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ayback Machine - https://web.archive.org/web/20180210180313/http://archive.hansik.org/hansik/nkfood/item/nkfood_region_feature/266/26/
 
sitemap
한식 콘텐츠목록
고문헌 번역서 단행본 향토음식 풍속서류 종가사찰 연구 성과물 영상자료 시각자료
한식문헌
조선시대 궁중음식 고문헌 조선시대 민간음식 고문헌 근대 한식 문헌 의례음식 문헌
옛 그림 속 한식
옛 그림 속 한식
한식연구 결과물
연변 조선족 전통음식 한식 스토리텔링 역사성 있는 한식당 북한의 전통음식 전통혼례상차림
한식 이야기
한식 원형복원 대중서
연구개요 지역별 해제 지역별 음식
가나다순 발행연도순
글자 크게글자 작게글자크기인쇄
한식연구 결과물 > 북한의 전통음식 > 지역별 해제 > 강원도
라. 강원도지방의 전통음식의 특징

강원도 지방의 음식은 동해 바닷가 와 산간지대에서 생산되는 물고기와 곡식, 산나물로 만든 음식들이 대부분이었다. 강원도 지방은 다른 도에 비하여 자연 조건이 불리하여 벼농사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벼보다도 곡식으로 옥수수, 메밀, 조, 차조 등이 잘 재배되었으므로 주식도 옥수수밥, 조밥, 찰수수밥 등 잡곡밥이 기본을 이루었다(『천일록』산천과 풍토 관동). 떡도 이러한 잡곡을 넣은 떡이 많은데, 손으로 꽉 쥐었다 놓은 모양과 같은 감자송편이 있고, 기장쌀에 참취를 섞고 쳐서 만든 기장취떡이 있다. 평야지대의 찹쌀인절미와 같이 차조로 인절미(조찰떡)를 만들어서, 추석이나 설 때 팥고물을 묻히거나 엿에 찍어 먹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총떡, 댑싸리떡, 강냉이 설기떡 등이 있다.

산악이나 고원지대에서는 감자, 강냉이, 메밀, 도토리가 많이 나므로 이를 이용해서 만든 음식과 산나물 음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특히 감자로 만든 음식의 종류가 많다. 식량대용으로 감자 수제비나 옥수수 범벅을 만들어 먹었으며, 『음식보』에는 강원도에는 옥수수범벅 외에도 감자범벅, 호박범벅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면류로는 강원도의 막국수가 메밀가루로 국수를 뽑아 김칫국에 만 막국수가 유명하다.

동해를 끼고 있는 해안지역에서는 신선한 생선이 많이 잡혔기 때문에 강원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물고기와 젓갈 음식을 좋아하였다. 생선을 이용하여 회를 해서 먹거나 북어, 편포 등 말려먹는 음식과 젓갈류가 발달하였다. 특히 생태나 오징어 그리고 미역 등의 해초가 많이 나서 이를 가공한 황태, 건오징어, 건미역, 명란젓, 창란젓을 잘 담갔다.

또한 산간지대에서는 고사리, 두릅, 참나물, 참취, 곰취, 도라지와 같은 산나물이 많이 났다. 특히 금강산에서 나는 광명 곰취가 가장 유명하였다. 이러한 산나물을 무치거나 김치를 담가서 먹거나 곰취는 주로 4월에 쌈을 싸서 먹기도 하였다.

음식은 사치스럽지 않고 극히 소박하고 먹음직스럽다. 조리법은 비교적 간단하며, 천연의 맛과 향기를 살려서 만드는 것이 특징이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27(양재동 aT센터) 1306호 (재)한식재단 우:137-787 전화) 02-6300-2074 팩스)02-6300-2055
트위터 페이스북 유투브
아카이브 소개 Open API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