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ademia.eduAcademia.edu
박사학위논문 한반도 포유류(척삭동물문: 포유강)의 분류학적 정립과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 연구 Studies on the Taxonomic Review and Survey Techniques for Mammals in the Korean Peninsula 인천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이 정 분 박사학위청구논문 한반도 포유류(척삭동물문: 포유강)의 분류학적 정립과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 연구 Studies on the Taxonomic Review and Survey Techniques for Mammals in the Korean Peninsula 지도교수 배 양 섭 이 논문을 박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9 년 6 월 인천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이 정 분 국문초록 한반도 포유류(척삭동물문: 포유강)의 분류학적 정립과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 연구 본 연구를 통해 한반도 포유류에 대한 분류학적 기재를 확인하여 한국산 포 유류의 목록이 작성되었고,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과 야생 포유류 서식 지 이용 지수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첫번째, 기존에 국내에서 통용되어 오던 학명 과 국명의 유효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 혼용되어 사용한 학명과 국명을 정리하 고, 국내 서식여부가 불분명한 종을 제외하는 등의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의 포유류는 총 6목 31과 82속 135종으로 정리되었고, 이 중 학명이나 국명에서 변동이 생긴 종은 77종이다. 그 중에서도 대분류군은 Asher와 Helgen의 정 리를 반영하여 6목으로 정리하고 해당 분류군의 특징을 반영하였다. 이에 고슴도치 와 땃쥐, 두더쥐 등을 포함하는 Order Eulipotyphla의 국명은 ‘진식충목’으로 신칭, 고래와 사슴 등을 포함하는 Order Cetartiodactyla는 ‘기제목’으로 신칭하였다. 목별 로 중요 변동사항으로는 쥐목에서 다람쥐의 속명이 Tamias에서 Eutamias로 변경, 과 거 Myodes 속에 포함되었던 비단털쥐와 대륙들쥐는 Craseomys 속으로 분리되었다. 토끼목에서는 국명 ‘멧토끼’에 학명이 각각 남한은 Lepus coreanu Thomas로 북한은 L. mandshuricus Radde로 기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두 종을 모두 기 록하였다. 박쥐목에서 ‘흰배윗수염박쥐’는 과거 Myotis nattereri bombinus Thomas와 M. n. amurensis Ognev의 2종으로 기재되었으나, 아시아의 서식종은 M. bombinu Thomas이 기 때문에 1종으로 정리되었다. 기제목은 각 해역별로 서식하는 아종이 구분되어 한반도가 속하는 해역 아종으로 총 12개 아종을 정리하였다. 식육목에서는 북한에 서 1996년 처음 채집되어 기록된 ‘검은다리족제비 Mustela eversmanii Lesson’를 한반 i 도 목록에 새로이 추가하였다. 두번째,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직접 확보한 야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과 야생포유류 서식지 이용 지수(WHUI, Wildmammals Habitat Usage Index)를 개발하였다. 중국, 일본, 영국, 호주, 미국, 말레이시아, 한국의 국가기관에서 수행하는 모니터링에서의 포유류 조사 방법들을 비교하여 앞으로 국 내 포유류 연구의 발전을 위한 조사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를 위해 야외 조사로 확 보한 데이터를 3가지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동일지역의 3번 반복조사 결과를 통해 조사거리와 포유류 흔적수는 양의 상관관계이며, 멸종위 기야생동물인 ‘삵’의 각 배설 지점은 서로 48 m로 가까워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보 호지역으로 통제∙관리되는 지역도 조사거리와 포유류 흔적수가 양의 상관성을 보이 며, 빈도분석 결과를 통해 포유류 야외조사의 정량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반 산림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도 조사거리와 포유류 흔적수가 서로 양의 상관 관계임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이 두 자료의 정규분포를 확인하여 포유류 야외조사 의 정량화에 대해 재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분석들을 모두 종합하여 한국 지 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과 서식지 평가를 위한 ‘야생 포유류 서식지 이용 지수 (WHUI, Wildmammals Habitat Usage Index)’를 개발하였다. 이 지수는 3구간에 따라 부 여되는 점수로 해당 지역이 야생 포유류의 서식에 얼마나 중요한 지역인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한국 지형에 맞는 선조사 표준방법으로 야외 조 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km당 흔적수로 분석하여 WHUI를 적용하면, 각 조사지역 에 대한 상대적 비교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표준방법을 사용한 정량적 조사와 서식지 이용에 대한 분석은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구체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제어 : 동물이명, 선조사 표준방법, 서식지 평가, 야생 포유류 서식지 이용 지수, WHUI (Wildmammals Habitat Usage Index) ii 목 차 초 록 ··························································································· i 목 차 ························································································· iii List of Tables ················································································· vi List of Figures ················································································vii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1 1.2. 연구 목적 ................................................................................................................3 제 2 장. 재료 및 방법····················································································4 2.1. 문헌 조사 ................................................................................................................4 2.2. 야외 조사방법 ........................................................................................................5 2.3. 자료 분석 ................................................................................................................8 제 3 장. 연구 결과 ······················································································ 11 3.1. 한반도 포유류 종 목록 ......................................................................................11 3.1.1. 한반도의 포유류 연구사 .............................................................................11 3.1.2. 한반도 포유류 종 목록 ...............................................................................21 Order Eulipotyphla 진식충목(신칭) .............................................................................21 Family Erinaceidae 고슴도치과 ...............................................................................21 Family Soricidae 땃쥐과 ...........................................................................................22 Family Talpidae 두더지과 ........................................................................................31 Order Rodentia 쥐목 .....................................................................................................32 Family Sciuridae 청설모과 .......................................................................................32 iii Family Dipodidae 뛰는쥐과 .....................................................................................36 Family Cricetidae 비단털쥐과..................................................................................36 Family Muridae 쥐과 ................................................................................................43 Family Myocastoridae 큰물쥐과 ..............................................................................50 Order Lagomorpha 토끼목 ...........................................................................................51 Family Ochotonidae 우는토끼과 ..............................................................................51 Family Leporidae 토끼과 ..........................................................................................52 Order Chiroptera 박쥐목 ...............................................................................................54 Family Rhinolophidae 관박쥐과...............................................................................54 Family Molossidae 큰귀박쥐과 ................................................................................55 Family Vespertilionidae 애기박쥐과 ........................................................................56 Order Cetartiodactyla 기제목(신칭) .............................................................................78 Family Balaenidae 참고래과 ....................................................................................78 Family Balaenopteridae 수염고래과 ........................................................................79 Family Eschrichtiidae 귀신고래과 ...........................................................................84 Family Delphinidae 참돌고래과...............................................................................85 Family Monodontidae 외뿔고래과 ...........................................................................95 Family Phocoenidae 쇠돌고래과 ..............................................................................96 Family Kogiidae 꼬마향고래과 ...............................................................................99 Family Physeteridae 향고래과................................................................................100 Family Ziphiidae 부리고래과 .................................................................................101 Family Suidae 멧돼지과 .........................................................................................104 Family Moschidae 사향노루과...............................................................................105 Family Cervidae 사슴과 .........................................................................................106 Family Bovidae 소과 ..............................................................................................111 Order Carnivora 식육목 ..............................................................................................112 Family Felidae 고양이과 ........................................................................................112 iv Family Canidae 개과 ...............................................................................................116 Family Ursidae 곰과 ...............................................................................................120 Family Otariidae 바다사자과 .................................................................................121 Family Phocidae 물범과 .........................................................................................124 Family Mustelidae 족제비과 ..................................................................................127 3.2. 포유류 조사방법의 정리와 고찰.....................................................................137 3.2.1. 전국단위의 포유류 조사방법....................................................................137 3.2.2. 프로토콜에 따른 포유류 조사방법 ..........................................................139 3.2.3. 포유류 조사방법의 정리와 고찰..............................................................148 3.3.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 연구 .....................................................154 3.3.1. 반복조사를 통한 조사거리와 포유류 흔적수의 관계 및 멸종위기야생동물 ‘삵’ 배설 지점의 동일성 ..........................................................................................154 3.3.2. 보호지역 내에서의 조사거리와 야생동물 흔적수의 상관성...............160 3.3.3. 전국 산림에서의 조사거리와 야생동물 흔적수의 상관성 ..................165 제 4 장. 종합 고찰 ···················································································· 186 4.1. 한반도 포유류 목록에 대한 고찰...................................................................186 4.2.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 및 서식지 평가법 제안 ...................206 4.2.1. 정량적 자료 확보를 위한 선조사의 표준방법 ......................................206 4.2.2. 야생포유류 서식지 이용 지수 (WHUI) ..................................................213 참고문헌 ································································································· 220 ABSTRACT ································································································ 246 감사의글 ································································································· 248 Appendix I. Mammal field signs per kilometer of track surveyed from 2012 to 2018 ········· 250 Appendix II. List of mammal field sign coordinates from 2012 to 2018 ························· 256 v List of Tables Table 2.1. List of 24 map index conducted line survey methods ·······································6 Table 3.1. Checklist of mammalia in Korean peninsula ··············································· 12 Table 3.2.The diversity of mammalian investigation purposes and methods ···················· 148 Table 3.3. Field sign (scat) numbers of P. bengalensis on the survey track and number ······· 157 Table 3.4. A distance between field sign (scat) numbers of P. bengalensis by average nearest neighbor analysis on the survey number (meter) ····················································· 158 Table 3.5.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f number of field signs per km ······················· 162 Table 3.6. Number of field signs classified by Grade 3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 163 Table 3.7. Overall survey distance and number of field signs per km by grade ················· 164 Table 3.8. Track length of each map index (meter) ·················································· 165 Table 3.9. Number of track lengths by the map index and year ···································· 174 Table 3.10. The number of species field signs by year ·············································· 175 Table 3.11. Number of field signs to type of trace by species ······································ 176 Table 3.12.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 181 Table 3.13.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just 11 species) ··· 182 Table 3.14. The number of field sign per kilometer by category 3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number of field sign /km) ····································································· 185 Table 4.1. Mammals of Korean peninsula ····························································· 186 Table 4.2. Changed list of the species and Korean names. ·········································· 191 Table 4.3. Korean Standard Method for Line Survey ················································ 207 Table 4.4. Calculation of theWildmammal Habitat Usage Index (WHUI) ······················· 216 Table 4.5. Comparison table of HSI and WHUI ······················································ 217 Table 4.6. Result of WHUI by survey result from 2018 ············································· 218 vi List of Figures Figure 2.1. Research area of 24 map index ································································7 Figure 3.1. The UK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Protocols for Standard Measurements at Terrestrial Sites (Coulson, 2001). ······································································· 142 Figure 3.2. The variety of survey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country ·········· 150 Figure 3.3. Changes in the results of mammalian field surveys in Korea ························· 153 Figure 3.4. Map of survey area and tracks in Gyejoksan Jeonllanamdo, Korea ················· 155 Figure 3.5. Scat confirmed points of P. bengalensis on the numbers of times ·················· 156 Figure 3.6. Scatter diagrams of scats confirmed by 3 times ········································· 157 Figure 3.7. Map of survey area in Unmunsan, Gyeongsangnamdo, Korea. ······················ 160 Figure 3.8. Scatter diagrams for Number of Field signs (NF) and Track Length (TL) ········· 161 Figure 3.9. Map of survey routes and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 167 Figure 3.10. Normal P-P plot of track length ·························································· 177 Figure 3.11. Normal P-P plot of field signs···························································· 178 Figure 3.12. Scatter plot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total mammal species) ·· 179 Figure 3.13. Scatter plot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except Hydropotes inermis) ······· 180 Figure 3.14. Scatter plot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just 11 species) ··········· 180 Figure 3.15. Histogram of field signs/km (total field signs) ········································ 183 Figure 3.16. Histogram of field signs/km (except Hydropotes inermis) ·························· 184 Figure 3.17. Histogram of field signs/km (11 species of field signs) ······························ 184 Figure 4.1.Two trees of placental orders (Springer et al., 2004) ··································· 187 Figure 4.2. Order names changed by this study in Korea ··········································· 188 Figure 4.3. Example of Korean standard method for line survey route ··························· 209 Figure 4.4. Examples of recording methods of discovered mammal traces ······················ 211 Figure 4.5.Type classification of habitat environment evaluation by No et al.(노백호 et al., 2011) ···· 214 Figure 4.6. Calculation of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Oldham et al., 2000) ·················· 215 Figure 4.7. Grade of theWildmammal Habitat Usage Index (WHUI) ····························· 216 vii 제 1 장. 서 론 1.1. 연구 배경 포유류는 동물군 중 높은 생물다양성을 보이는 분류군으로 진화의 역사 전반 에 걸쳐 생태형태학(ecomorphology), 생리학, 생활사 및 행동방식에서 극도의 적응성 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포유류는 멸종된 96종을 포함하여 27목 167과 1,314속 6,495종으로 기록되었다(Burgin et al., 2018). 