우리는 이웃 중국이나 일본과는 물론 저 멀리 북방 초원이나 지중해 연안, 동남아시아나 라틴아메리카와 여러 방면에 걸쳐 문물이 교류되어 왔으며, 그 흔적은 한반도 내외에 있는 많은 유적 유물과 기록에 의해 실증되고 있다. 일본의 한 저명한 고고미술사학자는 신라를 30여년 동안 끈질기게 연구한 끝에 <로마문화의 왕국 신라>라는 역작을 펴내 그 옛날 신라와 로마 간에 있었던 교류상을 낱낱이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양이나 이웃 나라들에서 출간된 실크로드 관련 서적이나 지도에는 우리나라가 제외되어 있다. 3대 간선만 놓고 봐도 그 동단은 한결같이 중국까지 와 멎는다. 초원로는 중국 화북, 오아시스 육로는 중국 시안(西安), 해로는 중국 동남해안까지만 이어졌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통설이다. 결국 우리나라를 포함해 그 이동에 있는 지역들의 교류는 길 없이 이루어진 교류 꼴이 되고 만다. 이것은 어불성설로서 인류 문명교류를 이른바 서구문명중심주의나 중화주의로 재단하는 편견의 소산인 것이다. 그렇다면 한반도에 남아있는 그 숱한 외래 유적·유물의 도래는 과연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여태껏 그 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외래 유물의 실상을 제대로 밝혀낼 수가 없었다.

문제는 문명교류 통로인 실크로드가 어떻게 한반도까지 이어졌는가 하는 것이다. 그 요체는 중국까지만 와 닿았다는 실크로드 3대 간선을 원상대로 한반도와 연결시키는 것이다. 지금까지 오아시스 육로와 해로의 한반도 연장 문제는 관련 국제학술모임 같은 데 상정되어 일정한 공감대가 형성됨으로써 그런 대로 입론이 된 셈이다. 그러나 초원로의 한반도 연장 문제는 아직 시론단계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생태학적으로, 체질인류학적으로, 그리고 문화비교학적으로를 막론하고 우리 겨레의 한 역사적 뿌리를 북방 초원세계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저간의 중론이고, 또한 내·외몽골 초원로를 통한 북방 기마유목문화와의 교류는 명명백백한 사실(史實)이지만, 그러한 뿌리를 뻗게 하고, 그러한 교류를 가능케 한 징검다리로서의, 물리적 매체로서의 길은 제대로 찾아내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공주령성에 있는 고구려성 터.

공주령성에 있는 고구려성 터.

그래서 그 길의 일단을 알아보려고 떠난 것이 이번 대흥안령 초원로 답사다. 비록 짧은 기간이고, 또 한두 번 다녀와서 될 일이 아니지만 현장 답사를 통해 실마리를 찾아내고 초보적인 윤곽이나마 그려낼 수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오인이나 착각을 교정하고, 무지를 깨우치기도 했으며, 새로운 의문과 더불어 연구과제를 던져주기도 했다.

공주령성 고구려성 터에서 출토된 고구려인들이 쓰던 돌절구.

공주령성 고구려성 터에서 출토된 고구려인들이 쓰던 돌절구.

한반도와 초원로를 이어준 길에는 크게 두 갈래가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 갈래는 중국 화북지방을 통한 간접 연결로이고, 다른 한 갈래는 몽골초원과 바로 이어진 직접 연결로로 짐작된다. 그런데 이 두 갈래의 길에서 중요한 환절(環節) 역할을 한 곳은 지정학적으로나 대중관계에서 요로의 위치에 있던 영주(營州, 오늘의 朝陽)다. 고조선시대부터 3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영주는 오아시스 육로가 한반도로 이어지는 길목에서 관문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이 육로와 그곳으로부터 뻗어간 초원로를 연결해주는 환절 역할을 해왔던 것이다. 특히 6세기를 전후해 고구려의 치하에 있던 영주는 페르시아를 비롯한 서역과의 교역이나 북방 유목민족들과의 교역이 활발하게 전개되던 명실상부한 동북아시아 최대의 국제무역도시였다.

