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1575~1641]

조선의 제15대 왕(재위 1608~1623). 임진왜란 이후 부국강병의 기틀을 다졌다. 하지만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다.

조선왕조 제15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1608년에서 1623년까지이다. 이름은 이혼(), 본관은 전주, 선조()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이며 비()는 판윤 유자신()의 딸이다.

세자 책봉 문제로 임해군과 갈등을 빚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이 발생하였을 때 국난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피난지 평양에서 세자에 책봉되었다. 선조와 함께 의주로 피난을 가다가 영변()에서 갈라졌다. 선조는 의주로 향하고 광해군은 권섭국사()의 직위를 맡아 분조()의 책임자로 평안도 지역으로 출발하였다. 임진왜란 기간 중에 평안도·강원도·황해도 등지를 돌면서 민심을 수습하고 왜군에 대항하기 위한 군사를 모집하는 등 적극적인 분조활동을 전개하였다. 서울을 수복한 후 무군사()의 업무를 담당하여 수도 방위에도 힘을 기울였다. 1597년 정유재란(임진왜란 중 왜군의 2차 침략을 따로 부르는 말)이 일어났을 때는 전라·경상도로 내려가 군사들을 독려하고 군량과 병기 조달은 물론 백성들의 안위를 돌보는 등 임진왜란 기간 동안 국가 안위를 위해 노력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선조가 영창대군을 세자로 책봉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자 임진왜란 동안 많은 공을 세운 광해군이 대북파의 지지를 받아 1608년 왕위에 올랐다.

광해군은 왕위에 오르는 과정에서 갈등을 빚은 영창대군()을 1613년 대북파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서인()으로 삼았고, 1618년에는 이이첨() 등의 폐모론에 따라 인목대비()를 서궁(西)에 유폐시켰다. 이러한 정치 행위는 서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서인 주도의 반정()에 의해 폐위당하였다. 

인조반정()에 의해 폐위되기 전까지 1608년 선혜청()을 두어 경기도에 대동법()을 실시하고, 1611년 양전()을 실시하였다.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한성부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창덕궁을 중건, 경덕궁(경희궁)·인경궁을 준공하는 등 궁궐 조성에 힘썼다. 

이때 만주에서는 여진족이 신흥국가로 성장하여 후금()을 건국하고 조선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광해군은 이에 대비하여 성지()와 병기()를 수리하고 군사 양성하는 등 국경방비()에 힘썼다.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 전쟁이 발생하여 명에서 원군요청이 있자 강홍립()에게 1만의 병사를 주어 파견함과 동시에 의도적으로 후금에 투항하게 하여 명과 후금사이에서 능란한 중립외교솜씨를 보였다. 일본과는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임진왜란 이후 중단되었던 외교를 재개하고, 회답겸쇄환사로 오윤겸()을 일본에 파견하여 포로로 끌려갔던 조선인을 쇄환하였다.

서적의 간행에도 힘을 기울여 《신증동국여지승람(輿)》·《용비어천가()》·《동국신속삼강행실()》 등을 다시 간행하고 《국조보감()》·《선조실록()》 등을 편찬하였으며, 적상산성()에 사고()를 설치하였다.

서인이 주동하여 일으킨 인조반정으로 1623년 폐위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제주도로 옮겨졌다. 광해군은 왕권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영창대군과 임해군을 제거하고 인목대비를 유폐시켰다. 과거 태종과 세조에 비하면 광해군의 이런 과() 때문에 폭군으로 몰아간 측면은 지나침이 있으며 당시 서인과 북인 사이에 벌어진 정치적 이념의 갈등, 즉 붕당()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되었다. 광해군 가족은 강화도로 유폐되었는데 폐세자 이질과 세자빈은 강화 서문 쪽에 안치되었고 광해군과 폐비 유씨는 동문 쪽에 안치되었다. 이질은 강화에서 탈출을 시도하였으나 붙잡혔고, 자결을 명받아 숙주()에 스스로 목을 매어 죽었으며, 세자빈도 자결하였다. 이듬해인 1624년 폐비 유씨도 사망하였고 광해군은 이후 제주도로 이배되었다가 1641년에 사망하였다. 묘호는 광해군지묘()로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다.



문성군부인 유씨

선조

참조항목

참조항목
교하천도론 1612년(광해군 4) 조정에서 서울을 교하(지금의 파주시)로 옮기자는 논의.
부차의 패전 1619년(광해군 11) 조선과 중국 명(明)나라의 연합군이 부차에서 후금(後金:뒤의 淸)의 군대와 맞선 싸움.
인조반정 1623년 이귀, 김유 등 서인 일파가 정변을 일으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인조를 왕위에 앉힌 사건.
북인 조선 중기의 정파. 16세기 후반에 성립된 동인으로부터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었다.
능창군추대사건 1615년(광해군 7) 신경희(申景禧) 등이 능창군을 왕으로 추대하려던 일이 발각되어 일어난 사건.
무계사략 광해군대의 정치적 사건 관련 기록.
청백일기 조선 중기 광해군(光海君)의 실정에 대하여 기록한 책.
광해군 내외 및 상궁 옷 조선 15대 광해군과 그 왕비, 상궁의 옷. 1965년 10월 12일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붕당정치 과거에 관료들이 서로 파벌을 이루어 정권을 다투던 일.
남양주 광해군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59번지 일대에 있는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유씨의 무덤. 1991년 10월 25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친 왜군의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이며 1597년 제2차 침략전쟁을 따로 정유재란이라고 한다.
기유약조 1609년(광해군 1) 일본과 맺은 전문 13조의 송사조약(送使條約).
지역 목록
지역 목록 지역 목록 없음
- ⓒ doopedia & doopedia.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트위터 URL 복사

포토커뮤니티

사진 목록
분류 사진 제목 올린이
(사진수)
등록일

여행기

사진 목록
분류 사진 제목 올린이 등록일

지식나누기

두피디아는 수록된 정보가 상업적 목적 등 이용자가 의도한 특정 목적에 적합하다는 점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수록 정보에 포함된 의학, 법률, 세무, 금융 등 전문분야의 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합니다. 두피디아는 정보의 이용과 관련하여 이용자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