생태계에서의 포유류는 곤충 개 체군이나 식물의 수분(pollination)과 종자 분산(seed dispersal) 등을 조절하여 생태계 건강 지표를 나타내는 분류군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렇듯 포유류는 생태계내에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알려 져 있다(Jones and Safi, 2011). 따라서, 자연 생태계의 평가를 포함하여 급격한 생태계 의 변화정도를 판단할 때 반드시 조사가 필요한 분류군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가별 로 포유류 조사기법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다양한 종류 의 야생동물 조사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생태계에서 보존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종의 다양함과 풍부함을 신 속하게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법이 중 요하다(Silveira et al., 2003). 이는 포유류 조사에도 적용되는 것이지만, 야생 포유류는 대부분이 야행성으로(Maor et al., 2017) 실제 조사에서 위와 같은 평가 결과를 얻기에 는 어려움이 따른다. 야생 포유류 조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선조사법(line survey)에는 직접 관찰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크게 2가지가 많이 사용된다. 이 중 첫째는 가장 오래된 방법으로 먼지, 진흙, 모래 또는 눈에 찍힌 발자국(track)을 추 적하여 포유류의 서식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Bider, 1968). 둘째로 사용되는 방 1 법은 배설물 조사(counts of fecal material)로 토끼류(lagomorphs), 육식동물류(carnivores) 및 유제류(ungulates)의 조사에 사용되고 있다(Martin, 2009). 이 외에도 종의 특성에 따라 둥지(nests), 흔적(trails), 울음소리(calls) 등의 직접관찰도 종의 다양함과 풍부함 을 추정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다(Silveira et al., 2003). 우리나라에서 야생 포유류에는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설치류와 땃쥐류 등의 소형포유동물부터, 이동성이 강한 삵, 수달 등 생태계의 조절자 역할을 하는 중요한 종들이 포함되어 있으며(Yoon et al., 2004), 이들에 대한 조사도 앞에 언급한 방법들 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토의 이용과 개발로부터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자연환 경보전법 및 자연공원법 등을 제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관리를 위해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 특정도서조사 및 습지조사 등 생태계 조사가 이루어 지고 있다 (Kim et al., 2013). 또한, 연구자 및 일반인들의 야생 포유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각 지역에 서식하는 종의 다양성만이 아닌 개체수나 분포 등 생태적 자료에 대한 요구도 크게 늘어났다. 하지만, 이동성이 크고 실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포유류 의 특성상 개체수나 개체밀도 등의 자료를 제시하기엔 무리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외에서는 배설물을 이용한 개체군 밀도 추정이나 카메라트래핑을 이용한 개 체수 추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그 면적이나 범위가 국내에 적 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또한, 현재 축적되고 있는 국내에서의 야외 조사 결과는 종 의 서식 유무만을 파악하거나 이 서식 유무만으로 확보된 출현데이터로 모델링 분 석을 실시한 서식지 예측이 대부분으로 개체수나 개체밀도 추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모델링 분석에는 출현데이터만큼 비출현데이터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현재 포유류 조사로 확보되는 데이터는 출현데이터에 국한되어 있다. 때문에, 국내 실정에 맞는 포유류 조사연구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한국형 포유류 조사연구 2 개발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일이 한반도 포유류의 국명과 학명 정리이다. 한국에 서는 Woon(1967)에 의해 포유강의 목록이 정리된 이래 현재까지 종합적인 국명정리 및 정이명이 정리되지 않았다. 북한 포유류 자료도 미비하여 현재는 동일 종을 지 칭하는 학명과 국명이 통일되지 않고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 내 포유류 연구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종의 국명과 유효학명에 대한 정리와 국내 지리적 특성에 맞춘 야외 조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1.2. 연구 목적 포유류는 일반적으로 애완동물로써의 선호도도 무척이나 높은 분류군으로 생 태계 보전 등을 거론할 때 중요하게 다뤄지는 분류군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1967년 ‘한국동식물도감’ 이후로 52년간 이루어지지 않은 현 시점에서 국 내 및 북한 자생 포유류의 분류학적 위치와 국제적 유효학명에 대한 정리는 포유류 연구의 기초 자료로써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국내 야생에서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 의 보전과 보호를 위해서는 개체군 또는 개체수 및 주요 서식지의 파악을 통한 과 학적인 생태계 가치 평가도 필요하다. 이러한 과학적인 생태계 가치 평가의 근거마 련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포유류 조사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 조사기법을 통해 객관적 자료를 확보한 이후에 국내에 서식하는 포유류의 개체 군 또는 개체수를 파악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서식하는 포유류 전 종에 대한 기록 및 학명과 국명의 동물이명(synonym)을 파악하고 재정리하였다. 또한, 국내·외의 포유류 연구 를 위한 야외조사 방법과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실정에 맞는 포유류 야외 조사의 정량화에 대한 응용연구를 진행하여 나아가 생태계 가치 평가에 포유류 서 식을 정량적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3 제 2 장. 재료 및 방법 2.1. 문헌 조사 포유류 목록에서 목(order) 이상의 대분류군은 Asher and Helgen(2010)의 분류 체계를 따랐다. 한반도의 포유류 목록은 과거에 분류학적 기재와 함께 정리되어 발 행된 문헌들을 기초로 작성하였으며, 기존 연구들을 따라 인간에 의해 사육되는 가 축은 목록에서 제외하고 야생 포유류만을 다루었다. 우선적으로 ‘한국동식물도감 (Woon, 1967)’, ‘조선짐승류지(Won, 1968)’ 및 ‘한국의 포유동물(Yoon et al., 2004)’을 바 탕으로 각 종의 최근 분류학적 연구들을 참고하여 학명과 국명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본적인 학명, 일반명(common name)과 분포는 Mammal Species of the World 3rd ed.(MSW3)를 따랐다. 또한, 국내 서식 개체를 이용한 연구결과가 없을 경우, 주 변국들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였다. 해양 포유류의 경우에는 국내의 분류학적인 연구 가 미비하여 기본적으로 해양포유류위원회(Society for Marine Mammalogy(SMM))에서 발표한 목록을 따랐다(Taxonomy, 2017). 국명의 경우, 내륙 종들에 대해서는 ‘한국의 포유동물’의 명칭을 주 국명으로 반영하고, 이외의 한반도 연구자료들에 기재되어 있는 다른 국명들도 동물이명(synonym)목록에서 < < ( >안에 함께 표기하였다. 그리고, ) > 안에 있는 국명은 해당 문헌에서 표기한 다른 국명이다. 예들 들어, <청서 (청설모)>의 경우엔 주 국명이 ‘청서’로 표기되고 다른 국명을 ‘청설모’라고 표기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해양 종들에 대해서는 Sohn 등(2012)이 정리한 내용을 따랐으 며(Sohn et al., 2012), 국명이 지정되지 않은 명칭은 본 연구에서 신칭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분류학적으로 아종 수준까지 연구된 자료가 있을 경우에 그 결과를 참고하 여 목록에 반영하였다. 포유류 조사 방법에 대해서는 중국, 일본, 영국, 호주, 미국 과 한국의 국가기관에서 수행하는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고 그 특징들을 4 비교하였다. 2.2. 야외 조사방법 야외조사는 Lee 등의 연구에서 실시한 지형조건을 고려한 도보 선조사법(line survey)으로 포유류 흔적을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 수행하였다(Lee et al., 2019a, b). 조사경로와 그 경로에서 확인된 모든 포유류의 서식흔적 지점을 휴대용 GPS단말기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포유류 배설물은 동일 지점에 오래된 것과 최근 것이 확인될 경우 별개의 포 인트로 기록하였다. 이 외에 먹이 섭식흔적, 서식터널, 휴식지, 털, 사체 등 흔적 유 형도 기록하였다. 조사지역은 환경부에서 제공(NIER, 2012)하는 24개 도엽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한국의 8개 도를 모두 포함한다(Table 2.1., Figure2.1.). 이 중에서 운문산은 환경부가 2010년 9월에 생태·경관보전지역(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으로 지정한 지역이며, 가지산 정상부를 포함하여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일대(26.395㎢)에 해당 한다. 조사기간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실시하였으며, 매년 8회에서 31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서와 봉당 도엽에서는 비교적 많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이 는 3회의 반복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이다. 5 Table 2.1. List of 24 map index conducted line survey methods 조사구간이름 도엽명 도엽번호 관기 관기 367121 대덕 대덕 357042 대아 357021 신정 357023 모서 모서 367124 봉당 봉당 357153 석성 석성 366162 안천 안천 357031 외산 외산 366114 상북 359053 동곡 358082 남명 358048 웅양 웅양 357044 웅천 웅천 366151 음성 367032 청안 367034 강화 376062 신도 376064 영종 376073 통진 376071 적상 적상 357032 진조 진조 378063 판교 판교 366152 홍산 홍산 366161 대아신정 운문산 음성청안 인천김포 6 Figure 2.1. Research area of 24 map index. 7 2.3. 자료 분석 도보로 수행된 야외 조사결과는 조사거리가 모두 다르고, 관찰된 포유류의 종류도 다르기 때문에 각 조사 결과들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 요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직접 수집한 야외조사 자료 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포유류 야외조사 방법을 찾기 위해서 3가지 측면에 서 비교하였다. 야외조사 자료는 각 조사경로를 1 km로 지정했을 때의 흔적수로 환 산하여 조사구역 별로 확인된 야생 포유류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적합성을 확인하였 다. 첫째, 동일지역의 3번 반복조사 결과를 통해 조사거리(track length)와 포유류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의 관계 및 멸종위기야생동물 중 ‘삵’이 배설하는 지점의 동일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보호지역으로 사람의 출입과 행위가 통제∙관리되고 있는 지역을 기준으 로 조사거리(track length)와 포유류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포유류 야외조사의 정량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보호지역이 아닌 일반 산림을 대상으로 수행한 야외 조사결과도 조사 거리(track length)와 포유류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 사이에 상관성이 있는지 확인 하여 포유류 야외조사의 정량화에 대해 재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수행한 분석을 모두 종합하여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과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서식지 평가에 도움을 주기 위해 ‘야생동물 서식 지 이용 지수(WHUI, Wildmammals Habitat Usage Index)’를 제안하고 적용해보았다. 통계분석으로는 조사거리와 전체 흔적수에 대한 상관분석과 빈도분석을 수행 하였다. 전체 데이터의 왜곡도 평가를 위해 P-P plot(probability–probability plot)을 사 용하고, 상관분석은 조사거리와 흔적수라는 이변량상관의 확인을 위해 Pearson상관 8 계수를 계산하여 확인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회기모형식을 도 출하였다. 또한, 흔적이 확인된 지점 간의 분포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린평균 거리분석(ANN, Average Nearest Neighbor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최근린평균거리 분석은 같은 속성을 가진 대상 중 가장 인접한 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해 평균을 구 하여, 무작위적인 분포와 비교한 후 분포의 형태가 정규분포인지 아닌지를 검정하 는 분석이다. 분석 대상의 평균거리가 산출되고, 분포가 밀집되어 있는지, 불규칙적 인지, 분산 분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Kang et al., 2013). 이 분석을 통해 대상에 대한 평균거리가 산출되며, 95%와 99%의 신뢰수준에서 유의성이 검증된다. 즉, 산 출된 표준점수(z-score) 값이 -1.96보다 작거나 1.96보다 큰 수이면 유의수준이 0.05이 상에서 분산분포하거나 집단분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안의 수는 불규칙분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2.58보다 작거나 2.58보다 크면 유의수준이 0.01로써 그 패턴 은 상당히 유의한 의미를 갖는다(Kim et al., 2012). , , , (ZR > 1.96: 분산분포, 1.96> ZR >-1.96: 불규칙분포, -1.96> ZR: 밀집분포) (ANN: 최근린평균거리분석, D0: 표본간 실측거리, DE: 이상적 분포에 의한 기대거리, SE: 표본인근 최단거리의 표준오차, A: 대상지 면적) (2-1) 최근린평균거리분석 수식 9 빈도분석은 데이터를 그룹화 했을 때, 각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들이 전체 중 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알려주는 분석방법이다. 이 분석을 이용해서 데이터의 왜도 (Skewness), 첨도(Kurtosis)등 경향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각 조사경로에서 종별 로 확인된 흔적수를 비교하는데 사용하였다. 또한, 이 분석으로 각 종의 흔적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그에 따른 순위를 확인해보았으며, 데이터의 순위 그룹화로 확 장시켜 적용하였다. 이러한 조사경로와 흔적수의 분포에 대한 지리적 정보는 ArcGIS ver 9.3을 이 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18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10 제 3 장. 연구 결과 3.1. 한반도 포유류 종 목록 3.1.1. 한반도의 포유류 연구사 한반도의 포유류는 땃쥐(Crocidura lasiura Dobson)가 최초의 기재 종이다 (Giglioli and Salvadori, 1887). 이후 14종의 한국 포유류가 발표되었는데, 이중 Mogera wogura coreana 와 Mogera latouchei 를 신종으로 기재하였다(Thomas, 1907b). 또한, 비 슷한 기간 동안 한국과 주변국인 일본, 중국 및 만주 인접지역의 포유류에 대해 연 구가 이루어졌다. Kuroda(1934)가 한반도 포유류 24종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이 중에 Mus bactrianus yamashinai, Crocidura dsinezumi quelpartis, C. yamashinai, 와 C. neglecta 등 4종을 신종으로 보고하였다(Kuroda, 1934). 이후, 한국산 설치류에 대한 논문과 다람쥐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Johnson and Jones, 1955a, b). 이들 Jones와 Johnson은 이후에도 미국 자연사박물관 학회지에 한국산 식충류 15종에 대 한 분류키와 특징에 대한 보고서(Jones and Johnson, 1960)와 한국산 토끼류와 설치류 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하며 토끼류 3종과 설치류 26종에 대한 특징을 기술하였 다(Jones and Johnson, 1965). 한국산 포유류의 목록은 아종을 포함하여 총 7목 22과 53속 100종으로 정리 된 것이 최초이다(Woon, 1967). 북한지역의 경우, 한반도의 포유동물은 8목 27과 62 속 96종으로 기재된 바 있다(Won, 1968). 이후 포유류는 8목 24과 104종으로 정리되 었다(Yoon and Koh, 1997). 최근에는 한반도의 포유류를 8목 31과 82속 122종으로 정 리한 바 있다(Yoon et al., 2004). 북한의 최근 연구로는 한반도 포유류를 총 9목 33과 81속 124종으로 기재하였는데(Kim et al., 2015a), 이 문헌에는 근래의 해외 분류학적 연 구결과와 국제적 유효학명은 반영되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해외 연구결과 등을 반 11 영한 소형 포유류에 대한 정리가 있었으며, 이 문헌에서 한국의 소형 포유류를 3목 (고슴도치목 Erinaceomorpha, 땃쥐목 Soricomorpha, 쥐목 Rodentia) 8과 33종으로 정리 하였다(Lee et al., 2014). 하지만, 최근까지 새로이 연구된 포유류 전체에 대한 아종과 국명을 반영한 자료는 없으며, 이에 현재는 동일 종에 대하여 학명과 국명이 통일 되지 않고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외에 보고된 포유강의 문헌을 종합적으로 정리 한 결과, 총 6목 31과 82속 135종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정리된 한 반도 포유류 목록은 Table 3.1에 제시된 바와 같다. Table 3.1. Checklist of mammalia in Korean peninsula Phylum Chordata Haeckel, 1874 척삭동물문 Subphylum Vertebrata J-B. Lamarck, 1801 척추동물아문 Class Mammalia Linnaeus, 1758 포유류강 Order Eulipotyphla Waddell et al., 1999 진식충목(신칭) Family Erinaceidae G. Fischer, 1814 고슴도치과 1. Erinaceus amurensis Schrenk, 1858 고슴도치 Family Soricidae G. Fischer, 1814 땃쥐과 2. Crocidura lasiura Dobson, 1890 땃쥐 3. Crocidura shantungensis shantungensis Miller, 1901 작은땃쥐 4. Crocidura shantungensis quelpartis Kuroda, 1934 제주작은땃쥐 5. Neomys fodiens (Pennant, 1771) 갯첨서 6. Sorex minutissimus Zimmermann, 1780 꼬마뒤쥐 12 7. Sorex (Sorex) caecutiens caecutiens Laxmann, 1788 뒤쥐 8. Sorex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Abe and Oh, 2005 한라산뒤쥐 9. Sorex (Sorex) daphaenodon Thomas, 1907 백두산뒤쥐 10. Sorex (Sorex) gracillimus gracillimus Thomas, 1907 쇠뒤쥐 11. Sorex (Sorex) isodon Turov, 1924 큰발뒤쥐 12. Sorex (Sorex) unguiculatus Dobson, 1890 긴발톱뒤쥐 13. Sorex (Ognevia) mirabilis Ognev, 1937 큰첨서 Family Talpidae G. Fischer, 1814 두더지과 14. Mogera wogura robusta Nehring, 1891 두더지 Order Rodentia Bowdich, 1821 쥐목 Family Sciur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청설모과 15. Sciurus (Sciurus) vulgaris mantchuricus Thomas, 1909 청설모 16. Pteromys volans volans (Linnaeus, 1758) 하늘다람쥐 17. Eutamias sibiricus barberi Johnson and Jones, 1955 다람쥐 Family Dipod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뛰는쥐과 18. Sicista caudata Thomas, 1907 긴꼬리꼬마쥐 Family Cricetidae Fischer, 1817 비단털쥐과 19. Lasiopodomys mandarinus (Milne-Edwards, 1871) 쇠갈밭쥐 20. Microtus (Alexandromys) fortis Büchner, 1889 갈밭쥐 21. Myodes rutilus (Pallas, 1778) 숲들쥐 22. Craseomys regulus Thomas, 1906 비단털들쥐 23. Craseomys rufocanus (Sundevall, 1846) 대륙들쥐 13 24. Ondatra zibethicus (Linnaeus, 1766) 사향쥐 25. Cricetulus barabensis (Pallas, 1773) 비단털등줄쥐 26. Tscherskia triton (de Winton, 1899) 비단털쥐 Family Muridae Illiger, 1811 쥐과 27. Apodemus agrarius (Pallas, 1771) 등줄쥐 28. Apodemus chejuensis Johnson et Jones, 1955 제주등줄쥐 29. Apodemus peninsulae (Thomas, 1906) 흰넓적다리붉은쥐 30.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멧밭쥐 31. Mus (Mus) musculus musculus Linnaeus, 1758 생쥐 32. Rattus norvegicus (Berkenhout, 1769) 집쥐 33. Rattus tanezumi (Temmink, 1844) 동양집쥐 Family Myocastoridae Ameghino, 1902 큰물쥐과 34. Myocastor coypus (Molina, 1782) 큰물쥐 Order Lagomorpha Brandt, 1855 토끼목 Family Ochotonidae Thomas, 1897 우는토끼과 35. Ochotona (Pika) coreana Allen and Andrews, 1913 우는토끼 Family Leporidae Fischer, 1817 토끼과 36. Lepus (Eulagos) coreanus Thomas, 1892 멧토끼 37. Lepus (Eulagos) mandshuricus Radde, 1861 북방토끼 Order Chiroptera Blumenbach, 1776 박쥐목 Family Rhinolophidae Bell, 1836 관박쥐과 14 38.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1938 관박쥐 Family Molossidae Gill, 1872 큰귀박쥐과 39. Tadarida insignis (Blyth, 1862) 큰귀박쥐 Family Vespertilionidae Gray, 1821 애기박쥐과 40. Myotis sibiricus Kastschenko, 1905 윗수염박쥐 41. Myotis bombinus Thomas, 1905 흰배윗수염박쥐 42.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Ognev, 1927 물윗수염박쥐 43. Myotis formosus tsuensis Kuroda, 1922 붉은박쥐 44. Myotis frater longicaudatus Ognev, 1927 긴꼬리윗수염박쥐 45. Myotis ikonnikovi Ognev, 1912 작은윗수염박쥐 46. Myotis macrodactylus macrodactylus (Temminck, 1840) 큰발윗수염박쥐 47. Myotis mystacinus (Kuhl, 1817) 윗수염박쥐 48. Myotis aurascens Kuzyakin, 1935 대륙쇠큰수염박쥐 49. Miniopterus schreibersii fuliginosus (Hodgson, 1835) 긴날개박쥐 50. Murina hilgendorfi (Peters, 1880) 관코박쥐 51. Murina ussuriensis Ognev, 1913 작은관코박쥐 52. Eptesicus (Eptesicus) kobayashii Mori, 1928 고바야시박쥐 53. Eptesicus (Eptesicus) nilssonii parvus Kishida, 1932 생박쥐 54. Eptesicus (Eptesicus) serotinus pallens Miller, 1911 문둥이박쥐 55. Nyctalus aviator Thomas, 1911 멧박쥐 56. Nyctalus furvus Imaizumi and Yoshiyuki, 1968 작은멧박쥐 57. Vespertilio sinensis namiyei (Kuroda, 1920) 안주애기박쥐 15 58. Vespertilio murinus murinus Linnaeus, 1758 북방애기박쥐 59. Pipistrellus (Pipistrellus) abramus (Temminck, 1838) 집박쥐 60. Hypsugo alaschanicus (Bobrinskii, 1926) 큰집박쥐 61. Plecotus sacrimontis G.M.Allen, 1908 토끼박쥐 62. Plecotus ognevi Kishida, 1927 참긴귀박쥐 Order Cetartiodactyla Montgelard et al., 1997 기제목(신칭) Family Balaenidae Gray, 1821 참고래과 63. Eubalaena japonica (Lacépède, 1818) 북방긴수염고래 Family Balaenopteridae Gray, 1864 수염고래과 64. Balaenoptera acutorostrata scammoni Deméré, 1986 밍크고래 65. Balaenoptera borealis borealis Lesson, 1828 보리고래 66. Balaenoptera edeni edeni Anderson, 1879 브라이드고래 67. Balaenoptera physalus physalus (Linnaeus, 1758) 참고래 68. Balaenoptera musculus musculus (Linnaeus, 1758) 대왕고래 69. Megaptera novaeangliae kuzira (Gray, 1850) 혹등고래 Family Eschrichtiidae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귀신고래과 70. Eschrichtius robustus (Lilljeborg, 1861) 귀신고래 Family Delphinidae Gray, 1821 참돌고래과 71. Delphinus delphis bairdii Dall, 1873 긴부리참돌고래 72. Delphinus delphis delphis Linnaeus, 1758 짧은부리참돌고래 73. Feresa attenuata Gray, 1874 들고양이고래 74. Globicephala macrorhynchus Gray, 1846 들쇠고래 16 75. Grampus griseus (G. Cuvier, 1812) 큰머리돌고래 76. Lagenorhynchus obliquidens Gill, 1865 낫돌고래 77. Lissodelphis borealis (Peale, 1848) 고추돌고래 78. Orcinus orca (Linnaeus, 1758) 범고래 79. Peponocephala electra (Gray, 1846) 고양이고래 80. Pseudorca crassidens Owen, 1846 흑범고래 81. Stenella attenuata attenuata (Gray, 1846) 점박이돌고래 82. Stenella coeruleoalba (Meyen, 1833) 줄박이돌고래 83. Stenella longirostris longirostris (Gray, 1828) 긴부리돌고래 84. Steno bredanensis (G. Cuvier in Lesson, 1828) 뱀머리돌고래 85. Tursiops aduncus (Ehrenberg, 1833) 남방큰돌고래 86. Tursiops truncatus truncatus (Montagu, 1821) 큰돌고래 Family Monodontidae Gray, 1821 외뿔고래과 87. Delphinapterus leucas (Pallas, 1776) 흰고래 Family Phocoenidae Gray, 1825 쇠돌고래과 88. Neophocaena asiaeorientalis sunameri Pilleri and Gihr, 1975 상괭이 89. Phocoena phocoena (Linnaeus, 1758) 쇠돌고래 90. Phocoenoides dalli dalli (True, 1885) 까치돌고래 Family Kogiidae Gill, 1871 꼬마향고래과 91. Kogia breviceps (Blainville, 1838) 꼬마향고래 92. Kogia sima (Owen, 1866) 쇠향고래 Family Physeteridae Gray, 1821 향고래과 93. Physeter macrocephalus Linnaeus, 1758 향고래 17 Family Ziphiidae Gray, 1850 부리고래과 94. Berardius bairdii Stejneger, 1883 큰부리고래 95. Mesoplodon densirostris (Blainville, 1817) 혹부리고래 96. Mesoplodon ginkgodens Nishiwaki and Kamiya, 1958 은행이빨부리고래 97. Mesoplodon stejnegeri True, 1885 큰이빨부리고래 98. Ziphius cavirostris G. Cuvier, 1823 민부리고래 Family Suidae Gray, 1821 멧돼지과 99. Sus scrofa ussuricus Heude, 1888 멧돼지 Family Moschidae Gray, 1821 사향노루과 100.