8세기 이후 국제무역상으로 등장한 중앙아시아 소그드인들의 취락까지 이곳에 있었다고 하니, 그 국제성을 가히 엿볼 수가 있다. 645년 당나라 이세적(李世勣)이 고구려를 정벌할 때도 영주에서 출발했으며, 발해가 외국을 통하는 이른바 ‘발해오도’(渤海五道) 중 하나가 바로 상도 용천부(龍泉府)에서 영주를 거쳐 중원에 이르는 영주로다. 그만큼 영주는 교통의 요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영주를 고리로 해서 북방 초원로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길은 이른바 ‘영주-평성로’(營州-平城路)다. <위서(魏書)>에는 위나라 초기 45년간(387~432) 위왕이 7차에 걸쳐 수도 평성(현 大同)에서 화룡(和龍, 즉 영주)까지 순유하거나 원정한 ‘영주-평성로’의 구체적 노정이 기록되어 있다. 기록에 따르면 이 길은 평성에서 출발해 동쪽으로 대녕(大寧, 현 張家口)과 유원(濡源, 河)가의 어이진(禦夷鎭)을 지나 동남 방향으로 90리 가면 서밀운술(西密雲戌, 현 大閣鎭)에 이른다. 여기서 동쪽으로 안주(安州, 현 隆化)와 삼장구(三藏口, 현 承德 북변)를 지나고, 다시 동북 방향으로 백랑성(白狼城, 현 凌源 남변)에 이른 후 동쪽으로 480리 가면 드디어 화룡(영주)에 도착하는데, 이 길은 만리장성 밖의 횡단 초원로다. 이 길은 평성에서 유주(幽州, 현 北京)와 외몽골 오르혼강을 남북으로 잇는 실크로드 남북 5대 지선의 동단길인 마역로(馬易路)와 합쳐 북방 몽골초원을 관통하는 초원로로 이어진다. 7세기 중반 고구려가 중앙아시아 사마르칸트에 파견한 사신은 당과의 마찰을 피해 이 길을 따라 운주(雲州, 즉 平城)를 거쳐 서행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린둥(林東)에서 퉁랴오(通遼)로 가는 길.

린둥(林東)에서 퉁랴오(通遼)로 가는 길.

다음으로, 영주를 고리로 해서 북방 몽골 초원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길의 하나는 ‘영주-실위로’(營州-室韋路)다. 사실 이번 대흥안령 초원로 답사는 이 길을 밟아보면서 이 길이 어떻게 대흥안령을 넘어 몽골 초원로에 이어지는가를 확인해 보려는 데 주목적이 있었다. 그래서 답사 노정도 이 길을 따라 설정했다. <구당서> ‘해국전’(奚國傳)에 의하면, 이 길은 영주에서 서북쪽으로 100리를 가 당시 당나라와 해국, 거란 3국의 경계선인 송경령(松徑嶺)을 넘는데, 송경령은 ‘요서의 지붕’이라고 하는 해발 1224m의 대청산(大靑山)이다. 여기서 서북행으로 츠펑(赤峰) 동남쪽을 흘러 시라무렌강과 합류하는 토호진수(吐護眞水, 오늘의 老哈河)를 건넌다. 다시 서북 방향으로 전진해 당시 해국의 아장(牙帳) 소재지에 부설된 황수석교(潢水石橋, 오늘의 시라무렌강 상의 巴林橋, 동경 118도 30분, 북위 43도 17분)를 지난다. 이 책에는 여기서부터의 구체적인 노정은 밝히지 않고, 일약 북상해 실위의 최서부인 구륜박(俱輪泊, 오늘의 呼倫湖, 동경 117도 30분, 북위 49도)의 오소고부(烏素固部)로 이어진다고 기술하고 있다. 황수석교에서 이곳까지 거리는 약 1000리다.

이 초원로의 한 구간인 ‘영주-실위로’를 답사하는 것은 이 길이 어떻게 한반도와 연결되었는가를 현장에서 확인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러한 확인은 이 길을 따라 실현된 교류의 흔적이 발견됐을 때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이를테면 이 길 위에서 우리 문화와 관련된 유적 유물이 발견되어야 이 길이 한반도와의 교류통로(초원로)라는 것이 인정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일행은 답사 내내 그러한 증좌 찾기에 부심했던 것이다. 증좌가 없었던들 연결로 운운은 공염불에 불과한 것이다.

일행은 차오양(朝陽, 옛 營州·和城)을 떠나 서북행으로 랴오닝성과 내몽골자치구의 경계를 넘어 160㎞ 떨어진 훙산문화의 심장 츠펑에 도착했다. 여기서 ‘한국형 암각화’라고 하는 방패 모양 등 기하학무늬의 유사 암각화를 발견했으며, 상관성이 분명한 동형의 적석총과 빗살무늬 토기, 고인돌 등 유물도 목격했다. 훙산문화의 큰 자랑거리의 하나인 옥 귀고리가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시기의 유사품이 출토되었으며, 곰 토템 신앙도 서로가 공유하는 문화현상이다. 츠펑을 떠나 북상으로 바린줘치(巴林左旗)로 가는 길가에서는 우리의 성황당과 기능이 비슷한 오보석과 심심찮게 맞닥뜨린다. 두 시간 달리니 ‘영주-실위로’ 상에 있는 바로 그 시라무렌강 위의 바린교를 지났다.