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Hollister, 1911 사향노루 Family Cervidae Goldfuss, 1820 사슴과 101. Capreolus pygargus pygargus (Pallas, 1771) 큰노루 102. 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Satunin, 1906 노루 103. Cervus canadensis xanthopygus Milne-Edwards, 1867 붉은사슴 104. Cervus nippon hortulorum Swinhoe, 1864 대륙사슴 105.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Heude, 1884 고라니 Family Bovidae Gray, 1821 소과 106. Naemorhedus caudatus (Milne-Edwards, 1867) 산양 Order Carnivora Bowdich, 1821 식육목 Family Fel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고양이과 107. Lynx lynx neglectus Stroganov, 1962 스라소니 108.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Elliot, 1871) 삵 18 109. Panthera pardus orientalis (Schlegel, 1857) 표범 110. Panthera tigris altaica Temminck, 1844 호랑이 Family Canidae Fischer, 1817 개과 111. Canis lupus chanco Gray, 1863 늑대 112. Cuon alpinus alpinus (Pallas, 1811) 승냥이 113.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Mori, 1922 너구리 114. Nyctereutes procyonoides ussuriensis Matschie, 1907 우수리너구리 115. Vulpes vulpes peculiosa Kishida, 1924 여우 Family Urs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곰과 116. Ursus arctos lasiotus Gray, 1867 불곰 117. Ursus thibetanus ussuricus (Heude, 1901) 반달가슴곰 Family Otariidae Gray, 1825 바다사자과 118. Callorhinus ursinus (Linnaeus, 1758) 물개 119. Eumetopias jubatus jubatus (Schreber, 1776) 큰바다사자 120. Zalophus japonicus (Peters, 1866) 바다사자 Family Phocidae Gray, 1821 물범과 121. Histriophoca fasciata (Zimmermann, 1783) 띠무늬물범 122. Phoca largha Pallas, 1811 잔점박이물범 123. Phoca vitulina stejnegeri J. A. Allen, 1902 점박이물범 124. Pusa hispida ochotensis (Pallas, 1811) 고리무늬물범 Family Mustelidae Fischer, 1817 족제비과 125. Lutra lutra chinensis Gray, 1837 수달 126. Martes flavigula aterrima (Pallas, 1811) 담비 19 127. Martes flavigula borealis (Radde, 1862) 노란목도리담비 128. Martes melampus coreensis Kuroda and Mori, 1923 산달 129. Martes zibellina kamtschadalica (Birula, 1918) 검은담비 130. Meles leucurus amurensis Schrenck, 1859 오소리 131. Mustela nivalis mosanensis Mori, 1927 무산쇠족제비 132. Mustela eversmanii Lesson, 1827 검은다리족제비 133. Mustela sibirica coreanus (Domaniewski, 1926) 족제비 134. Mustela sibirica manchurica Brass, 1911 대륙족제비 135. Mustela sibirica quelpartis (Thomas, 1908) 제주족제비 20 3.1.2. 한반도 포유류 종 목록 Phylum Chordata Haeckel, 1874 척삭동물문 Subphylum Vertebrata J-B. Lamarck, 1801 척추동물아문 Class Mammalia Linnaeus, 1758 포유류강 Order Eulipotyphla Waddell et al., 1999 진식충목(신칭) Family Erinaceidae G. Fischer, 1814 고슴도치과 Subfamily Erinaceinae G. Fischer, 1814 고슴도치아과 Genus Erinaceus Linnaeus, 1758 고슴도치속 1. Erinaceus amurensis Schrenk, 1858 고슴도치 Erinaceus europaeus var. amurensis Schrenck, 1858 : 100 (TL: Gulssoja, near Aigun, on Amur river. N Manchuria). Erinaceus orientalis Allen, 1903 : 179 (TL: Vladivostock, E Siberia). Erinaceus ussuriensis Satunin, 1907 : 170 (TL: Sidemi, S Ussuri, E Siberia). Erinaceus koreanus Lōnnberg, 1922 : 624 (TL: Korea). Erinaceus dealbatus orientalis: Mori, 1922 : 614(TL: near Kanko, Korea). Erinaceus amurensis koreensis Mori, 1922: 616(TL: Kaijo, N Seoul, Korea); Jones and Johnson, 1960 : 554; Kaneko and Maeda, 2002 : 2; Yoon et al., 2004: 21<고슴도치>. Erinaceus europaeus amur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0; Won, 1968: 40<고슴 도치>; Yoon and Koh, 1997: 299<회시무르고슴도치>. Erinaceus europaeus orientalis: Won, 1958: 450<회시므르고슴도치>. Erinaceus amurensis orientalis: Jones and Johnson, 1960: 556. Erinaceus europaeus orientalis amurensis: Woon, 1967: 262<회시무르고슴도치>. Erinaceus europaeus koreensis: Won, 1958: 450<고슴도치>; Woon, 1967: 263<고슴도치>; 21 Yoon and Koh, 1997 : 299<고슴도치>. Erinaceus amurensis: Yoon et al., 2004: 20<고슴도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48; Lee et al., 2014: 161; Roskov et al., 2017 ; IUCN, 2017. Erinaceus amurensis amurensis: Kim et al., 2015a: 37<고슴도치>. 일반명(common name). Amur Hedgehog. 분포. 한반도, 중국 동부, 러시아(아무르강). Family Soricidae G. Fischer, 1814 땃쥐과 Subfamily Crocidurinae Milne-Edwards, 1872 땃쥐아과 Genus Crocidura Wagler, 1832 땃쥐속 2. Crocidura lasiura Dobson, 1890 땃쥐 Crocidura lasiura Dobson, 1890 : 31 (TL: Ussuri River, Manchuria). Crocidura lasiura Giglioli and Salvadori, 1887 : 580. (nomen nudum) Crocidura shantungensis Miller, 1901 : 158 (TL: Chimeh, Shantung, China). Crocidura coreae Thomas, 1906: 860 (TL: Mingyong, SE Seoul, Korea); Jones and Johnson, 1960: 567. Crocidura lasiura lasiura: Thomas, 1907b: 462; Kuroda, 1934 : 237; Won, 1958: 452<우스리 따쥐>; Woon, 1967: 277<우수리땃쥐>. Crocidura thomasi Sowerby, 1917 : 318 (TL: Mingyong, SE Seoul, Korea). Crocidura lizenkani Kishida, 1931 : 377. (nomen nudum) Crocidura yamashinai Kuroda, 1934: 237 (TL: Bampo, Kankyo-hokudo, N Korea). Crocidura lasiura thomasi: Kuroda, 1934: 237; Won, 1958: 452<도마스따쥐>; Woon, 1967: 278<토마스땃쥐>; Yoon and Koh, 1997: 299<토마스땃쥐>. 22 Crocidura sodyi Kuroda, 1935 : 327 (TL: Bampo, Korea); Jones and Johnson, 1960: 566; Kaneko and Maeda, 2002: 2. Crocidura suaveolens shantung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7; Won, 1958: 451< 따쥐>;Woon, 1967: 275<땃쥐>. Crocidura russula sody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81; Won, 1958: 451<만포따쥐>; Woon, 1967: 274<만포땃쥐>. Crocidura lasiura: Jones and Johnson, 1960: 563; Won, 1968: 68<땃쥐(우쑤리땃쥐)>; Yoon et al., 2004: 26<땃쥐>;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1; Kim et al., 2015a: 50<따쥐>; Roskov et al., 2017; IUCN, 2017. Crocidura lasiura yamashinai: Won, 1958: 452<야마시나따쥐>; Woon, 1967: 282<야마시나 땃쥐>; Yoon and Koh, 1997: 299<야마시나땃쥐>. Crocidura suaveolens coreae: Yoon and Koh, 1997: 299<땃쥐>. Crocidura suaveolens utsuryoensis: Yoon and Koh, 1997: 299<울도땃쥐>. Crocidura lasiura sodyi: Yoon and Koh, 1997: 299<만포땃쥐>. 일반명(common name). Ussuri White-toothed Shrew. 분포. 한반도, 중국 북동, 러시아(우수리). 3. Crocidura shantungensis shantungensis Miller, 1901 작은땃쥐 Crocidura shantungensis Miller, 1901: 158 (TL: Chimeh, Shantung, China). Sorex suaveolens Pallas, 1811: 133 (TL: Crimea, S Russia). Crocidura coreae Thomas, 1906: 860 (TL: Mingyong, SE Seoul, Korea); Thomas, 1907b: 462; Kuroda, 1934: 236; Jones and Johnson, 1960: 567. Crocidura suaveloens orientis Ognev, 1921 : 341 (TL: Nebilmi, valley of River Tuman-gan, Ussuri region of E Siberia). 23 Crocidura ilensis phaeopus Allen, 1923 : 7 (TL: Wanhsien, Szechuan, China). Crocidura longicauda Mori, 1927 : 28 (TL: Seoul, Korea). Crocidura utsuryoensis Mori, 1937 : 40 (TL: Utsuryo Island, off Korea); Won, 1958: 451<울도 따쥐>;Woon, 1967: 277<울도땃쥐>; Won, 1968: 72<울릉도땃쥐>; Kaneko and Maeda, 2002: 4. Crocidura ilensis shantungensis: Allen, 1938 : 131. Crocidura suaveolens shantung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7; Won, 1958: 451< 따쥐>; Abe, 1967 : 243; Won, 1968: 66<작은땃쥐(토마스땃쥐)>; Yoon et al., 2004: 27<작은땃쥐>; Kim et al., 2015a: 49<작은따쥐>. Crocidura suaveolens coreae: Jones and Johnson, 1960: 567; Yoon and Koh, 1997: 299<땃쥐>. Crocidura suaveolens utsuryoensis: Jones and Johnson, 1960: 569; Yoon and Koh, 1997: 299< 울도땃쥐>. Crocidura suaveolens: Won, 1968: 65<작은땃쥐>; Yoon et al., 2004: 27<작은땃쥐>. Crocidura shantungensis shantungensis: Jiang and Hoffmamm, 2001 : 1059;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1; Roskov et al., 2017. Crocidura shantungensis: Ohdachi et al., 2009: 19;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Asian Lesser White-toothed Shrew. 분포. 한반도, 중국 동부, 일본(쓰시마), 대만, 러시아(시베리아 동남). 참고. IUCN 평가서에 러시아에서는 아직까지 C. suaveolens로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 되어 있다(IUCN, 2017). 4. Crocidura shantungensis quelpartis Kuroda, 1934 제주작은땃쥐 Crocidura dsinezumi quelpartis Kuroda, 1934: 236 (TL: Seikiho, Quelpart Island, off Korea); Jones and Johnson, 1960: 562; Yoon and Koh, 1997: 299<제주땃쥐>; Kaneko and 24 Maeda, 2002: 3. Sorex dsinezumi Temminck, 1844: 26 (TL: Kyushu, Japan) Crocidura russula quelpart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81; Won, 1958: 451<제주따 쥐>;Woon, 1967: 273<제주땃쥐>. Crocidura lasiura quelpartis: Won, 1968: 71<제주땃쥐>. Crocidura shantungensis quelpartis: Motokawa et al., 2003 : 789;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2<제주작은땃쥐>; Roskov et al., 2017. Crocidura dsinezumi: Yoon et al., 2004: 25<제주땃쥐>; Ohdachi et al., 2009: 23; Kim et al., 2015a: 51<제주따쥐>. 일반명(common name). Cheju White-toothed Shrew. 분포. 한반도(제주). 참고. Ohdachi 등은 C. dsinezumi를 일본과 제주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하였으며, 한국명을 ‘일본땃쥐’로 기재하였다(Ohdachi et al., 2009). 하지만, remark에서는 제주표 본이 C. dsinezumi가 아니고 C. shantungensis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Motokawa 등의 연 구결과를 반영한 Lee 등은 C. dsinezumi를 C. shantungensis의 아종으로 정리하며, 아 종명에 맞춰 ‘제주작은땃쥐’로 개칭하였다(Motokawa et al., 2003; Lee et al., 2014). Subfamily Soricinae G. Fischer, 1814 뒤쥐아과 Tribe Nectogalini Anderson, 1879 갯첨서족 Genus Neomys Kaup, 1829 첨서속 5. Neomys fodiens (Pennant, 1771) 갯첨서 Sorex fodiens Pennant, 1771 : 308 (TL: Berlin, Germany). 25 Neomys fodiens orientis Thomas, 1914 ; 564 (TL: Swamps of River Kammanajaretschka, near Djarkent, Semirechyia, Russian Central As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3; Won, 1968: 62<갯첨서>. Neomys fodiens watasei Kuroda, 1941 : 114 (TL: Toyohara City, Sakhalin Island);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3; Kaneko and Maeda, 2002: 5. Neomys fodiens limchunhunii Won, 1954 : 41; Won, 1955 : 124. Neomys fodiens: Won, 1968: 62<갯첨서>; Yoon et al., 2004: 28<갯첨서>;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2; Kim et al., 2015a: 48<갯첨서>;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Eurasian Water Shrew. 분포. 한반도(북한), 중국(텐샨, 지린), 몽골 북서, 유럽 대부분. 참고. 이 종은 분포에서 북한 부전고원이 남방한계선으로 기록되어 있는 종으로 남 한에서는 확인된 바가 없다. Tribe Soricini G. Fischer, 1814 뒤쥐족 Genus Sorex Linnaeus, 1758 뒤쥐속 6. Sorex minutissimus Zimmermann, 1780 꼬마뒤쥐 Sorex minutissimus Zimmermann, 1780 : 385 (TL: Yenesei River, Siberia); Yoon et al., 2004: 33<꼬마뒤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 Lee et al., 2014: 162; Kim et al., 2015a: 46<꼬마첨서>; Roskov et al., 2017; IUCN, 2017. Sorex minutissimus ishikawai Yoshiyuki, 1988 : 152 (TL: Hangyeryong, Mt. Sorak-san, S Korea); Kaneko and Maeda, 2002: 6; Yoon et al., 2004: 33<꼬마뒤쥐>. 일반명(common name). Eurasian Least Shrew. 26 분포. 한반도(남한), 중국, 일본(홋카이도, 혼슈), 몽골, 러시아, 스웨덴, 에스토니아, 노르웨이. Subgenus Sorex Linnaeus, 1758 뒤지아속 7. Sorex (Sorex) caecutiens caecutiens Laxmann, 1788 뒤쥐 Sorex caecutiens Laxmann, 1788 : 285 (TL: Lake Baikal, Siber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8; Won, 1968: 56<첨서>; Yoon et al., 2004: 30<뒤쥐>; Ohdachi et al., 2009: 8; IUCN, 2017.. Sorex macropygmaeus Miller, 1901: 158 (TL: Pctropaulski, Kamtchatka). Sorex annexus Thomas, 1906: 859 (TL: Mingyong, SE Seoul, Korea). Sorex caecutiens annexus: Won, 1958: 450<뒤쥐>;Jones and Johnson, 1960: 559; Woon, 1967: 271<뒤쥐>; Yoon and Koh, 1997: 299<뒤쥐>. Sorex caecutiens macropygmaeus: Won, 1968: 56<첨서>; Kim et al., 2015a: 44<첨서>. Sorex (Sorex) caecutien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Sorex (Sorex) caecutiens caecutiens: Lee et al., 2014: 162. 일반명(common name). Laxmann’s Shrew. 분포. 한반도, 중국 북동, 일본, 유럽 동부,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몽골. 참고. Lee 등은 S. c. hallamontanus를 아종으로 기재하며 S. c. caecutiens로 아종명을 정 리하였다(Lee et al., 2014). 8. Sorex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Abe and Oh, 2005 한라산뒤쥐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Abe and Oh in Ohdachi et al., 2005: 355 (TL: Mt. Halla, Cheju Island, Korea) ; Koh et al., 2012 b: 215; Lee et al., 2014: 163. 27 일반명(common name). Halla Shrew. 분포. 한반도(제주). 참고. Ohdachi 등에 의해 한반도 고유아종으로 보고되었다(Ohdachi et al., 2005). 9. Sorex (Sorex) daphaenodon Thomas, 1907 백두산뒤쥐 Sorex daphaenodon Thomas, 1907 a: 407 (TL: Dariné, NW Korsakoff, Sakhalin Island); Yoon et al., 2004: 31<백두산뒤쥐>; Kim et al., 2015a: 47<백두산첨서>; IUCN, 2017. Sorex (Sorex) daphaenodon: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3;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Large-toothed Shrew. 분포. 한반도(북한), 중국, 러시아(시베리아, 캄차카 반도, 쿠릴 북부). 참고. 백두산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이 종에는 현재 S. d. daphaenodon Thomas, 1907, S. d. sanguinidens G. Allen, 1914, S. d. scaloni Ognev, 1933의 3 아종이 있다고 정리되었지 만(Roskov, 2017), 이것은 Wilson 등(2005)이 Mammal Species of the World 3rd ed.에서 정 리한 내용이다(Wilson and Reeder, 2005a). 현재 IUCN에서는 3개의 아종을 S. daphaenodon 으로 평가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10. Sorex (Sorex) gracillimus gracillimus Thomas, 1907 쇠뒤쥐 Sorex minutus gracillimus Thomas, 1907a: 408 (TL: Dariné, Korsakoff, Sakhalin Island);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8; Won, 1958: 450<쇠뒤쥐>;Jones and Johnson, 1960: 561; Woon, 1967: 269<쇠뒤쥐>; Won, 1968: 59<허항령첨서>; Kim et al., 2015a: 45<허항령첨서>. 28 Sorex minutus: Won, 1968: 58<허항령첨서>. Sorex gracillimus: Yoon and Koh, 1997: 299<쇠뒤쥐>; Yoon et al., 2004: 32<쇠뒤쥐>; Ohdachi et al., 2009: 14; IUCN, 2017. Sorex (Sorex) gracillimus gracillimus: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3;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lender Shrew. 분포. 한반도(북한), 중국(만주), 일본, 러시아(시베리아 동남부). 참고. 이 종은 현재까지 북한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전세계에 S. g. gracillimus Thomas, 1907, S. g. granti Okhotina, 1993, S. g. hyojironis Kuroda, 1939, S. g. minor Okhotina, 1993, S. g. natalae Okhotina, 1993의 5 아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정리되었으며(Roskov, 2017), 국 내 기록종인 S. minutus gracillimus 는 S. g. gracillimus 의 동물이명으로 정리되어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였다. 11. Sorex (Sorex) isodon Turov, 1924 큰발뒤쥐 Sorex araneus tomensis isodon Turov, 1924 : 111 (TL: River Sosovka, Bargusinsk taiga, Lake Baikal, Siberia). Sorex isodon princeps Skalon and Rajevsky, 1940 : 198(TL: Basin of Em-Engana, KondoSosvinski reserve, Siberia). Sorex isodon princeps montanus Skalon and Raevski, 1940: 199 (TL: Teletskoe Lake, Altai). Sorex isodon sachalinensis Okhotina, 1993 : 58. Sorex isodon montanus: Pavlinov , Borisenko, Kruskop and Yahontov, 1995: 336. Sorex isodon: Han et al., 2000 : 141; Yoon et al., 2004: 33<큰발뒤쥐>; Kim et al., 2015a: 47< 큰발첨서>; IUCN, 2017. Sorex (Sorex) isodon: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3; Roskov et al., 2017. 29 일반명(common name). Taiga Shrew. 분포. 한반도, 중국 북동부, 노르웨이 동남부, 러시아(캄차카, 사할린, 쿠릴섬). 참고. 이 종은 현재까지 한반도의 백두대간 산맥에서 확인된 기록만 있다. 12. Sorex (Sorex) unguiculatus Dobson, 1890 긴발톱뒤쥐 Sorex unguiculatus Dobson, 1890 : 155 (TL: Island of Sakhalin, Occurs Hokkaido);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2; Won, 1968: 54<긴발톱첨서>; Yoon et al., 2004: 35<긴 발톱첨서>; Ohdachi et al., 2009: 11; Kim et al., 2015a: 44<긴발톱첨서>; IUCN, 2017. Sorex daphaenodon yesoensis Kishida, 1924 : 168 (TL: Province of Nemuro, Hokkaido, Japan); Kuroda, 1928 : 222;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4; Kaneko and Maeda, 2002: 2. Sorex (Sorex) unguiculatus: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3<긴발톱뒤쥐>;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Long-clawed Shrew. 분포. 한반도(북한), 일본(홋카이도), 러시아(시베리아, 사할린). 참고. 이 종은 북한의 고산지대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Lee 등은 속명의 국명에 따라 ‘긴발톱뒤쥐’로 개칭하였다(Lee et al., 2014). Subgenus Ognevia Heptner and Dolgov, 1967 첨서아속 13. Sorex (Ognevia) mirabilis Ognev, 1937 큰첨서 Sorex mirabilis Ognev, 1937 : 268 (TL: Kiskinka River, Ussuri region, E Siberia); Won, 1968: 52<큰첨서>; Han et al, 2000: 141; Yoon et al., 2004: 34<큰첨서>. 30 Sorex mirabilis kutscheruki Stroganov, 1956 : 11 (TL: Biektan, N Korea); Jones and Johnson, 1960: 560; Won, 1968: 52<큰첨서>; Kim et al., 2015a: 43<큰첨서>. Sorex (Ognevia) mirabilis: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3;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Ussuri Shrew. 분포. 한반도, 중국 북동, 러시아(우수리). 참고. 이 종은 Hutterer에 의해 Ognevia 아속에 속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Hutterer, 2005). Family Talpidae G. Fischer, 1814 두더지과 Subfamily Talpinae G. Fischer, 1814 두더지아과 Tribe Talpini G. Fischer, 1814 두더지족 Genus Mogera Pomel, 1848 두더지속 14. Mogera wogura robusta Nehring, 1891 두더지 Mogera robusta Nehring, 1891 : 96 (TL: Vladivostock, E Siberia); Won, 1968: 47<큰두더지>; Kim et al., 2015a: 40<큰두더지>; IUCN, 2017. Talpa wogura Temminck, 1842 : 19 (TL: Nagasaki, Kyushu, Japan). Mogera wogura coreana Thomas, 1907b: 463 (TL: NE Seoul, Korea); Kuroda, 1934: 238; Won, 1968: 45<두더지>; Yoon et al., 2004: 22<두더지>; Koh et al., 2012a: 408. Talpa micrura corean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1; Won, 1958: 453<두더지>; Woon, 1967: 287<두더지>. Talpa wogura coreana: Jones and Johnson, 1960: 572. Talpa wogura robusta: Jones and Johnson, 1960: 573. 31 Talpa micrura robusta: Won, 1958: 453<큰두더지>; Woon, 1967: 292<큰두더지>. Mogera wogura: Won, 1968: 45<두더지>; Abe, 1995: 51; Kawada et al., 2001: 1003; Yoon et al., 2004: 22<두더지>; Ohdachi et al., 2009: 36; Kim et al., 2015a: 39<두더지>. Mogera wogura robusta: Corbet and Hill, 1991: 38; Kawada et al., 2001: 1003;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4; Roskov et al., 2017. Talpa robusta coreana: Yoon and Koh, 1997: 299<두더지>. Talpa robusta robusta: Yoon and Koh, 1997: 299<큰두더지>. 일반명(common name). Japanese Mole. 분포. 한반도, 중국 북동, 일본. 참고. M. wogura는 Ohdachi 등이 일본 서부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기재하였으며 (Ohdachi et al., 2009), IUCN의 평가서에도 일본 고유종이며 일본에만 서식하고, 한반 도 서식종은 M. robusta로 되어 있다(IUCN, 2017). 하지만, 이것은 분류학적인 연구에 의한 결과가 아니며, Kawada 등은 한국과 일본 표본의 연구를 통해 M. w. robusta로 분류했다(Kawada et al., 2001). 추후 연구에 의해 종의 수준으로 상향될 가능성이 있 지만, 본 연구에서는 Kawada 등의 연구결과에 따라 아종의 수준으로 정리하였다. Order Rodentia Bowdich, 1821 쥐목 Suborder Sciuromorpha Brandt, 1855 청설모아목 Family Sciur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청설모과 Subfamily Sciurinae Fischer de Waldheim, 1817 청설모아과 Tribe Sciurini Fischer de Waldheim, 1817 청설모족 Genus Sciurus Linnaeus, 1758 청설모속 Subgenus Sciurus Linnaeus, 1758 청설모아속 32 15. Sciurus (Sciurus) vulgaris mantchuricus Thomas, 1909 청설모 Sciurus vulgaris mantchuricus Thomas, 1909 : 501 (TL: Khingan Mountains, Manchuria, Chin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74; Koh et al., 2006: 1. Sciurus vulgaris Linnaeus, 1758 : 63; Thomas, 1907b: 464; Won, 1968: 157<청서>; Yoon et al., 2004: 107<청설모>; Lurz , Gurnell and Magris, 2005: 1; Ohdachi et al., 2009: 190. Sciurus vulgaris coreae Sowerby, 1921 : 252 (TL: Kore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74; Won, 1958 : 443<청솔모(청서)>; Jones and Johnson, 1965: 364; Woon, 1967: 171<청서(청설모)>; Won, 1968: 158<청서(서피, 청솔모, 산서피, 솔서피)>; Yoon and Koh, 1997: 300<청서>; Kim et al., 2015a: 88<청서(서피, 청솔모, 산서피, 솔서 피)>. Sciurus vulgaris coreanus Kishida, 1924 : 153. Sciurus (Sciurus) vulgaris mantchuricus: Wilson and Reeder, 2005; Koh et al., 2006: 1; Lee et al., 2014: 164;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Eurasian Red Squirrel. 분포. 구북구 지역. 참고. Koh 등의 mtDNA 연구결과에 의해 S. v. coreae와 S. v. mantchuricus 두 아종은 같은 종으로 확인되어 한반도 서식 아종이 1종으로 정리되었다(Koh et al., 2006). Tribe Pteromyini Brandt, 1855 하늘다람쥐족 Genus Pteromys G. Cuvier, 1800 하늘다람쥐속 16. Pteromys volans volans (Linnaeus, 1758) 하늘다람쥐 Sciurus volans Linnaeus, 1758: 64 (TL: Finland). 33 Sciuropterus aluco Thomas, 1907b: 464 (TL: Kaloguai, Korea). Sciuropterus russicus aluco: Kuroda, 1934: 231. Pteromys volans arsenjevi Ognev, 1934 : 30 (TL: River Kulume, Ussuri region, Siberia, Russia); Ognev, 1940 : 282;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67; Jones and Johnson, 1965: 369. Pteromys volans aluco: Ellerman, 1940: 294;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66; Jones and Johnson, 1965: 369; Woon, 1967: 180<하늘다람쥐>; Won, 1968: 151<날다라미>; Yoon and Koh, 1997: 300<하늘다람쥐>; Koh et al., 2008b: 169; Kim et al., 2015a: 86<날다라미>. Pteromys volan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66; Won, 1968: 151<날다라미>; Yoon et al., 2004: 112<하늘다람쥐>; Lee et al., 2008: 269; Ohdachi et al., 2009: 204; IUCN, 2017. Pteromys russicus aluco: Won, 1958: 445<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volans: Wilson and Reeder, 2005; Koh et al., 2008b: 171; Jackson , 2012: 156; Lee et al., 2014: 165;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Flying Squirrel. 분포. 한반도, 중국, 러시아, 구북구 북부(Jackson, 2012). 참고. Koh 등과 Lee 등에 의해 한반도 서식 종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졌다(Koh et al., 2008b; Lee et al., 2008). Subfamily Xerinae Osborn, 1910 다람쥐아과 Tribe Marmotini Pocock, 1923 다람쥐족 Genus Eutamias Trouessart, 1880 다람쥐속 34 17. Eutamias sibiricus barberi Johnson and Jones, 1955 다람쥐 Eutamias sibiricus barberi Johnson and Jones, 1955b: 175 (TL: Korea); Jones and Johnson, 1965: 366. Sciurus sibiricus Laxmann, 1769 : 69 (TL: Barnaul, Siberia). Sciurus striatus asiaticus Gmelin, 1788 : 150 (TL: E Sibeiria). Tamias orientalis Bonhote, 1899 : 385 (TL: Sungatscha River, Upper Ussuri, E Siberia, Russia); Thomas, 1907b: 465. Eutamias asiaticus orientalis: Thomas, 1908 b: 968; Kuroda, 1932 : 59; Kuroda, 1934: 230. Eutamias sibiricus: Ognev, 1940 : 398; Won, 1968: 162<다람쥐>. Tamias sibiricus asiatic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03; Won, 1958: 444<다람쥐 >[misprint = asiaricus]; Woon, 1967: 173<다람쥐>. Tamias sibiricus barberi: Won, 1958: 444; Yoon and Koh, 1997: 300<다람쥐>; Koh et al., 2009b: 1; Koh et al., 2010: 696. Eutamias sibiricus orientalis: Jones and Johnson, 1965: 367; Won, 1968: 162<다람쥐>. Tamias sibiricus orientalis: Yoon and Koh, 1997: 300<우수리다람쥐>; Kim et al., 2015a: 89< 다람쥐>. Tamias sibiricus: Yoon et al., 2004: 109<다람쥐>; Ohdachi et al., 2009: 198. Tamias (Eutamias) sibiricus orientalis: Wilson and Reeder, 2005; Roskov et al., 2017. Tamias (Eutamias) sibiricus barberi: Pisanu et al., 2013: 1201; Lee et al., 2014: 165. Eutamias sibiricus: Patterson and Norris, 2016: 24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Chipmunk. 분포. 한반도, 프랑스(Ile-de). 참고. Pisaun 등은 국내 다람쥐에 대한 분류연구에 따라 국내 고유종을 인정하여 아 종명인 barberi를 따랐으며(Pisanu et al., 2013), Patterson과 Norris은 다람쥐 그룹에 대 35 한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Tamias속을 Eutamias속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하였다 (Patterson and Norris, 2016). 본 연구에서도 이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기재하였다. Suborder Myomorpha Brandt, 1855 쥐아목 Superfamily Dipodoidea Fischer de Waldheim, 1817 뛰는쥐상과 Family Dipod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뛰는쥐과 Subfamily Sicistinae J. A. Allen, 1901 긴꼬리쥐아과 Genus Sicista Gray, in Griffith et al., 1827 긴꼬리쥐속 18. Sicista caudata Thomas, 1907 긴꼬리꼬마쥐 Sicista caudata Thomas, 1907a: 413 (TL: Sakhalin Is., Russ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25; Won, 1968: 167<긴꼬리꼬마쥐>; Yoon et al., 2004: 115<긴꼬리꼬마쥐>;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5; Kim et al., 2015a: 91<긴꼬리꼬마쥐 >;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Long-tailed Birch Mouse. 분포. 한반도(북한), 중국 북동, 러시아(프리모르스키 지방, 시호테알린산맥, 사할린). 참고. 이 종은 북한의 북부 지역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남한에서는 관찰된 기록이 없다. Superfamily Muroidea Illiger, 1811 쥐상과 Family Cricetidae Fischer, 1817 비단털쥐과 Subfamily Arvicolinae Gray, 1821 물밭쥐아과 Genus Lasiopodomys Lataste, 1887 물밭쥐속 36 19. Lasiopodomys mandarinus (Milne-Edwards, 1871) 쇠갈밭쥐 Arvicola mandarinus Milne-Edwards, 1871 : 129 (TL: Saratsi, N Shansi, China). Microtus kishidai Mori, 1930 : 53 (TL: Cheongnyangni, Korea); Won, 1968: 214<검은밭쥐>; Kaneko and Maeda, 2002: 13. Microtus mandarinus kishida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10; Won, 1958: 445<쇠갈 밭쥐>; Jones and Johnson, 1965: 378. Microtus mandari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09; Woon, 1967: 187<쇠갈밭쥐>; Kim et al., 2015a: 109<검은밭쥐>. Microtus mandarinus kishidae: Yoon and Koh, 1997: 301<쇠갈밭쥐>. Lasiopodomys mandarinus: Yoon et al., 2004: 115<쇠갈밭쥐>;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6;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Mandarin Vole. 분포. 한반도, 중국 중부와 북동부, 몽골 북부, 러시아(자바이칼, 시베리아동부, 서동 부). Genus Microtus Schrank, 1798 밭쥐속 Subgenus Alexandromys Ognev, 1914 밭쥐아속 20. Microtus (Alexandromys) fortis Büchner, 1889 갈밭쥐 Microtus fortis Büechner, 1889: 99 (TL: Valley of north loop of Hwangho River, border of Ordos Desert, Southern Mongolia). Microtus calamorum Thomas, 1902: 167 (TL: North bank of Lower Yangtsekiang River, Kiangsu, China). 37 Microtus pelliceus Thomas, 1911: 383 (TL: Ussuri River, E Siberia, Russia); Kuroda, 1934: 231. Microtus fortis calamorum: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02. Microtus fortis pellice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02; Won, 1958: 445<갈밭쥐>; Jones and Johnson, 1965: 376; Woon, 1967: 190<갈밭쥐>; Won, 1968: 211<갈밭쥐>; Kim et al., 2015a: 108<갈밭쥐>. Microtus fortis uliginosus Jones and Johnson, 1955: 193 (TL: Korea); Jones and Johnson, 1965: 377; Yoon and Koh, 1997: 301<갈밭쥐>. Microtus fortis: Yoon et al., 2004: 135<갈밭쥐>; IUCN, 2017. Microtus (Alexandromys) fortis: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6; Roskov, 2017. 일반명(common name). Reed Vole. 분포. 한반도, 중국 동부와 중부, 러시아(자바이칼, 아무르 지역, 사할린). Genus Myodes Pallas, 1811 들쥐속 21. Myodes rutilus (Pallas, 1778) 숲들쥐 Mus rutilus Pallas, 1778: 246 (TL: East of the Obi, W Siberia). Arvicola (Hypudaeus) amurensis Schrenck, 1858: 129 (TL: Mouth of River Amur, E Siberia). Clethrionomys rutilus hintoni Vinogradov, 1936: 81 (TL: S Ussuri, E Siber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62; Jones and Johnson, 1965: 375; Yoon and Koh, 1997: 300<적 등밭쥐>. Clethrionomys rutilus amur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61; Won, 1968: 208<숲 들쥐>; Kim et al., 2015a: 106<숲들쥐>. Clethrionomys rutilus: Won, 1968: 207<숲들쥐>; Yoon et al., 2004: 134<숲들쥐>. Myodes rutilus: Carleton et al., 2003: 96;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56; 38 Lee et al., 2014: 167; Carleton et al., 2014: 944; Roskov,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Northern Red-backed Vole. 분포. 구북구 북부, 유럽과 아시아 북부, 아메리카 북부, 아시아 서부. 참고. Clethrionomys 속 명에 대해 러시아 학자인 Teskov 등이 연구하고 유효성을 주 장하였으나(Tesakov et al., 2010), Carleton 등은 동물명명규약 (ICZN 1999)를 근거로 Myodes 속명이 유효성 및 선취권이 있음을 정리하였다(Carleton et al., 2014). 본 연구 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기재하였다. Genus Craseomys Miller, 1900 대륙들쥐속(신칭) 22. Craseomys regulus Thomas, 1906 비단털들쥐 Craseomys regulus Thomas, 1906: 863 (TL: Mungyong, Korea); Thomas, 1907b: 466; Kohli et al., 2014: 18. Hypudaeus rufocanus Sundevall, 1846: 122 (TL: Lappmark, Sweden). Cr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Howell, 1929: 51; Kuroda, 1934: 231;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66; Won, 1958: 445<대륙밭쥐>; Jones and Johnson, 1965: 374; Woon, 1967: 195<대륙밭쥐>; Won, 1968: 204<들쥐>. Crethrionomys rufocanus: Won, 1968: 204<들쥐>. Eothenomys regulus: Kaneko, 1990: 129; Wakana et al., 1996: 15; Yoon and Koh, 1997: 301< 대륙밭쥐>; Yoon et al., 2004: 130<비단털들쥐>; Kim et al., 2015a: 109<비단털들쥐 >. Myodes regulus: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6; Roskov et al., 2017; IUCN, 2017. 39 일반명(common name). Korean Red-backed Vole, Royal Vole. 분포. 한반도, 아시아 서부. 참고. Tesakov 등은 Craseomys 속명의 유효성을 주장하였으나(Tesakov et al., 2010), Carleton 등이 동물명명규약 (ICZN 1999)를 근거로 Myodes 속명이 유효성 및 선취권 이 있음을 정리하였다(Carleton et al., 2014). 하지만, Kohli 등은 Myodini 28종의 Cytb, ETS2, IRBP, G6pd 염기서열울 비교하여 M. regulus와 M. rufocanus가 일반적인 Myodes 속 및 M. rutilus와 구분되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이들 종을 Myodes 속으로부터 분리 하였다(Kohli et al., 2014). 본 연구에서도 이 연구결과를 받아들여 Craseomys 속으로 정리하였다. 23. Craseomys rufocanus (Sundevall, 1846) 대륙들쥐 Hypudaeus rufocanus Sundevall, 1846: 122 (TL: Lappmark, Sweden).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Howell, 1929: 51; Kuroda, 1934: 231;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66; Won, 1958: 445<대륙밭쥐>; Jones and Johnson, 1965: 374; Woon, 1967: 195<대륙밭쥐> (auct. non); Won, 1968: 204<들쥐>; Kim et al., 2015a: 105<들쥐>. Clethrionomys rufocanus arsenjevi: Goodwin, 1933: 12; Jones and Johnson, 1965: 372; Yoon and Koh, 1997: 300<회적등밭쥐>. Clethrionomys rufocanus rufoca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66. Clethrionomys rufocanus: Won, 1968: 204<들쥐>; Kaneko, 1990: 129; Kaneko et al., 1998: 21; Yoon et al., 2004: 132<대륙밭쥐>. Eothenomys regulus: Yoon and Koh, 1997: 301<대륙밭쥐> (auct. non). Myodes rufocanus: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50; Lee et al., 2014: 166< 대륙들쥐>; Carleton et al., 2014: 953; Roskov et al., 2017; IUCN, 2017. 40 Craseomys rufocanus: Kohli et al., 2014: 18. 일반명(common name). Grey Red-backed Vole, Grey-sided Vole. 분포. 구북구 북부, 유럽, 아시아 북부와 서부. 참고. Lee 등은 속의 국명에 따라 혼용되어 불리던 국명을 ‘대륙들쥐’로 개칭하여 정리하였다(Lee et al., 2014). 또한, Kohli 등이 Myodini 28종의 Cytb, ETS2, IRBP, G6pd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M. regulus와 M. rufocanus가 일반적인 Myodes속 및 M. rutilus와 구분되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이들 종을 Myodes 속으로부터 분리하였다(Kohli et al., 2014). 본 연구에서도 이 연구결과를 받아들여 정리하였다. Genus Ondatra Link, 1795 사향쥐속 24. Ondatra zibethicus (Linnaeus, 1766) 사향쥐 Castor zibethicus Linnaeus, 1766: 79 (TL: E Canada). Ondatra zibethicus: Won, 1968: 200<사향쥐>; Willner et al., 1980: 1; Yoon et al., 2004: 140< 사향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62; Lee et al., 2014: 169; Kim et al., 2015a: 103<사향쥐>;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Muskrat. 분포. 한반도,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중부와 북부, 아메리카 북부, 멕시코, 아르헨 티나. Subfamily Cricetinae Fischer, 1817 비단털쥐아과 Genus Cricetulus Milne-Edwards, 1867 비단털등줄쥐속 41 25. Cricetulus barabensis (Pallas, 1773) 비단털등줄쥐 Mus barabensis Pallas, 1773: 704 (TL: Kasmalinskii Bor, banks of Ob River, W Siberia, Russia). Cricetulus griseus fumatus Thomas, 1909: 503 (TL: Chu-chia-t’ai, Kirin Prov., Manchuria, China). Cricetulus barabensis fumatus: Chaworth-Musters, 1933: 223;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24; Won, 1958: 446<비단털등줄쥐>; Jones and Johnson, 1965: 370; Woon, 1967: 209<비단털등줄쥐>; Won, 1968; 197<짧은꼬리비단털쥐>; Yoon and Koh, 1997: 300<비단털등줄쥐>; Kim et al., 2015a: 102<짧은꼬리비단털쥐>. Cricetulus barabensis: Won, 1968; 197<짧은꼬리비단털쥐>; Yoon et al., 2004: 138<비단털 등줄쥐>; Wilson and Reeder, 2005; Lee et al., 2014: 167;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Striped Dwarf Hamster. 분포. 한반도(북한), 중국 북동, 러시아(시베리아 서부, 우수리). 참고. 이 종은 북한에서 채집된 기록만 있다. Genus Tscherskia Ognev, 1914 비단털쥐속 26. Tscherskia triton (de Winton, 1899) 비단털쥐 Cricetus (Cricetulus) triton de Winton, 1899: 575 (TL: N Shantung, China); Won, 1968: 194< 비단털쥐>. Cricetulus nestor Thomas, 1907b: 466 (TL: Gimhwa, Korea); Thomas, 1908a: 9. Cricetulus triton nestor: Howell, 1929: 50 (TL: Near Imienpo, Manchuria, China); Kuroda, 42 1934: 231; Won, 1958: 446<비단털쥐>; Jones and Johnson, 1965: 370; Woon, 1967: 202; Won, 1968: 195<비단털쥐>; Yoon and Koh, 1997: 301<비단털쥐>; Koh et al., 2013: 31; Kim et al., 2015a: 101<비단털쥐>. Asioricetus bampensis Kishida, 1929: 150 (TL: Korea). Asioricetus yamashinai Kishida, 1929: 156 (TL: Korea). Tscherskia triton: Yoon et al., 2004: 139<비단털쥐>;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7;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Greater Long-tailed Hamster. 분포. 한반도, 중국 북동, 러시아(우수리), 유럽, 아시아 북부와 서부. Family Muridae Illiger, 1811 쥐과 Subfamily Murinae Illiger, 1811 쥐아과 Genus Apodemus Kaup, 1829 붉은쥐속 27. Apodemus agrarius (Pallas, 1771) 등줄쥐 Mus agrarius Pallas, 1771: 454 (TL: Simbirsk, Russia). Mus agrarius mantchuricus Thomas, 1898a: 774 (TL: Manchuria, China); Thomas, 1907b: 465;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75; Jones and Johnson, 1965: 385.