우란하오터 근교의 고성둔(古城屯) 조선족 마을.

우란하오터 근교의 고성둔(古城屯) 조선족 마을.

두 시간 더 달려 옛 요나라 땅에 들어서자 첫 도읍지였던 린둥(林東) 근교의 ‘요상경유지’(遼上京遺址)에서는 돌 기단과 치(雉)가 있는 고구려 성터를 확인했다. 여기까지 오는 구간에는 고구려성이나 고구려인 마을 터, 고구려 이름이 붙여진 강 등 고구려 유적들이 몇 군데에 있다. 츠펑을 떠나 장장 16시간 만에 도착한 흥안맹의 치소 우란하오터(烏蘭浩特)는 자고로 우리와 인연이 깊은 곳이다. 근교에는 치가 분명한 3000평 규모의 고성둔(古城屯) 고구려 성터가 있는데, 여기서 관인과 기와. 촛대. 돌절구 같은 고구려 유물이 적잖게 나왔다. 이 성터에서 4㎞ 떨어진 공주령성도 역시 고구려성으로서 여기서 파낸 돌절구를 직접 만져보기도 했다. 사실 우란하오터 부근은 고구려 유적의 밀집지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두 성터 말고도 동쪽으로 핑안진(平安鎭)이나 바이청(白城) 지역에서도 여러 개의 고구려 마을과 성터 유적이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대흥안령 일원에서 찾아낸 고구려 성터만도 10여곳에 달한다. 일찍이 이곳을 개척한 조선족들에 의해 이 한랭지대에 벼 농사가 전파되었으며, 오늘도 조선족 중학교를 비롯해 우리 겨레의 삶이 이어져가고 있는 고장이다.

‘영주-실위로’를 따르는 우리의 초원로 답사는 여기서 더 이상 북상하지 않고 방향을 서쪽으로 돌려 대흥안령을 넘어 우주무친(烏珠穆沁) 대초원을 향했다. 장장 18시간을 달려 대흥안령을 넘어 도착한 곳은 시린고르맹 둥우무친치의 우리야스타이다. 우주무친은 5세기 말 장수왕이 유연과 분할통치한 디더우위(地豆于)로 추정되는 곳이다. 여기서 서쪽으로 68㎞만 가면 내·외몽골 관문인 주언가다푸로에 이른다. 이곳은 두 지역 간의 주요 통로의 하나로서 일단 넘으면 동몽골 초원로와 잇닿는다. 이렇게 보면 우리가 답파한 초원로는 ‘영주-주언가다푸로’라고 이름 할 수 있을 것이며, 그 길이 바로 한반도와 북방 초원로를 직접 이어주는 한 가닥 길이 될 것이다.

이 길 말고도 고구려시대에는 지안(集安)에서 출발해 지린(吉林)을 거쳐 옛 부여 땅이던 눙안(農安)과 쑹위안(松源), 바이청을 지나 우란하오터에서 대흥안령을 넘는 길도 초원로의 한 연결로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나, 이번 답사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놓을 수밖에 없다. 그밖에 갓길로는 츠펑에서 서쪽으로 몽골제국의 상도였던 딩란(定藍)으로 이어지는 길도 있었음직하다. 여기까지가 이번 답사의 결산이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초보적인 소결(小結)이다. 한반도로 이어지는 초원로를 밝혀보려던 숙원의 일단을 실현했다는 기수(旣遂)의 후련함보다는 더 해야 할 일에 어깨가 무거워진다. ‘길 찾기’는 민족사의 복원작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경향티비 배너
Today`s HOT
젖소 복장으로 시위하는 동물보호단체 회원 독일 고속도로에서 전복된 버스 아르헨티나 성모 기리는 종교 행렬 크로아티아에 전시된 초대형 부활절 달걀
훈련 지시하는 황선홍 임시 감독 불덩이 터지는 가자지구 라파
라마단 성월에 죽 나눠주는 봉사자들 코코넛 따는 원숭이 노동 착취 반대 시위
선박 충돌로 무너진 미국 볼티모어 다리 이스라엘 인질 석방 촉구하는 사람들 이강인·손흥민 합작골로 태국 3-0 완승 모스크바 테러 희생자 애도하는 시민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