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 1908a: 8 (TL: Mungyong, Korea); Kuroda, 1934: 233;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75; Won, 1958: 446<등줄쥐>; Jones and Johnson, 1965: 383; Woon, 1967: 214<등줄쥐>; Won, 1968: 182<등줄쥐>; Yoon and Koh, 1997: 301<등줄쥐>; Koh et al., 2000: 30; Koh et al., 2009a: 51; Kim et al., 2015a: 96< 등줄쥐>. Apodemus agrarius gloveri Kuroda, 1939: 28 (TL: Altorian, Nekka Province, Jehol, NE China); 43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75; Kaneko and Maeda, 2002: 15. Apodemus agrari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74; Jones and Johnson, 1965: 381; Won, 1968: 181<등줄쥐>; Yoon et al., 2004: 125<등줄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72; Lee et al., 2014: 167; Roskov et al., 2017; IUCN, 2017. Apodemus agrarius pallescens Johnson and Jones, 1955b: 169 (TL: Gunsan, Korea); Won, 1958: 447; Johnson and Jones, 1965: 386. Apodemus agrarius mantchuricus: Yoon and Koh, 1997: 301<만주등줄쥐>. 일반명(common name). Striped Field Mouse. 분포. 한반도,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시베리아), 유럽 동부. 28. Apodemus chejuensis Johnson et Jones, 1955 제주등줄쥐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Johnson and Jones, 1955b: 171 (TL: Jeju Is., Korea); Won, 1958: 447<제주등줄쥐>; Jones and Johnson, 1965: 382; Oh and Mori, 1998: 143; Koh et al., 2000: 30; Oh, 2001: 87. Apodemus chejuensis: Yoon and Koh, 1997: 301<제주등줄쥐>; Oh, 2001: 87. 일반명(common name). Jeju Striped Field Mouse. 분포. 한반도(제주). 참고. Oh는 A. agrarius corea 와 형태적 비교를 통해 개별 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 당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Oh, 2001). 추가적인 분류 연구를 통해 개별 종으로 입지를 확고히 하는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지만, 본 연구에서도 Oh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44 29. Apodemus peninsulae (Thomas, 1906) 흰넓적다리붉은쥐 Micromys speciosus peninsulae Thomas, 1906: 862 (TL: Mungyong, Korea); Thomas, 1907b: 465. Micromys speciosus giliacus Thomas, 1907a: 411 (TL: Korsakoff, Saghalien, Russia). Mus sylvaticus Linnaeus, 1758: 62 (TL:Upsala, Sweden). Mus sylvaticus draco Barrett-Hamilton, 1900: 418 (TL: Fukien, SE China). Apodemus peninsulae nigritalus Hollister, 1913: 1 (TL: Tapucha, Altai Mountains, Siberia, Russia). Apodemus praetor Miller, 1914: 89. Apodemus peninsulae: Miller, 1914 : 89; Yoon et al., 2004: 127<흰넓적다리붉은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73; Lee et al., 2014: 168; Roskov et al., 2017; IUCN, 2017.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Kuroda, 1934: 233; Won, 1958: 447 <흰넓적다리붉은쥐 >[misprint = heninsulae]; Woon, 1967: 222<흰넓적다리붉은쥐>; Won, 1968: 185<흰 배숲쥐>. Apodemus sylvaticus giliac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71. Apodemus sylvaticus draco: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71; Won, 1958: 447(auct. non). Apodemus flavicollis peninsulae: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66. Apodemus peninsulae sowerbyi Jones, 1956: 337 (TL: N Shansi, China). Apodemus peninsulae peninsulae: Jones and Johnson, 1965: 387; Yoon and Koh, 1997: 301<흰 넓적다리붉은쥐>; Koh et al., 2008a: 61; Kim et al., 2015a: 97<흰배숲쥐>. Apodemus speciosus: Won, 1968: 184<흰배숲쥐>; Ohdachi et al., 2009: 175. Apodemus peninsulae qinghaiensis Feng, Zheng and Wu, 1983: 108. Apodemus sylvaticus: Yoon et al., 2004: 127<북숲쥐>(auct. non) 45 일반명(common name). Korean Wood Mouse, Korean Field Mouse. 분포. 한반도, 중국 북부, 일본(홋카이도), 아시아 북동, 러시아(사할린). 참고. Lee 등은 Won이 오동정으로 잘못 기재한 A. s. draco를 Yoon 등에서 북숲쥐로 다시 기록한 것으로 판단하여 목록에서 정리하였다(Won, 1958; Yoon et al., 2004; Lee et al., 2014). Genus Micromys Dehne, 1841 멧밭쥐속 30.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멧밭쥐 Mus minutus Pallas, 1771: 454 (TL: Simbirsk, Russia). Mus minutus ussuricus Barrett-Hamilton, 1899: 344 (TL: Ussuri, SE Siberia, Russia). Micromys minutus ussuricus: Kuroda, 1934: 234; Won, 1958: 448; Jones and Johnson, 1965: 380; Woon, 1967: 231<멧밭쥐>; Won, 1968: 189<멧쥐>; Yoon and Koh, 1997<멧밭 쥐>. Micromys minutus hertigi Johnson and Jones, 1955a: 167 (TL: Jeju Is., Korea); Won, 1958: 448; Jones and Johnson, 1965: 379; Yoon and Koh, 1997: 301<제주멧밭쥐>. Micromys minutus: Won, 1968: 188<멧쥐>; Yoon et al., 2004: 123<멧밭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70; Lee et al., 2014: 168; Kim et al., 2015a: 98< 메쥐>;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Harvest Mouse. 분포. 한반도(제주 포함), 중국 북서, 일본, 대만, 베트남, 버마 북부, 인도 북동, 러 시아, 유럽 대부분. Genus Mus Linnaeus, 1758 생쥐속 46 31. Mus (Mus) musculus musculus Linnaeus, 1758 생쥐 Mus musculus Linnaeus, 1758: 62 (TL: Upsala, Sweden). Mus molossinus Temminck, 1845: 51 (TL: Japan); Woon, 1967: 249<생쥐>. Mus bactrianus yamashinai Kuroda, 1934: 234 (TL: Mokpo, Korea). Mus molossinus utsuryonis Mori, 1938: 16 (TL: Ulleung Is., Korea); Kaneko and Maeda, 2002: 14. Mus musculus yamashinai: Ellerman et al., 1940: 248; Won, 1958: 449<생쥐>; Jones and Johnson, 1965: 395; Yoon and Koh, 1997: 301<생쥐>. Mus musculus molossi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606; Jones and Johnson, 1965: 395; Won, 1968: 178<생쥐>; Yoon and Koh, 1997: 301<제주생쥐>; Kim et al., 2015a: 95<생쥐>. Mus musculus utsuryonis: Won, 1958: 450; Won and Woo, 1958: 88; Jones and Johnson, 1965: 395; Yoon and Koh, 1997: 301<울릉생쥐>. Mus musculus: Won, 1968: 178<생쥐>; Yoon et al., 2004: 121<생쥐>; Ohdachi et al., 2009: 185; IUCN, 2017. Mus (Mus) musculus: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8. Mus (Mus) musculus musculus: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House Mouse. 분포.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 참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Mus (Mus) musculus에 5개의 아종이 기록되고 있으며, 국 내 기록종은 그 중에서 M. m. musculus의 동물이명에 포함된다(Roskov, 2017). 본 연 구에서는 Roskov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M. m. musculus로 정리하였다. 47 Genus Rattus Fischer de Waldheim, 1803 집쥐속 32. Rattus norvegicus (Berkenhout, 1769) 집쥐 Mus norvegicus Berkenhout, 1769: 5 (TL: Britain). Mus caraco Pallas, 1778: 91 (TL: E Siberia, Russia). Rattus norvegicus caraco: Vinogradov and Obolensky, 1927: 237;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89; Won, 1958: 449<만주집쥐>; Jones and Johnson, 1965: 389; Woon, 1967: 248<만주집쥐>; Yoon and Koh, 1997: 301<시궁쥐(집쥐)>. Rattus norvegicus norvegicus: Kuroda, 1934: 234;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89; Won, 1968: 173<집쥐(부덕쥐, 시궁창쥐)>; Kim et al., 2015a: 93<집쥐(부덕쥐)>. Rattus norvegicus longicaudus Mori, 1937: Won, 1958: 449<울도긴꼬리집쥐>; Won, 1968: 176<울릉도긴꼬리집쥐>. Rattus norvegicus: Won, 1958: 448<집쥐>; Woon, 1967: 239<집쥐(시궁쥐)>; Won, 1968: 172<짧은꼬리집쥐>; Yoon et al., 2004: 118<집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80; Lee et al., 2014: 169;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Brown Rat, Norway Rat. 분포. 전 세계. 참고. IUCN의 평가서에서 분포지에 한반도는 제외되어 있다(IUCN, 2017). 33. Rattus tanezumi (Temmink, 1844) 동양집쥐 Mus tanezumi Temminck, 1844: 51 (TL: Kyushu Is., Japan). Mus rattus: Linnaeus, 1758: 61 (TL: Sweden). Mus alexandrinus Geoffroy, 1803: 192. Rattus rattus alexandrinus: Kuroda, 1934: 234. 48 Rattus norvegicus longicaudus Mori, 1937: 42 (TL: Ulleung Is., Korea). Rattus rattus flavipectus: Ellerman et al., 1941: 58; Jones and Johnson, 1965: 390. Rattus ratt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81; Won, 1958: 448<곰쥐>; Won, 1968: 176<긴꼬리집쥐>; Yoon et al., 2004: 119<애급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81. Rattus rattus rufescen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82; Woon, 1967: 236. Rattus rattus tanezum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582; Koh, 1992: 231; Yoon and Koh, 1997: 301<곰쥐>. Rattus alexandrinus: Won, 1958: 448<애급쥐>. Rattus rattus rattus: Won, 1968: 176<검은긴꼬리집쥐(곰쥐)>; Kim et al., 2015a: 94<긴꼬리 집쥐(검은긴꼬리집쥐)>. Rattus tanezumi: Wilson and Reeder, 2005a; Lee et al., 2014: 169;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Oriental House Rat, Asian Rat, Tanezumi Rat. 분포. 한반도, 중국, 아시아 남부(아프가니스탄, 네팔, 부탄, 인도 등). 참고. 국내 표본의 분류학적 연구에서 국내종을 R. rattus tanezumi로 동정한 Koh의 연구결과에 따라 남한에서 확인된 종은 tanezumi인 것으로 파악된다(Koh, 1992). Iwasa는 일부 연구자들의 ‘Asian black rats’에 대한 연구결과인 유전적 다양성과 형태 적 다양성을 반영하여 R. tanezumi로 인정해야 한다는 제안을 기재하기도 하였다 (Ohdachi et al., 2009). Lee 등도 남한 서식종을 R. tanezumi로 정리하며 ‘동양집쥐’로 신칭하였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과거 기록되던 R. rattus 가 한반도에 서식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하였다(Lee et al., 2014). IUCN의 평가서에는 R. tanezumi 분포지에 한반도가 포함(Extant (resident))되어 있다(IUCN, 2017). 본 연구에서도 Lee 등과 49 IUCN의 연구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Suborder Hystricomorpha Brandt, 1855 물쥐아목 Infraorder Hystricognathi Brandt, 1855 물쥐하목 Family Myocastoridae Ameghino, 1902 큰물쥐과 Genus Myocastor Kerr, 1792 큰물쥐속 34. Myocastor coypus (Molina, 1782) 큰물쥐 Mus coypus Molina, 1782: 287 (TL: Rio Santiago Prov.). Myocastor coypus Kerr, 1792: 225: Yoon et al., 2004: 141<뉴트리아>;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88; Lee et al., 2014: 169; Kim et al., 2015a: 110<해리서 >;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Coypu, Nutria. 분포. 한반도, 브라질 서부, 파라과이, 우루과이, 볼리비아, 아르젠티나, 칠레. 참고. 본 종은 우리나라에 ‘뉴트리아’로 알려진 종으로 Lee 등은 이 종이 외래종이 지만, 국내 생태계에 정착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하면서 국명 을 ‘큰물쥐’로 신칭하였다(Lee et al., 2014). 현재 전세계에 4개의 아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국내 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국내에서 일반명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뉴트리아’는 해외에서 ‘수달 Lutra lutra’의 일반명 ‘Nutria(Spanish)’(IUCN, 2017)이기도 하기 때문에 두 종 사이의 명칭 구분이 필요하 다. 50 Order Lagomorpha Brandt, 1855 토끼목 Family Ochotonidae Thomas, 1897 우는토끼과 Genus Ochotona Link, 1795 우는토끼속 Subgenus Pika Lácèpde, 1799 북방우는토끼아속 35. Ochotona (Pika) coreana Allen and Andrews, 1913 우는토끼 Ochotona (pika) coreanus Allen and Andrews, 1913: 429 (TL: Korea). Lepus hyperboreus Pallas, 1811: 152 (TL: Chukotka region, E Siberia). Ochotona hyperborea corean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55; Won, 1958: 443<우 는토끼>[misprint = Ochatona]; Jones and Johnson, 1965: 361; Woon, 1967: 157 <우는 토끼(생토끼)>. Ochotona alpina coreana: Won, 1968: 141 <쥐토끼(쩍쥐, 우는토끼)>; Yoon and Koh, 1997: 300 <우는토끼>; Kim et al., 2015a: 82 <쥐토끼(쩍쥐, 우는토끼)> Ochotona hyperborea: Yoon et al., 2004: 97<우는토끼>; Ohdachi et al., 2009: 210. Ochotona (Pika) hyperborea coreana: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Ochotona (Pika) coreana: Lissovsky et al., 2008: 5; Lissovsky, 2014: 199. Ochotona coreana: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Korean Pika, Korean Piping Hare. 분포. 한반도(북한), 중국(지린성). 참고. 이 종은 북한 지역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Lissovsky에 의해 Ochotona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리가 이루어졌으며(Lissovsky, 2014), 한반도 아종은 종의 수준으로 인정 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였다. 51 Family Leporidae Fischer, 1817 토끼과 Genus Lepus Linnaeus, 1758 산토끼속 Subgenus Eulagos Gray, 1867 멧토끼아속 36. Lepus (Eulagos) coreanus Thomas, 1892 멧토끼 Lepus sinensis coreanus Thomas, 1892b: 146(TL: Seoul, Kore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42; Won, 1958: 443<토끼>; Woon, 1967:159 <멧토끼(산토끼)>; Yoon and Koh, 1997: 300 <멧토끼>. Lepus coreanus: Kurada, 1934: 230; Jones and Johnson, 1965: 362; Yoon et al., 2004: 99 <멧토 끼>; IUCN, 2017. Lepus mandschuricus: Won, 1968: 145 <메토끼>. Lepus (Eulagos) coreanu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Korean Hare. 분포.한반도(남한), 아시아 서부. 참고. 한국 고유종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IUCN의 평가서에서는 분류학적 위치가 명 확하지 않다고 보고하고 있다(IUCN, 2017). Thomas는 본 종과 L. sinensis typicus (현 L. timidus)가 형태적으로 털의 색과 두개골에서 다른 것을 바탕으로 신 아종으로 기재 하였다(Thomas, 1892a). 이후 Koh와 Jang은 Lepus속 5종(L. americanus, L. capensis, L. coreanus, L. mandshuricus, L. timidus)의 Nuclear Thyroglobulin Gene(TG gene)과 mtDNA Control Region의 차이를 바탕으로 L. coreanus를 종으로 구분하였고, 이후로 남한의 고유종으로 기록되고 있다(Koh and Jang, 2010). 하지만, 이 연구결과에서는 maximum parsimony tree로 분지분류학적 계통도(cladistics tree)만 제시하여 유전적 거리(genetic distance)는 확인 할 수 없다. 또한, 분석 재료로 사용한 TG gene과 mtDNA Control 52 Region는 포유류에서 종이나 아종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기보다 의학분야에 서 종 내의 개체별 차이나 변이로 인한 갑상선 질환 등의 연구에 사용하는 영역이 다. 동물 분류학에서의 DNA를 이용한 방법론은 Vogler와 Monaghan이 광범위한 연 구결과들을 정리하며 동물의 DNA 분류법에서는 mtDNA를 이용한 결과가 가장 신 뢰할 수 있음을 밝혔다(Vogler and Monaghan, 2007). Lepus 속에 대해서도 Wu 등이 mtDNA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서식종들에 대해 계통학적(phylogenetic) 및 생물지리학 적(biogeography) 관계를 확인한 연구결과가 있다. 이 연구에서 Wu 등은 timidus group이 3개의 중국종인 L. yarkandensis, L. mandshuricus, L. melainus를 포함하고 있으 며, 다른 timidus 분류군과 coreanus 사이의 유전적 거리(genetic distance)는 0.018~0.041로 확인되어 L. coreanus는 L. timidus와 밀접한 아종관계로 보임을 기술하 였다(Wu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Wu 등의 연구결과를 따라 L. coreanus는 단일 종이 아니며 한국 고유종도 아니라고 생각되나, 더 명확한 연구가 위의 결과를 지 지하기 전까지는 보수적인 입장으로 기존의 정리를 반영하여 개별 종으로 정리하였 다. 37. Lepus (Eulagos) mandshuricus Radde, 1861 북방토끼 Lepus mandschuricus Radde, 1861: 684 (TL: Bureja Mountains, E Amurland); Jones and Johnson, 1965: 363; Won, 1968: 145 <메토끼>; Yoon et al., 2004: 101 <북방토끼(만 주토끼)>; Kim et al., 2015a: 84 <메토끼>; IUCN, 2017. Lepus brachyurus mandshuric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42. Lepus (Eulagos) mandshuricu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Manchurian Hare. 분포. 한반도(북한), 유럽, 아시아 북부(중국 제외)와 서부. 53 참고. Jones과 Johnson (1965)는 개별 종으로 기재했지만, 과거 남한과 북한에서 같은 국명으로 불린 ‘메토끼’는 각각 학명이 남한에서는 L. coreanus 로 북한에서는 L. mandschuricus로 기재되었다(Yoon et al., 2004; Kim et al., 2015a). 하지만, 남한에서 2004년 Yoon 등이 북한의 L. mandschuricus를 ‘북방토끼(만주토끼)’로 신칭하면서 한 반도에 서식하는 Lepus속이 공식적으로 2종으로 기록되기 시작하였다(Yoon et al., 2004). 이는 실제로 남한과 북한에 서식하는 야생 토끼를 직접 확인하여 2종으로 기 록한 것이 아니였으므로 동일종을 다른 학명으로 기재한 것일 수 있다. 즉, 북한에 서 기재하고 있는 L. mandschuricus 가 L. coreanus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Wu 등의 연구결과를 참고한다면 L. mandschuricus 도 timidus group에 속하는 아종일 가능 성도 있다(Wu et al., 2005).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를 지지하는 추가적인 연구결과 가 있을 때까지 보수적인 입장으로 기존의 문헌을 반영하여 목록에 남겨놓았다. Order Chiroptera Blumenbach, 1776 박쥐목 Suborder Microchiroptera Dobson, 1875 작은박쥐아목 Family Rhinolophidae Bell, 1836 관박쥐과 Genus Rhinolophus Lacépède, 1799 관박쥐속 38.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1938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1938: 91 (TL: S Korea): Won, 1958: 453<관박쥐 >[misprint = korea]. Vespertilio ferrum-equinum Schreber, 1774: 174 (TL: France). Rhinolophus nippon pachyodontus Kishida, 1931: 379 (TL: Korea) (nom. nud.). Rhinolophus quelpartis Mori, 1933: 1(in Japaneses), 4(in English) (TL: Quelpart Island, off Korea). 54 Rhinolophus ferrumequinum: Won, 1968: 76<주름코박쥐>; Yoon et al., 2004: 47<관박쥐>; Ohdachi et al., 2009: 58; Kim et al., 2015a: 53<주름코박쥐>; IUCN, 2017. Rhinolophus ferrumequinum quelpart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12; Won, 1958: 453<제주관박쥐>; Woon, 1967:305<제주관박쥐>; Won, 1968: 81 <제주주름코박쥐 >; Yoon and Koh, 1997: 299<제주관박쥐>; Yoon et al., 2004: 47<제주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12; Woon, 1967:302 <관박쥐>; Won, 1968: 77<주름코박쥐>; Yoon and Koh, 1997: 299<관박쥐>; Yoon et al., 2004: 47<관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Yoon, 2010<관박쥐>; Kim et al., 2015a: 53<주름코박쥐(관박쥐, 국두박쥐)>;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Greater Horseshoe Bat. 분포. 아시아 서부. 참고. Kruskop 등은 한국 표본과 코카서스 표본 사이에서 큰 유전적 차이(genetic divergence- 5%)를 확인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Kruskop et al., 2012).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을 따라 아종으로 정리하였다. 하지만, 제주관박쥐 R. f. quelpartis는 별개의 아종으로 입증하는 연구결과들이 없어 관박쥐 R. f. korai의 동물 이명으로 정리하였다. Family Molossidae Gill, 1872 큰귀박쥐과 Subfamily Molossinae Gervais, 1856 큰귀박쥐아과 Genus Tadarida Rafinesque, 1814 큰귀박쥐속 39. Tadarida insignis (Blyth, 1862) 큰귀박쥐 Nyctinomus insignis Blyth, 1861: 90 (TL: Amoy, Fukien, China); Ognev, 1927: 159. 55 Cephalotes teniotis Rafinesque, 1814: 12 (TL: Sicily). Tadarida septentrionalis Kishida and Mori, 1931: 379 (TL: N Korea) (nom. nud.). Tadarida teniotis insign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34; Won, 1958: 460<대륙큰귀 박쥐>; Woon, 1967: 353<북방큰귀박쥐>; Won, 1968: 139 <큰귀박쥐>; Yoon and Koh, 1997: 300<북방큰귀박쥐(큰귀박쥐)>; Kim et al., 2015a: 81<큰귀박쥐>. Tadarida teniotis: Won, 1968: 138<큰귀박쥐>; Kim et al., 2015a: 80<큰귀박쥐>; Yoon, 2009: 90; Yoon, 2010<큰귀박쥐>. Tadarida insignis: Funakoshi and Kunisaki, 2000: 115; Yoon et al., 2004: 93 <큰귀박쥐(북방 큰귀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30;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East Asian Free-tailed Bat. 분포. 아시아 서부. 참고. Tadarida insignis는 T. teniotis와 동일종인지 별개의 종인지 확인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있었지만, Funakoshi와 Kunisaki는 형태적 특징을 통계분석하여 개별 종으로 제안하였다(Funakoshi and Kunisaki, 2000). Yoon은 일본의 T. insignis와 한국 서식종이 형태적으로 일부 다른 것(예: the dorsal fur coloration, the shape of keel 등)을 증거로 T. teniotis로 기재하였다(Yoon, 2010). 하지만, Funakoshi와 Kunisaki도 일본을 포함한 지 역의 종을 T. insignis로 정리하였으며, IUCN 평가서에서 T. teniotis는 유럽서식종으로 T. insignis는 일본과 타이완, 한국에 서식하는 종으로 기술한 것을 반영하여 본 연구 에서는 T. insignis로 정리하였다(IUCN, 2017). Family Vespertilionidae Gray, 1821 애기박쥐과 Subfamily Vespertilioninae Gray, 1821 애기박쥐아과 56 Genus Myotis Kaup, 1829 윗수염박쥐속 40. Myotis sibiricus Kastschenko, 1905 윗수염박쥐 Harpiocephalus leucogaster sibiricus Kastschenko, 1905: 102b (TL: Tomsk region, Siberia). Vespertilio mystacinus Kuhl, 1819: 202 (TL: Germany). Vespertilio brandtii Eversmann, 1845: 505 (TL: Foothills of Ural Mountains, U.S.S.R.). Myotis mystacinus gracilis Ognev, 1927: 145 (TL: Vladivostock, E Siber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0; Woon, 1967: 311<큰수염박쥐 >; Won, 1968: 94<웃수염 박쥐>; Yoon and Koh, 1997: 300<큰수염박쥐(윗수염박쥐)>Yoon et al., 2004: 53<윗 수염박쥐(큰수염박쥐)>; Yoon, 2010<윗수염박쥐(큰수염박쥐)>; Kim et al., 2015a: 61<웃수염박쥐>. Murina leucogaser sibiric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85. Myotis mytacinus: Won, 1968: 93<웃수염박쥐>; Yoon et al., 2004: 53 <윗수염박쥐(큰수염 박쥐)> ; Kim et al., 2015a: 60<웃수염박쥐>; IUCN, 2017. Myotis gracilis: Won, 1958: 454<큰수염박쥐>; Ohdachi et al., 2009: 102 <우수리큰수염박 쥐>. Myotis brandtii gracilis: Wilson and Reeder, 2005a. Myotis sibiricus: Kruskop et al., 2012: 9;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Bat. 분포. 한반도, 유럽, 아시아 북부. 참고. Kawai는 한국명을 ‘우수리큰수염박쥐’라고 기재하며, 학명을 M. gracilis Ognev, 1927로 기록하고 참고에 분류적 위치에 대해 설명하였다(Ohdachi et al., 2009). 반면에 Kruskop 등은 DNA barcode 연구를 통해 M. brandii gracillis와 M. mystacinus gracillis를 57 M. sibiricus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하였으므로(Kruskop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결과를 반영하여 기재하였다. 41. Myotis bombinus Thomas, 1905 흰배윗수염박쥐 Myotis nattereri bombinus Thomas, 1905: 337 (TL: Tano, Miyasaki Ken, Kyushu, Japan);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3; Yoon, 1990: 185; Yoon and Koh, 1997: 300< 흰배윗수염박쥐>; Yoon et al., 2004: 58<흰배윗수염박쥐>; Yoon, 2010: 44<흰배윗 수염박쥐>. Myotis nattereri amurensis Ognev, 1927: 144 (TL: Amur River, E Siber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3; Won, 1958: 454<아므르박쥐>; Woon, 1967: 314 <아무르 박쥐>; Won, 1968: 91<흰배윗수염박쥐(아무르윗수염박쥐)>; Kim et al., 2015a: 59< 흰배웃수염박쥐(아무르웃수염박쥐)>. Myotis bombinus amurensi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Myotis bombinus bombinu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Myotis bombinus: Ohdachi et al., 2009: 110;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Far Eastern Myotis. 분포. 한반도, 일본, 시베리아 동남부, 중국 동북부. 참고. Kawai 등의 연구에서 유럽과 일본의 M. nattereri가 서로 다른 그룹임을 밝혀 현재는 M. nattereri와 M. bombinus로 분리되었다(Kawai et al., 2003). 또한, M. bombinus 는 M. b. bombinus와 M. b. amurensis 2개의 아종으로 정리되었다(Roskov, 2017). 하지만, Yoon은 한국 서식종으로 기록되어온 M. nattereri amurensis에 대해 형태적 유사성을 근거로 일본 서식종인 M. n. bombinus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하였고(Yoon, 1990; Yoon, 2010), Ohdachi 등과 IUCN의 평가서에서는 2개의 아종을 인정하지 않고 종의 수준 58 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종의 수준으로 기재하였다. 향후 한반도와 주 변 나라의 서식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추가된다면 아종으로 기재될 가능성도 있다. 42.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Ognev, 1927 물윗수염박쥐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Ognev, 1927: 146 (TL: Vladivostock, E Siberia); Kuroda, 1934: 239;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7; Won, 1958: 454<우스리박쥐>; Woon, 1967: 312 <우수리박쥐>; Won, 1968: 84<물웃수염박쥐(우수리다우벤톤박쥐)>; Yoon, 1990: 181; Yoon and Koh, 1997: 299<우수리박쥐(물윗수염박쥐)>; Yoon et al., 2004: 61<물윗수염박쥐(우수리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Yoon, 2010: 40< 물윗수염박쥐>; Kim et al., 2015a: 56<물웃수염박쥐(우쑤리다운벤톤박쥐)>; Roskov et al., 2017. Vespertilio daubentonii Kuhl, 1819: 195 (TL: Hanau, Hessen-Nassau, Germany). Myotis petax Hollister, 1912: 6 (TL: Altai district, Siberia); Ohdachi et al., 2009: 112. 일반명(common name). Daubenton’s Myotis.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Kawai는 한국명 ‘우수리박쥐’의 학명을 M. petax Hollister, 1912로 정리하면서 remark에 이전에는 M. daubentonii에 포함된 아종이었지만 형태적 데이터와 DNA sequences 등을 통해 2개의 그룹(Western, Eastern)으로 분리되었다고 설명하였다 (Ohdachi et al., 2009). 또한, 이 중 “Eastern” group의 유효명은 M. petax이며, 3개의 아 종(M. p. ussuriensis, M. p. loukashkini and M. p. chosanensis)을 포함한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반영하기엔 이를 뒷받침하는 다른 출판된 연구결과를 확인하 지 못하여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유효학명으로 정리하였다. 앞의 연구에 대한 59 결과를 지지하는 더욱 많은 자료가 확보되었을 경우 M. petax로 재정리가 필요할 것 이다. 43. Myotis formosus tsuensis Kuroda, 1922 붉은박쥐 Myotis tsuensis Kuroda, 1922: 43 (TL: Izugahara, Tsushima Island, S Japan). Myotis formosus Hodgson, 1835: 700 (TL: Nepal). Myotis chofusukei Mori, 1928: 389 (TL: Kaishu, Hokaido, Korea). Myotis formosus chofusuke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6; Won, 1958: 455<붉은박 쥐>. Myotis formosus tsu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6; Woon, 1967:317<붉은박쥐 (조복성박쥐)>; Won, 1968: 99<검은오렌지웃수염박쥐>; Yoon, 1990: 176; Yoon and Koh, 1997: 300<붉은박쥐(오렌지윗수염박쥐)>; Yoon et al., 2004: 60 <오렌지윗수 염박쥐(붉은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Yoon, 2010<오렌지윗수염박쥐>; Kim et al., 2015a: 63<검은오렌지웃수염박쥐>; Roskov et al., 2017. Myotis rufoniger: Ohdachi et al., 2009: 99. 일반명(common name). Hodgson’s Myotis.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Kawai는 remark에서 과거에 2006년 9월 채집된 4개체를 연구한 결과를 근거로 M. formosus에 포함했었지만, Csorba 등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한국명 ‘붉은박쥐’를 M. rufoniger (Tomes, 1858)로 정리한다고 설명하였다(Ohdachi et al., 2009; Csorba et al., 2014). 하지만, 이는 1개의 연구결과이고 표본수 4개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유효명인 M. f. tsuensis 로 정리하였다. 60 44. Myotis frater longicaudatus Ognev, 1927 긴꼬리윗수염박쥐 Myotis longicaudatus Ognev, 1927: 145 (TL: Vladivostock, E Siberia); Won, 1958: 455<긴꼬 리수염박쥐>; Woon, 1967:316<긴꼬리수염박쥐>. Myotis frater G. M. Allen, 1923 : 6 (TL: Yenping, Fukien, SE China); Won, 1968: 97<긴꼬리 웃수염박쥐>; Yoon et al., 2004: 56<긴꼬리윗수염박쥐(긴꼬리수염박쥐) >; Ohdachi et al., 2009: 100. Myotis frater longicaudat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3; Wilson and Reeder, 2005a; Yoon, 2010<긴꼬리윗수염박쥐>; Kim et al., 2015a: 63<긴꼬리웃수염박쥐>; Roskov et al., 2017. Myotis frater frater: Yoon and Koh, 1997: 300 <긴꼬리수염박쥐>. 일반명(common name). Fraternal Myotis. 분포. 유럽, 아시아 북부와 남부. 참고. Kim 등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M. frater에 2개 아종 M. f. longicaudatus와 M. f. bucharensis 를 기재하였지만, 각 아종에 대한 설명에서 M. f. bucharensis의 분포에 한 반도는 제외하여 기재하였다(Kim et al., 2015a). 이에 본 연구에서 M. f. bucharensis는 종 목록에 추가하지 않았다. 45. Myotis ikonnikovi Ognev, 1912 작은윗수염박쥐 Myotis ikonnikovi Ognev, 1912: 477 (TL: Iman district, Ussuri Valley, E Siber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1; Won, 1958: 454<쇠긴수염박쥐>; Woon, 1967:315<쇠긴수 염박쥐>; Won, 1968: 95<작은웃수염박쥐>; Yoon and Koh, 1997: 300<쇠큰수염박 쥐(작은윗수염박쥐)>; Yoon et al., 2004: 55<작은윗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04; Yoon, 2010<작은윗수염박쥐(쇠 61 큰수염박쥐)>; Kim et al., 2015a: 61<작은웃수염박쥐>; Roskov et al., 2017. Myotis ikonnikovi ikonnikovi: Yoon et al., 2004: 55<작은윗수염박쥐(쇠큰수염박쥐)>. 일반명(common name). Ikonnikov's Bat, Ikonnikov’s Myotis.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본 종에 대해서 Yoon은 모식표본과 같은 형질을 지닌 종의 국내 서식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며 분류학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였다(Yoon, 2010). 추가적인 연구 를 통한 서식여부 확인에 따라 한반도 서식 종 목록에서 삭제될 가능성이 있는 종 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수적 입장으로 기존의 목록을 따라 정리하였다. 46. Myotis macrodactylus macrodactylus (Temminck, 1840) 큰발윗수염박쥐 Vespertilio macrodactylus Temminck, 1840: 231 (TL: Japan). Myotis macrodactyl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50; Yoon, 1990: 179; Yoon and Koh, 1997: 300<큰발윗수염박쥐>; Ohdachi et al., 2009: 107; Yoon, 2010 <큰발윗수 염박쥐>; IUCN, 2017. Myotis capaccini macrodactylus: Won, 1968: 88<큰발웃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 macrodactylus: Yoon et al., 2004: 64<큰발윗수염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58<큰발웃수염박쥐>;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Big-footed Myotis. 분포. 유럽, 아시아 북부와 남부. 참고. 이 종에는 전 세계적으로 3개 아종 M. m. continentalis Tiunov, 1997 과 M. m. insularis Tiunov, 1997, 그리고 M. m. macrodactylus (Temminck, 1840) 이 기록되고 있다 (Roskov, 2017). 62 47. Myotis mystacinus (Kuhl, 1817) 윗수염박쥐 Vespertilio mystacinus Kuhl, 1817: 15 (TL: Germany). Myotis mystacinus gracilis Ognev, 1927: 145 (TL: Vladivostock, E Siber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0; Woon, 1967: 311<큰수염박쥐>; Won, 1968: 94<웃수염박 쥐>; Yoon and Koh, 1997: 300<큰수염박쥐(윗수염박쥐)>Yoon et al., 2004: 53<윗수 염박쥐(큰수염박쥐)>; Yoon, 2010<윗수염박쥐(큰수염박쥐)>; Kim et al., 2015a: 61<웃수염박쥐>. Myotis mystacinu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Whiskered Bat, Whiskered Myotis. 분포. 유럽, 지중해. 참고. M. m. gracilis는 현재 M. sibiricus의 동물이명으로 정리되었으며(Kruskop et al., 2012), Yoon과 Tsytsulina 등이 지적한 바와 같이 국내 기록종이 M. mystacinus 의 아 종 중 하나인지 M. aurascens의 오동정인 것인지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종이다(Yoon, 2010; Tsytsulina et al., 2012). 현재 M. mystacinus는 3개의 아종인 M. m. mystacinus (Kuhl, 1817) (most of European range), M. m. occidentalis Benda, 2000 (Iberia and Morocco)와 M. m. caucasicus Tsytsulina, 2000 (Caucasus region)로 정리되었으 며, 이 종들 모두 유럽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IUCN, 2017). 때문에 국내 종은 M. mystacinus에 속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뒷받침할 연구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므로 보수적인 입장에서 기존의 문헌을 반 영하여 정리하였다. 48. Myotis aurascens Kuzyakin, 1935 대륙쇠큰수염박쥐 63 Myotis mystacinus aurascens Kuzyakin, 1935: 432, 437 (TL: Korkushin, Vladikavkaz, N Caucas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40. Myotis aurascens: Tsytsulina et al., 2012: 1; Kim et al., 2015b: 1354 <대륙쇠큰수염박쥐>;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Steppe Whiskered Bat, Whiskered Myois. 분포. 지중해 남동부, 유럽 스테프 지역, 아시아 남서부. 참고. Tsytsulina 등에 의해 국내 강원도 영월에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고(Tsytsulina et al., 2012), Kim 등이 제주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Kim et al., 2015b). 이 학 명 Myotis aurascens 는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M. mystacinus mystacinus (Kuhl, 1817)의 동물이명으로 정리된 것을 따라 현재 사용하지 않는 학명이다(Wilson and Reeder, 2005a). 하지만, IUCN과 유럽에서는 그와 별개의 종으로 인정하며 사용하고 있는 유 효학명이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였다(IUCN, 2017). Subfamily Miniopterinae Dobson, 1875 긴날개박쥐아과 Genus Miniopterus Bonaparte, 1837 긴날개박쥐속 49. Miniopterus schreibersii fuliginosus (Hodgson, 1835) 긴날개박쥐 Vespertilio fuliginosa Hodgson, 1835: 700 (TL: Nepal). Vespertilio schreibersii Kuhl, 1819: 185 (TL: Kulmbazer Cave, mountains of S Bannat, Hungary). Miniopterus schreibersii japoniae Thomas, 1906: 338 (TL: Tano, Miyasaki Ken, Kyushu, Japan). Miniopterus schreibersii parvipes G. Allen, 1923: 7 (TL: Yenping, Fukien, S China). Miniopterus schreibersii fuliginos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83; Won, 1958: 64 459<긴가락박쥐>; Woon, 1967: 348<긴가락박쥐>; Won, 1968: 127<긴날개박쥐>; Yoon and Koh, 1997: 299< 긴가락박쥐(긴날개박쥐)>; Yoon et al., 2004: 90<긴날개 박쥐(긴가락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Yoon, 2010<긴날개박쥐>; Kim et al., 2015a: 76<긴날개박쥐>; Roskov et al., 2017. Miniopterus fuliginosus: Ohdachi et al., 2009: 126. 일반명(common name). Schreibers’s Long-fingered Bat. 분포. 한반도, 네팔, 실론, 인도 남부, 버마, 중국(푸키엔과 후난, 하이난), 일본. 참고. M. schreibersii에는 현재 지역별로 15개의 아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정리되고 있 다(Roskov, 2017). 하지만, Sano는 remarke에 mtDNA analyses 결과가 아시아의 M. schreibersii가 종의 수준으로 유효함을 나타내므로 M. fuliginosus로 정리한다고 설명 하였다(Ohdachi et al., 2009).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Sano의 견해를 확인할 수 있는 출판된 연구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므로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유효명을 따 라 정리하였다. Subfamily Murininae Miller, 1907 관코박쥐아과 Genus Murina Gray, 1842 관코박쥐속 Subgenus Murina Gray, 1842 관코박쥐아속 50. Murina hilgendorfi (Peters, 1880) 관코박쥐 Harpyocephalus hilgendorfi Peters, 1880: 24 (TL: Near Tokyo, Yeddo (= Hondo), Japan). Murina leucogaster Milne-Edwards, 1872: 252 (TL: Moupin district, Szechuan, China); Woon, 1967: 350<뿔박쥐>; Won, 1968: 133<관코박쥐>; Yoon et al., 2004: 88<관코박쥐(뿔 박쥐)>; Kim et al., 2015a: 78<관코박쥐>. 65 Murina ognevi Bianchi, 1916: 918 (TL: Vladivostock, E Siberia). Murina hilgendorfi intermedia Mori, 1933: 2, 5 (TL: Mt. Kongo, Korea). Murina leucogaster ognev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85; Won, 1958: 459<대륙뿔 박쥐>; Woon, 1967: 351<북방뿔박쥐>; Yoon and Koh, 1997: 299<북방뿔박쥐(북관 코박쥐)>; Yoon et al., 2004: 88<북관코박쥐, 북방뿔박쥐>. Murina leucogaster intermed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85; Won, 1958: 459<뿔 박쥐>; Won, 1968: 133<금강산관코박쥐>; Yoon and Koh, 1997: 299<뿔박쥐(금강산 관코박쥐)>; Yoon et al., 2004: 88<금강산관코박쥐, 뿔박쥐>; Yoon, 2010<관코박쥐 >. Murina leucogaster hilgendorf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85; Won, 1968:133<관 코박쥐>; Kim et al., 2015a: 79<관코박쥐>. Murina hilgendorfi ognevi: Won, 1968: 133<북관코박쥐>. Murina hilgendorfi: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117;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Hilgendorf’s Tube-nosed Bat. 분포. 유럽, 아시아 북부와 남부. 참고. 기존의 문헌에서는 국내의 서식종을 2개의 아종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으나, Simmons는 여러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M. l. intermedia와 M. l. ognevi를 M. hilgendorfi 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하였고(Wilson and Reeder, 2005a), 아직 이에 반대되는 국내의 분류학적 연구가 없다. 또한, IUCN의 평가서의 서식지에 한반도가 포함되므로 본 연구에서도 국제적인 유효명을 따라 정리하였다(IUCN, 2017). 51. Murina ussuriensis Ognev, 1913 작은관코박쥐 66 Murina ussuriensis Ognev, 1913: 402 (TL: Evseevka, Imansky district, Ussuri and Odarka, Chanka Lake, Ussuri district, SE Siberia). Murina aurata Milne-Edwards, 1872: 250 (TL: Moupin, Szechuan, China). Murina aurata ussuri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85; Won, 1958: 459<쇠뿔박 쥐>; Woon, 1967: 351<쇠뿔박쥐>; Won, 1968: 132<작은관코박쥐>; Yoon and Koh, 1997: 299<쇠뿔박쥐(작은관코박쥐)>; Yoon et al., 2004: 86<작은관코박쥐(쇠뿔박 쥐)>; Yoon, 2010<작은관코박쥐>; Kim et al., 2015a: 78<작은관코박쥐>. Murina ussuriensis: Wilson and Reeder, 2005; Ohdachi et al., 2009: 123;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Ussurian Tube-nosed Bat. 분포. 한반도, 일본, 러시아. 참고. 이전에는 M. aurata에 포함되는 종으로 다뤄졌으나, Simmons는 별개의 종으로 정리하였다(Wilson and Reeder, 2005a). 또한, IUCN에서도 종의 수준으로 평가하고 Ohdachi 등도 분류적 위치에 대해 동일한 설명을 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Ohdachi et al., 2009; IUCN, 2017). Subfamily Vespertilioninae Gray, 1821 애기박쥐아과 Tribe Eptesicini Volleth and Heller, 1994 문둥이박쥐족 Genus Eptesicus Rafinesque, 1820 문둥이박쥐속 Subgenus Eptesicus Rafinesque, 1820 문둥이박쥐아속 52. Eptesicus (Eptesicus) kobayashii Mori, 1928 고바야시박쥐 Eptesicus kobayashii Mori, 1928: 292 (TL: Heijo, Heian’nando) (in Japanese); Won, 1958: 67 457<고바야시박쥐>; Woon, 1967: 336<고바야시박쥐>; Won, 1968: 120<서선졸망 박쥐>; Yoon and Koh, 1997: 299<고바야시박쥐(서선졸망박쥐)>; Yoon et al., 2004: 85<고바야시박쥐(서선졸망박쥐)>; Yoon, 2010<고바야시박쥐>; Kim et al., 2015a: 73<서선졸망박쥐(고바야시박쥐)>; IUCN, 2017. Eptesicus (Eptesicus) kobayashii: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Kobayashi’s Serotine. 분포. 한반도. 참고. IUCN 평가서에서는 이 종의 분류학적 위치가 불명확하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E. bottae 또는 E. serotinus 와 동일종일 가능성을 보고하고 있다(IUCN, 2017). 본 연 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53. Eptesicus (Eptesicus) nilssonii parvus Kishida, 1932 생박쥐 Eptesicus parvus Kishida, 1932: 2 (TL: N Korea). Vespertilio nilssonii Keyserling and Blasius, 1839: 315 (TL: Sweden). Eptesicus nilssonii: Kuroda, 1934: 239; Ohdachi et al., 2009: 74. Eptesicus nilssonii parv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55; Won, 1958: 457<생박쥐>; Woon, 1967: 336<생박쥐>; Won, 1968: 120<작은졸망박쥐>; Yoon and Koh, 1997: 299<생박쥐(작은졸망박쥐)>; Yoon et al., 2004: 81<생박쥐(작은졸망박쥐)>; Yoon, 2010<생박쥐>; Kim et al., 2015a: 73<작은졸망박쥐>. Eptesicus (Eptesicus) nilssonii parvu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Northern Bat. 분포. 아시아 남부. 68 참고. 남한에서는 1936년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시에서 채집된 이후의 기록이 없으 나(Yoon et al., 2004), 북한에서는 최근 함경북도와 라선시에서 채집했다는 기록이 있 다(Kim et al., 2015a). 54. Eptesicus (Eptesicus) serotinus pallens Miller, 1911 문둥이박쥐 Eptesicus serotinus pallens Miller, 1911 Miller, 1911a: 53 (TL: Chengyuanhsien, W Chingyangfu, Kansu, Chin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57; Won, 1958: 457<고려박쥐>; Woon, 1967: 334<고려박쥐>; Won, 1968: 115<평남졸망박쥐>; Yoon and Koh, 1997: 299<고려박쥐(평남졸망박쥐)>; Yoon et al., 2004: 82<고려박 쥐, 평남졸망박쥐>; Yoon, 2010<평남졸망박쥐>; Kim et al., 2015a: 71<졸망박쥐(문 둥이박쥐)>. Eptesicus serotinus Schreber, 1774: 167 (TL: France); Won, 1968: 115<졸망박쥐>; Yoon et al., 2004: 82<문둥이박쥐>; Kim et al., 2015a: 71<졸망박쥐>; IUCN, 2017. Eptesicus brachydigitus Mori, 1928: 291 (TL: Heijo, Heian’nando) (in Japanese); Mori, 1928: 391 (in English). Eptesicus serotinus brachydigit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58; Won, 1958: 456< 문둥이박쥐>; Woon, 1967: 332<문둥이박쥐>; Won, 1968: 118<굵은가락졸망박쥐>; Yoon and Koh, 1997: 299<문둥이박쥐(굵은가락졸망박쥐)>; Yoon et al., 2004: 82< 문둥이박쥐, 굵은가락졸망박쥐>; Yoon, 2010<문둥이박쥐>. Eptesicus (Eptesicus) serotinus pallen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Common Serotine.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Simmons에 의해 E. s. brachydigitus는 E. s. pallens 의 동물이명으로 정리되었으 69 므로(Wilson and Reeder, 2005a),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Tribe Pipistrellini Tate, 1942 집박쥐족 Genus Nyctalus Bowdich, 1825 멧박쥐속 55. Nyctalus aviator Thomas, 1911 멧박쥐 Nyctalus aviator Thomas, 1911: 380 (TL: Tokyo, Hondo, Japan); Wilson and Reeder, 2005; Ohdachi et al., 2009: 76; Yoon, 2010<멧박쥐>; IUCN, 2017; Roskov et al., 2017. Vespertilio lasiopterus Schreber, 1780: 412 (TL: N Italy). Nyctalus lasiopterus: Won, 1968: 105<멧박쥐>; Kim et al., 2015a: 66<메박쥐>.[auct. non] Nyctalus lasiopterus aviator: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61; Won, 1958: 455<산박 쥐>[misprint = aniator]; Woon, 1967: 327<멧박쥐>; Won, 1968: 106<멧박쥐>; Yoon and Koh, 1997: 300<멧박쥐>; Kim et al., 2015a: 67<메박쥐>. Nyctalus aviator aviator: Yoon et al., 2004: 74<멧박쥐>. 일반명(common name). Birdlike Noctule , Japanese Large Noctule. 분포. 한반도, 중국, 일본. 참고. 북한학자인 Won과 Kim 등이 기록한 N. lasiopterus는 유럽 서식종으로 보고되 고 있으며(Won, 1968; Kim et al., 2015a; IUCN, 2017), 남한에서 기록한 N. aviator와 국 명이 동일한 것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Won과 Kim 등이 학명을 오기한 것으로 표기하였다. 하지만, 북한에 N. lasiopterus (Schreber, 1780)이 실제로 서식하는 것일 수 도 있으므로 추후에 확인이 필요하다. 56. Nyctalus furvus Imaizumi and Yoshiyuki, 1968 작은멧박쥐 70 Nyctalus furvus Imaizumi and Yoshiyuki, 1968: 127 (TL: Kado, Iwaizumi-Machi, ShimoheiGun, Iwate Pref., NE Honsyu, Japan);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80; Yoon, 2010: 57<작은멧박쥐>;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Japanese Noctule. 분포. 한반도, 일본. 참고. 이 종은 일본 고유종으로 Ohdachi 등은 일본 내에서도 극히 일부에 서식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Ohdachi et al., 2009). 하지만, Yoon은 1995년 부산에서 N. furvus 를 처음 채집하면서 남한산 박쥐목록에 추가하였고(Yoon, 2009), 이후에 부산에서 채 집된 한국산 개체에 대해 분류학적 기재를 하였다(Yoon, 2010). 그러나 1995년 채집 된 1개체에 대한 기록이며, 추가적인 보고가 없으므로 방랑개체일 가능성이 있는 종이다. 실제 국내 서식을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정리가 필요한 종이다. Genus Vespertilio Linnaeus, 1758 애기박쥐속 57. Vespertilio sinensis namiyei (Kuroda, 1920) 안주애기박쥐 Nyctalus noctula namiyei Kuroda, 1920: 601 (TL: Otsukuejima, coast of C'hikuzen Province, Kyushu, Japan). Vesperus sinensis Peters, 1880: 258 (TL: Pekin, China). Vesperugo plancei Gerbe, 1880 Gerbe, 1880: 71 (TL: Pekin, Chilhli, China). Vespertilio murinus superans Thomas, 1899 : 770 (TL: Sesalin, Ichang, Hupeh, China). Vespertilio aurijunctus Mori, 1928: 296 (TL: Keijo) (in Japanese); Mori, 1928: 393 (in English). Nyctalus noctula motoyoshii Kuroda, 1934: 3 (TL: Hondo, Japan);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61; Won, 1958: 453<쇠산박쥐>; Woon, 1967: 328<쇠멧박쥐>; Won, 1968: 108<작은멧박쥐>; Kim et al., 2015a: 68<작은메박쥐>. 71 Nyctalus noctula montanus Kishida, 1934: 26. Nyctalus noctula plance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60. Vespertilio murinus namiye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52; Won, 1958: 458<평풍 애기박쥐>. Vespertilio superan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52; Won, 1958: 458<애기박쥐>; Woon, 1967: 344<안주애기박쥐>; Won, 1968: 122<안주쇠박쥐>; Yoon and Koh, 1997: 300<안주애기박쥐(안주쇠박쥐)>; Yoon et al., 2004: 79<안주애기박쥐(안주 쇠박쥐)>; Yoon, 2010<안주애기박쥐>; Kim et al., 2015a: 74<안주쇠박쥐>. Vespertilio namiyei: Woon, 1967: 341<애기박쥐>. Vespertilio sinensis namiyei: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Vespertilio sinensis: Ohdachi et al., 2009: 96. 일반명(common name). Asian Particolored Bat. 분포. 유럽, 아시아 북부와 남부. 참고. 국내에서 ‘쇠멧박쥐 (Woon, 1967)’와 ‘작은멧박쥐 (Won, 1968)’로 기재한 Nyctalus noctula motoyoshii 를 Corbet과 Hill은 V. superans 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하였 다(Corbet and Hill, 1991; Yoon, 2010). 또한, 이후의 연구에서 V. superans는 V. sinensis의 동물이명으로 연구되었다(IUCN, 2017). IUCN의 평가서에서는 아종을 모두 동물이명 으로 정리하여 본종인 V. sinensis으로만 평가하였으나, 아직까지 지역별로 5개의 아 종(V. s. anderssoni Wallin, 1963, V. s. namiyei (Kuroda, 1920), V. s. noctula (Namie, 1889), V. s. orientalis Wallin, 1969, V. s. sinensis (Peters, 1880))으로 구분하여 연구하기도 한다 (Roskov, 2017). 국내 기록에 그 아종들 중의 하나인 V. namiyei의 기록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72 58. Vespertilio murinus murinus Linnaeus, 1758 북방애기박쥐 Vespertilio murinus Linnaeus, 1758: 32 (TL: Sweden); Ohdachi et al., 2009: 94; Kim et al., 2015a: 74<함북쇠박쥐(북방애기박쥐)>. Vespertilio murinus muri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52; Won, 1958: 458<북애 기박쥐>; Woon, 1967:342<북방애기박쥐>; Won, 1968: 125<함북쇠박쥐>; Yoon and Koh, 1997: 300<북방애기박쥐(애기박쥐, 함북쇠박쥐)>; Yoon et al., 2004: 77<북방 애기박쥐(애기박쥐, 함북쇠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Particolored Bat.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이 종은 북한지역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Woon은 Eptesicus nilssonii (Keyserling and Blasius, 1839)를 이 종의 동물이명으로 기록하였으나(Woon, 1967), 이는 Kuroda의 기재를 오인한 것으로 추정된다(Kuroda, 1934). Yoon은 고찰에서 북한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하며 분류학적 기재는 하지 않았으나(Yoon, 2010), Kim 등은 북한 라선 시와 라남에서 채집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Kim et al., 2015a). Genus Pipistrellus Kaup, 1829 집박쥐속 Subgenus Pipistrellus Kaup, 1829 집박쥐아속 59. Pipistrellus (Pipistrellus) abramus (Temminck, 1838) 집박쥐 Vespertilia aburamus Temminck, 1840: 232 (TL: Nagasaki Kyushu, Japan). Vespertilio akakomuli Temminck, 1840: 233 (TL: Japan). Pipistrellus abramus abram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65; Won, 1958: 455<집박 73 쥐>; Woon, 1967: 319<집박쥐>; Yoon et al., 2004: 69<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 Won, 1968: 110<집박쥐>; Yoon and Koh, 1997: 300<집박쥐>; Yoon et al., 2004: 69<집박쥐>; Ohdachi et al., 2009: 82; Yoon, 2010<집박쥐>; Kim et al., 2015a: 69<집박쥐>; IUCN, 2017. Pipistrellus (Pipistrellus) abramu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Japanese Pipistrelle.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국내 Pipistrellus 속의 기재는 과거엔 Pipistrellus abramus와 P. pipistrellus로 2종 이 기록되어 있었다. 하지만, 북한의 Won이 이전 문헌의 기재를 반영한 ‘조선포유 류도설(Won, 1958)’의 기재 이후에 박쥐 수집 과정에서 P. pipistrellus에 해당하는 표 본을 찾지 못하였고, 그 외에도 확인된 기록이 없음을 근거로 기재하지 않음을 밝 히며 목록에서 삭제하였다(Won, 1968). 이와 달리 남한의 Woon은 ‘한국산포유류분포 목록(1958)’과 ‘한국동식물도감(1967)’에 ‘양박쥐 P. pipistrellus (Schreber)’로 기록하였 으나(Won, 1958; Woon, 1967), 이후의 국내 문헌에서는 모두 P. pipistrellus의 기록이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한반도 종 목록에서 제외하고 P. abramus만 기재하였다. Tribe Vespertilionini Gray, 1821 애기박쥐족 Genus Hypsugo Kolenati, 1856 큰집박쥐속 (신칭) 60. Hypsugo alaschanicus (Bobrinskii, 1926) 큰집박쥐 Eptesicus alaschanicus Bobrinskii, 1926: 98 (TL: Pass of Hotin Gol, near Dinyuanin, western slope of Alashan Range, Mongolia). Amblyotus velox Ognev, 1927: 154 (TL: Vladivostock, E Siberia). 74 Pipistrellus savii alaschanic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70. Pipistrellus savii velox: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71; Won, 1958: 455<쇠박쥐>; Woon, 1967: 324<검은양박쥐>; 325<쇠박쥐>. Pipistrellus savii coreensis Imaizumi, 1955: 56 (TL: Taegu, S Korea); Won, 1958: 455<대구양 박쥐>; Woon, 1967: 324<대구양박쥐>; Won, 1968: 111<큰집박쥐>; Kim et al., 2015a: 70<큰집박쥐>. Pipistrellus coreensis: Yoon and Koh, 1997: 300<큰집박쥐>; Yoon et al., 2004: 72<큰집박쥐 (대구양박쥐)>; Ohdachi et al., 2009: 93; Yoon, 2010<큰집박쥐>. Hypsugo alaschanicus: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92; Roskov et al., 2017; Shi et al., 2017: 575. Pipistrellus savii: Kim et al., 2015a: 69<큰집박쥐>. Pipistrellus alaschanicus: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Alashanian Pipistrelle. 분포. 유럽, 아시아 북부와 남부. 참고. Kawai는 P. coreensis를 H. alaschanicus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하였으며, 한국 서 식종에 대해서는 아종으로 분리될 수도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Ohdachi et al., 2009). IUCN에서는 아직까지 Pipistrellus alaschanicus로 평가된 자료로 공지하고 있다 (IUCN, 2017). 하지만, Shi 등은 Pipistrellus-like bats가 3개의 그룹인 PipistrelliniNyctalini, Vespertilionini-Eptesicini와 Asian Pipistrelles로 나뉜다고 보고하였고, Asian Pipistrelles를 Hypsugo로 기재하였다(Shi et al., 2017). 이러한 학명의 정리와 별개로 국 명에서는 ‘한국 척추동물종목록집’에서 H. alaschanicus를 ‘검은집박쥐’로 기록하여 이후 보도자료 등에서 이 국명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한상훈 et al., 2011), 이는 분 류학적 기재없이 출판된 것이다. 또한, 이 국명 ‘검은집박쥐’에 대한 언급은 Woon이 75 P. savii coreensis를 P. savii nelox와 비교하면서 P. savii nelox를 ‘일본산 검은집박쥐’로 지칭하며 기재된 것이 유일하다(Woon, 1967). 현재 ‘검은집박쥐’는 2017년 한국종목 록에서 ‘양박쥐’로 변경되어 있으며(NIBR, 2017), 이 역시 분류학적 기재없이 출판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분류학적 기재를 따라 국명을 ‘큰집박쥐’로 표기하였 다. Tribe Plecotini Gray, 1866 토끼박쥐족(신칭) Genus Plecotus Geoffroy, 1818 토끼박쥐속 61. Plecotus sacrimontis G.M.Allen, 1908 토끼박쥐 Plecotus sacrimontis G. Allen, 1908: 50 (TL: Mt. Fuji, Japan); Spitzenberger et al., 2006: 187; Ohdachi et al., 2009: 90; IUCN, 2017; Roskov et al., 2017. Vesertilio auritus Linnaeus, 1758:32 (TL: Sweden). Plecotus auritus ognevi Kishida, 1927: 418 (TL: N Sakhalin); Won, 1958: 458<검은토끼박쥐 >; Woon, 1967: 346<검은토끼박쥐>; Won, 1968: 103<긴귀박쥐>; Yoon and Koh, 1997: 300<검은토끼박쥐(긴귀박쥐)>; Yoon et al., 2004: 66<검은토끼박쥐>; Yoon, 2010; Kim et al., 2015a: 65<긴귀박쥐>. Plecotus auritus sacrimont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82; Wilson and Reeder, 2005a. Plecotus auritus: Yoon et al., 2004: 66<토끼박쥐(긴귀박쥐)>. 일반명(common name). Brown Long-eared Bat.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Simmons는 P. a. ognevi를 P. a. sacrimontis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하였으나(Wilson 76 and Reeder, 2005a), Spitzenberger 등의 연구에 의해 auritus species-complex (P. auritus, P. sardus, P. macrobullaris)와 sacrimontis species-complex (P. sacrimontis, P. kozlovi, P. ognevi)로 구분되었다(Spitzenberger et al., 2006). 또한, P. sacrimontis는 일본(Japanese refuge)에서만 분포하는 고유종으로 기재되었으며(Ohdachi et al., 2009), Spitzenberger 등은 P. ognevi의 분포지에 한국을 포함시킨다고 기재하였다. 때문에 향후 국내 P. sacrimonti의 실체 확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목록의 정리가 필요한 종이지만, 본 연 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을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62. Plecotus ognevi Kishida, 1927 참긴귀박쥐 Plecotus auritus ognevi Kishida, 1927: 418 (TL: N Sakhalin). Plecotus sacrimontis G. Allen, 1908: 50 (TL: Mt. Fuji, Japan). Plecotus auritus sacrimont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182. Plecotus auritus ognevi: Woon, 1967: 346<검은토끼박쥐>; Won, 1968: 103<긴귀박쥐>; Yoon and Koh, 1997: 300<검은토끼박쥐(긴귀박쥐)>; Yoon et al., 2004: 66<검은토 끼박쥐>; Yoon, 2010; Kim et al., 2015a: 65<긴귀박쥐>. Plecotus auritus uenoi Imaizumi and Yoshiyuki, 1969: 262 (TL: Kangwon-do province, S Korea). Plecotus auritus uenoi: Yoon and Koh, 1997: 300<참긴귀박쥐>; Yoon et al., 2004: 66<참긴 귀박쥐>; Yoon, 2010<토끼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Plecotus ognevi: Spitzenberger et al., 2006: 187;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Long-eared Bat, Ognev's Long-eared Bat. 분포. 유럽, 아시아 북부. 참고. Spitzenberger 등은 국내 서식종으로 알려진 P. auritus uenoi를 P. ognevi의 동물 77 이명으로 정리하며 P. ognevi의 분포지에 한국을 포함시킨다고 기재하였고 (Spitzenberger et al., 2006), 본 연구에서도 이 연구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Order Cetartiodactyla Montgelard et al., 1997 기제목(신칭) Suborder Mysticeti Flower, 1864 수염고래아목 Family Balaenidae Gray, 1821 참고래과 Genus Eubalaena Gray, 1864 참고래속 63. Eubalaena japonica (Lacépède, 1818) 북방긴수염고래 Balaena japonica Lacépède, 1818: 473 (TL: Japan). Balaena glacialis Müller, 1776: 56 (TL: Nord-Kaper). Eubalaena glacialis: Yoon et al., 2004: 215<북방긴수염고래>; Kim et al., 2015a: 144<미끈 고래> Eubalaena japonica: Wilson and Reeder, 2005a; Reilly et al., 2008; Ohdachi et al., 2009: 322; Sohn et al., 2012: 519<북방긴수염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North Pacific Right Whale. 분포. 북부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참고. 본 연구에서는 국제 포경위원회(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IWC))의 회귀 성 종에 관한 협약의 견해를 따라 Rosenbaum 등의 mtDNA 계통 발생 분석에 대한 연구를 반영하여 E. glacialis는 북대서양에 분포하고 한반도를 포함하는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고래는 E. japonica로 정리하여 기재하였다(Rosenbaum et al., 2000). 국명에 대해서는 E. japonica를 영어 일반명 ‘North Pacific Right Whale’을 그대로 번역한 ‘북 78 태평양참고래’로 기록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분류학적 출판에 의한 명명이 아니며, 과거문헌에서는 E. japonica를 E. glacialis로 잘못 기록한 것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북방긴수염고래’로 지칭된 종이 E. glacialis 에서 현재 E. japonica로 변경된 것이고, 이 두 종을 한 장소에서 관찰할 경우는 없 으며 Sohn 등(2012)의 국내 고래류의 국명정리를 반영하여 기존의 국명을 그대로 적용하였다(Sohn et al., 2012). Family Balaenopteridae Gray, 1864 수염고래과 Genus Balaenoptera Lacépède, 1804 대왕고래속 64. Balaenoptera acutorostrata scammoni Deméré, 1986 밍크고래 Balaenoptera acutorostrata scammoni Demeré, 1986: 243 (TL: Fossil); Rice, 1998: 70; Wilson and Reeder, 2005a; Archer et al., 2013: 7;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épède, 1804: 134 (TL: Cherbourg, France);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15; Won, 1958: 433<쇠정어리고래>[misprint = Balaenopters acuto-rostrata]; Woon, 1967: 78<쇠정어리고래>; Won, 1968: 240<멸치고래(밍크)>; Yoon et al., 2004: 222<밍크고래(쇠정어리고래)>; Ohdachi et al., 2009: 328; Sohn et al., 2012: 519<밍크고래>; Kim et al., 2015a: 141<멸치고래>. 일반명(common name). Common Minke Whale, Dwarf Minke Whale, Lesser Rorqual, Little Piked Whale, Minke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참고. SMM(Society for Marine Mammalogy)에서는 1998년 이후로 해역별 3개의 아종인 79 B. a. acutorostrata (북대서양), B. a. scammoni Deméré, 1986 (북태평양), dwarf minke (B. a. un-named subsp.)(남반구) 로 기재하고 있다(Archer et al., 2013; Taxonomy, 2017). 또한, Ohdachi 등도 일부 연구자들이 North Pacific minke whale을 B. a. scammoni로 기록하고 있음을 설명하였고(Ohdachi et al., 2009), SMM에서 최근에 공표한 고래목록에도 아종 으로 구분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65. Balaenoptera borealis borealis Lesson, 1828 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1828: 342. (TL: Grömitz, Lübeck Bay, Schleswig-Holstein, Germany);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15; Yoon et al., 2004: 220<보리고래 >; Ohdachi et al., 2009: 331; Sohn et al., 2012: 519<보리고래>; Kim et al., 2015a: 143<정어리고래>; IUCN, 2017. Balaenoptera borealis borealis: Wilson and Reeder, 2005a;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Northern Sei Whale. 분포. 북 대서양, 북 태평양. 참고. SMM에서는 형태적 차이와 지역적 차이로 구분되는 B. b. borealis (northern sei whale)와 B. b. schlegelii (southern sei whale)의 2 아종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이들 아종 의 분포가 겹치지 않는다고 기술하였다(Perrin et al., 2009; Taxonomy, 2017).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한반도 해역의 위치를 반영하여 북반구의 아종으로 정리하였다. 66. Balaenoptera edeni edeni Anderson, 1879 브라이드고래 Balaenoptera edeni Anderson, 1878: 551 (TL: Gulf of Martaban, between Sittang and Beeling rivers, Burma); Yoon et al., 2004: 221<브라이드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80 Ohdachi et al., 2009: 333; Sohn et al., 2012: 519<브라이드고래>; Kim et al., 2015a: 142<볏수염고래>; IUCN, 2017; Roskov et al., 2017. Balaenoptera brydei Olsen, 1913: 1073 (TL: Coast of S Africa). Balaenoptera edeni edeni: Luksenburg et al., 2015: 1568; Taxonomy, 2017. 일반명(common name). Bryde’s Whale. 분포. 동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대서양, 서대서양. 참고. Bryde’s whales (Balaenoptera edeni/brydei)은 이전까지 단일종으로 다뤄지고 있었 으나, Luksenburg 등이 연구를 통해 서로 별개의 그룹임을 증명하며 2개의 아종으로 분리하였다(Luksenburg et al., 2015). SMM에서도 이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2개 아종으 로 기록하고 있다(Taxonomy, 2017). Ohdachi 등은 Balaenoptera edeni/brydei을 같은 페 이지에 정리하면서 일본 서남부해역과 한반도 서남부해역에 서식하는 종을 B. edeni 로 표기하였다(Ohdachi et al., 2009). Kim 등은 본 종을 1994년 7월에 동해에서 확인된 적이 있다고 기술하였다(Kim et al., 2015a). 이에 본 연구에서도 이 연구보고를 참고 하여 B. e. edeni로 정리하였다. 이와 별개로 Ohdachi 등은 한반도와 일본 남부를 포 함하는 서태평양해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B. omurai Wada, Oishi and Yamada, 2003을 추 가로 기재하고 있으나, 국내 관찰에 대한 출판 문헌을 찾을 수 없어 본 연구의 종 목록에는 추가하지 않았다. 67. Balaenoptera physalus physalus (Linnaeus, 1758) 참고래 Balaena physalus Linnaeus, 1758: 75 (TL: European seas). Balaenoptera physal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15; Won, 1958: 433<긴수염고래 >; Woon, 1967: 77<긴수염고래>; Won, 1968: 238<수염고래(장수경)>; Yoon et al., 2004: 219<참고래(긴수염고래)>; Sohn et al., 2012: 519<참고래>; Kim et al., 2015a: 81 140<수염고래(장수경)>. Balaenoptera physalus physalus: Aguilar, 2002;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40; Archer et al., 2013;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Fin Whale, Common Rorqual, Finback, Fin-backed Whale, Finner, Herring Whale, Razorback. 분포. 남극해, 남반구해,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대서양, 서대서양. 참고. Balaenoptera physalus는 단일 종이 아님을 Ohdachi 등도 언급했지만, 추가적으 로 Archer 등에 의해 형태적 차이와 함께 유전적 차이도 재확인되었다(Ohdachi et al., 2009; Archer et al., 2013). 일반적으로 북반구에 분포하는 종을 B. p. physalus (Linnaeus, 1758)로 남반구에 분포하는 종을 B. p. quoyi (Fischer, 1829)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들 두 아종은 서로 서식지를 공유하지 않는것으로 보고된다(Taxonomy,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따라 북반구의 아종으로 정리하였다. 68. Balaenoptera musculus musculus (Linnaeus, 1758) 대왕고래 Balaena musculus Linnaeus, 1758: 76 (TL: Firth of Forth, Scotland). Balaenoptera muscul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16; Won, 1958: 433<흰긴수염 고래>; Woon, 1967: 79<흰긴수염고래>; Won, 1968: 236<흰수염고래(백장수경)>; Yoon et al., 2004: 217<대왕고래(흰긴수염고래)>; Ohdachi et al., 2009: 336; Sohn et al., 2012: 519<대왕고래>; Kim et al., 2015a: 139<흰수염고래(백장수경)>. Balaenoptera musculus musculus: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28; Archer et al., 2013;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Blue Whale. 82 분포. 동대서양, 서대서양. 참고. SMM에서는 해역에 따라 5개의 아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있으며,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에 걸쳐 분포하는 Blue Whale을 B. m. musculus로 기재하 고 있다. 현재는 이 아종도 크게 북대서양 개체군과 북태평양 개체군으로 2개 개체 군이 존재하는것으로 추정하고 있다(Taxonomy, 2017). 본 연구에서는 Ohdachi 등이 North Pacific blue whale이라고 기재한 것(Ohdachi et al., 2009)과 같이 한반도가 속해있 는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아종으로 정리하였다. Genus Megatera Gray, 1846 혹등고래속 69. Megaptera novaeangliae kuzira (Gray, 1850) 혹등고래 Balaena navae angliae Borowski, 1781: 21 (TL: New England Coast). Balaeno nodosa Bonnaterre, 1789: 5 (TL: New England Coast). Megaptera kuzira Gray, 1850: 30 (TL: Japan). Megaptera novae angliae: Won, 1958: 434<자두고래>; Woon, 1967: 80<혹등고래(돌고래)>. Megaptera nodosa: Won, 1968: 243<날개고래(자두경) >. Megaptera novaeangliae: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17; Yoon et al., 2004: 223<혹 등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42; Sohn et al., 2012: 519< 혹등고래>; Kim et al., 2015a: 143<날개고래>; IUCN, 2017; Roskov et al., 2017. Megaptera novaeangliae kuzira: Jackson et al., 2014: 8; Taxonomy, 2016; Taxonomy, 2017. 일반명(common name). North Pacific Humpback Whale. 분포. 남극해, 남반구해;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대서양, 서대서양. 참고. SMM에서는 Jackson 등의 mtDNA와 nuclear DNA에 기초한 연구결과를 반영하 83 여 M. novaeangliae에 해역별 3개의 아종인 M. n. kuzira (북태평양), M. n. novaeangliae (북대서양)과 M. n. australis (남반구)가 서식한다고 정리하고 있다(Jackson et al., 2014; Taxonomy, 2017).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한반도가 속해있는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아종으로 정리하였다. Family Eschrichtiidae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귀신고래과 Genus Eschrichtius Gray, 1864 귀신고래속(신칭) 70. Eschrichtius robustus (Lilljeborg, 1861) 귀신고래 Balaenoptera robusta Lilljeborg, 1861: 602 (TL: Sweden). Balaena gibbosa Erxleben, 1777: 610 (TL: Atlantic). Eschrichtius gibbos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13; Won, 1958: 434<쇠고래>; Woon, 1967: 81<쇠고래>; Won, 1968: 233<푸른회색고래(작은고래)>; Kim et al., 2015a: 137<푸른재색고래>. Eschrichtius robustus: Yoon et al., 2004: 225<귀신고래(쇠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24; Sohn et al., 2012: 519<귀신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Gray Whale, Grey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참고. 한국 해역에서의 기록으로 Yoon 등은 1964년 울산에서 5개체가 마지막으로 포획된 것(SMM 보고서에는 1966년으로 기록)과, 1972년 울산 앞바다에서 2개체가 관찰(SMM 보고서에는 1977년으로 기록)된 것이 마지막이라고 기재하였다 (Yoon et al., 2004; Taxonomy, 2017). 태평양 개체군은 크게 동부와 서부로 2 개체군이 존재했 84 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반도 개체군이 포함되는 아시아와 태평양 개체군은 멸 종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Taxonomy, 2017).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기재를 반영하 여 정리하였다. Suborder Odontoceti Flower, 1867 이빨고래아목 Family Delphinidae Gray, 1821 참돌고래과 Genus Delphinus Linnaeus, 1758 참돌고래속(신칭) 71. Delphinus delphis bairdii Dall, 1873 긴부리참돌고래 Delphinus bairdii Dall, 1873: 12 (TL: Coast of California, USA). Delphinus capensis Gray, 1828: 2 (TL: Cape of Good Hope, S Afric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1; Yoon et al., 2004: 242<긴부리참돌고래>; Ohdachi et al., 2009: 364;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18<주둥이돌고래>. Delphinus capensis capensi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Delphinus delphis bairdii: Cunha et al., 2015; Taxonomy, 2016; IUCN, 2017; Taxonomy, 2017. 일반명(common name). Eastern North Pacific Long-beaked Common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참고. Ohdachi 등은 동해에 서식하는 종을 D. capensis로 설명하고 있다(Ohdachi et al., 2009). SMM에서는 Cunha 등의 분자생물학적 자료와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를 반영 하여 common dolphins 2종인 D. delphis (the short-beaked common dolphin)과 D. capensis (the long-beaked common dolphin)를 동일한 종으로 정리하였다(Cunha et al., 2015; Taxonomy, 2016). 또한, 북태평양 동부(ENP: Eastern North Pacific)에 서식하는 종은 Hershkovitz의 연구결과를 따라 D. delphis bairdii로 정리하였다(Hershkovitz, 1966; 85 Taxonomy, 2017).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최근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국내 문헌에서 D. capensis로 기록하던 학명을 정리하여 D. delphis bairdii로 기재하였다. 72. Delphinus delphis delphis Linnaeus, 1758 짧은부리참돌고래 Delphinus delphis Linnaeus, 1758: 77 (TL: European seas); Won, 1968: 221<돌고래(해돈, 물 돼지)>; Yoon et al., 2004: 243<짧은부리참돌고래(돌고래)>; Ohdachi et al., 2009: 366;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18<돌고래>. Delphinus delphis delph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1; Wilson and Reeder, 2005a; Cunha et al., 2015;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Common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Delphinus delphis에는 현재 해역별로 4개의 아종이 기재되고 있으며, 그 아종들 은 D. d. delphis Linnaeus, 1758 (Common dolphin), D. d. bairdii Dall, 1873 (Eastern North Pacific long-beaked common dolphin), D. d. ponticus Barabash, 1935 (Black Sea common dolphin), D. d. tropicalis van Bree, 1971 (Indo-Pacific common dolphin)로 기재되고 있다 (Taxonomy, 2017). 또한, Song이 정리한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남한 해역에 좌초되 어 확인된 종 목록에 D. delphis와 D. capensis가 각각 기록된 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 에서는 D. d. delphis로 정리하였다(Song, 2016). Genus Feresa Gray, 1870 작은범고래속(신칭) 73. Feresa attenuata Gray, 1874 들고양이고래 Feresa attenuata Gray, 1874: 238 (TL: Unkwoun, British Museum); Yoon et al., 2004: 239<들 86 고양이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68;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2<들고양이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Pygmy Killer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남한 해역에는 아직까지 관찰된 보고가 없다. Genus Globicephala Lesson, 1828 둥근머리고래속(신칭) 74. Globicephala macrorhynchus Gray, 1846 들쇠고래 Globicephala macrorhynchus Gray, 1846: 33 (TL: South Seas); Yoon et al., 2004: 240<들쇠고 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70;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3<들쇠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hort-finned Pilot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Ohdachi 등은 북방형(northern form)과 남방형(southern form)으로 나누어 설명하 였고, IUCN 평가서에도 두 종 이상의 복합체일 수 있는 증거가 있지만 한 종으로 취급된다고 기술되어 있다(Ohdachi et al., 2009; IUCN, 2017). 향후 추가적인 연구에 따 라 한반도와 일본 주변에 서식하는 개체군이 개별 종 또는 아종으로 분리될 가능성 이 있다. Genus Grampus Gray, 1828 큰머리돌고래속(신칭) 87 75. Grampus griseus (G. Cuvier, 1812) 큰머리돌고래 Delphinus griseus G. Cuvier, 1812: 14 (TL: Brest, France). Grampus grise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41; Yoon et al., 2004: 241<큰머리돌 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72;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4< 큰머리돌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Risso’s Dolp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Song에 의하면 1997년부터 2004년까지 총 6개체가 남한 해역에 좌초되었다 (Song, 2016). Genus Lagenorhynchus Gray, 1846 낫돌고래속(신칭) 76. Lagenorhynchus obliquidens Gill, 1865 낫돌고래 Lagenorhynchus obliquidens Gill, 1865: 177 (TL: San Francisco, Californ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7; Won, 1968: 222<곱등어>; Yoon et al., 2004: 244<낫돌고 래(작은곱등어)>;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76;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19<곱등어>;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Pacific White-sided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참고. 북태평양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남태평양에 서식하는 Lagenorhynchus obscurus 88 (Gray, 1828) (dusky dolphin)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유전분석에 의하면 두 종은 약 2백만년 전에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Taxonomy, 2017). Genus Lissodelphis Gloger, 1841 고추돌고래속 77. Lissodelphis borealis (Peale, 1848) 고추돌고래 Delphinapterus borealis Peale, 1848: 35 (TL: Pacific Ocean). Lissodelphis boreal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8; Yoon et al., 2004: 250<고추돌 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78;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8<고래곱등어(고추돌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Northern Right Whale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참고. 과거에 남한의 경상북도 연안에서 포획된 적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Kim et al., 2000; Yoon et al., 2004), 정확한 포획 연도는 기록되지 않았다. Song의 1997년부 터 2004년까지 좌초된 고래류 목록에도 포함되지 않아 한반도 해양에서의 확인이 필요한 종이다(Song, 2016). Genus Orcinus Fitzinger, 1860 범고래속(신칭) 78. Orcinus orca (Linnaeus, 1758) 범고래 Delphinus orca Linnaeus, 1758: 77 (TL: European seas). Orcinus orc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9; Won, 1958: 435; Woon, 1967: 85<흰줄 89 박이물돼지>; Won, 1968: 227<솔피>; Yoon et al., 2004: 237<범고래(흰줄박이돌고 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80;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0<솔피>;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Killer Whale, Orca. 분포. 남극해, 남반구해,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SMM에서는 북태평양, 북대서양, 남극에서 다른 형태의 범고래들은 별도의 아 종이나 심지어 종으로 인정받을 수 있지만, 분류법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거나 합의 되지 않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현재는 북태평양 동부(ENP: Eastern North Pacific)의 ENP resident killer whale (O. o. un-named subsp.)과 Bigg’s killer whale로 알려져 있는 ENP transient killer whale (O. o. un-named subsp.)으로 구분하여 2개의 아종으로 기재하 고 있으며, 4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있지만 아직 연구자들 사이에 분류법이 완전히 확립되지 못하였다(IUCN, 2017; Taxonomy,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종의 수준으 로 정리하였다. Genus Peponocephala Nishiwaki and Norris, 1966 고양이고래속(신칭) 79. Peponocephala electra (Gray, 1846) 고양이고래 Lagenorhynchus electra Gray, 1846: 35 (TL: Unkwoun, British Museum);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7. Peponocephala electra: Yoon et al., 2004: 240<고양이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82;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2<고양이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90 일반명(common name). Melon-headed Whale, Electra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남한의 포항에 위치한 도구해수욕장에서 2009년 1월 발견된 자연사하여 떠밀 려온 고래 사체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서 Peponocephala electra로 보고한 기사가 있으나(조홍섭, 2009), 분류학적으로 보고한 문헌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Genus Pseudorca Reinhardt, 1862 범고래사촌속(신칭) 80. Pseudorca crassidens Owen, 1846 흑범고래 Phocaena crassidens Owen, 1846: 516 (TL: Lincolnshire Fens, near Stamford, England (subfossil)). Pseudorca crassiden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8; Yoon et al., 2004: 238<흑범고 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84;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1<검은돌고래(혹범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False Killer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한반도에서는 제주도 연안에서 큰돌고래와 함께 유영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Kim et al., 2000). Genus Stenella Gray, 1866 알락돌고래속 81. Stenella attenuata attenuata (Gray, 1846) 점박이돌고래 Steno attenuata Gray, 1846: 44 (TL: Unkwoun, British Museum). 91 Stenella attenuata attenuate: Perrin, 1975: 1059; Perrin et al., 2002: 224;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Stenella attenuate: Yoon et al., 2004: 248<점박이돌고래>; Ohdachi et al., 2009: 386;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6<얼룩반점곱등어(점박이돌고래)>. 일반명(common name). Offshore Pantropical Spotted Dolphin. 분포. 인도 서부 태평양, 서 대서양. 참고. Perrin은 중앙 아메리카와 멕시코 서쪽 해안, 카리브해의 몇몇 섬 등에서 벗어 난 해안가 형태(coastal form)를 아종인 S. a. graffmani (Lönnberg, 1934)로 기재하면서 전 세계 해양의 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종을 S. a. attenuata로 정리하였다(Perrin, 1975). SMM에서도 서식 해역별로 3개의 아종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보존을 위해 개별 아 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기술하고 있다(Taxonomy, 2017). 본 연구에서도 한반 도가 포함되는 해역의 서식 종을 SMM에서 제시하는 아종으로 정리하였다. 82. Stenella coeruleoalba (Meyen, 1833) 줄박이돌고래 Delphinus coeruleoalbus Meyen, 1833: 609. Delphinus frontalis G. Cuvier, 1829: 288. Stenella frontalis: Won, 1958: 434<알락물돼지>; Woon, 1967: 84<알락물돼지>(auct. non). Stenella coeruleoalba: Yoon et al., 2004: 247<줄박이돌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88; Sohn et al., 2012: 519<줄박이돌고래>; Kim et al., 2015a: 126<알락돌고래(줄박이돌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triped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92 참고. Woon이 기재한 Stenella frontalis는 대서양에만 서식하는 종이므로 오동정된 것 으로 추정된다(Woon, 1967; IUCN, 2017). 또한, Kim 등은 Woon이 기재한 국명인 ‘알 락물돼지’를 ‘점박이돌고래(S. a. attenuate)’의 동일종으로 정리하였다(Kim et al., 2000).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Woon이 기재한 ‘알락물돼지’의 종 기재문을 확인한 결과, S. a. attenuate 체표의 특징인 점무늬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것과 치식에 대한 기재를 근 거로 Stenella coeruleoalba를 오기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리하였다(Woon, 1967). 83. Stenella longirostris longirostris (Gray, 1828) 긴부리돌고래 Delphinus longirostris Gray, 1828: 1 (TL: Unknown). Stenella longirostris longirostris: Perrin, 1990: 453; Perrin et al., 2002: 233;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90;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Stenella longirostris: Yoon et al., 2004: 248<긴부리돌고래>; Sohn et al., 2012: 519<긴부리 돌고래>; Kim et al., 2015a: 127<긴주둥이돌고래>. 일반명(common name). Gray’s Spinner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Perrin은 동태평양의 종을 별개의 아종으로 구분하며 Stenella longirostris 에 2개 의 신아종 S. l. orientalis (eastern spinner)와 S. l. centroamericana (Central American Spinner)을 명명하였다(Perrin, 1990). 이후, 추가적인 연구에 의해 현재는 4개의 아종 으로 정리되었다(Taxonomy, 2017). 본 연구에서는 Ohdachi 등도 일본해역이 포함되는 하와이 주변의 중앙 태평양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종인 S. l. longirostris로 기재한 것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Ohdachi et al., 2009). Genus Steno Gray, 1846 뱀머리돌고래속(신칭) 93 84. Steno bredanensis (G. Cuvier in Lesson, 1828) 뱀머리돌고래 Delphinus bredanensis G. Cuvier in Lesson, 1828: 206 (TL: European seas). Steno bredan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4; Perrin et al., 2002: 191; Yoon et al., 2004: 249<뱀머리돌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92; Sohn et al., 2012: 519; Kim et al., 2015a: 128<뱀머리돌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Rough-toothed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Ellerman과 Morrison-Scott은 최초 명명자로 Lesson, 1828을 기재하였다(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남한 해역에는 1997년부터 2004년까지 1개체만 좌초된 것 으로 보고되었다(Song, 2016). Genus Tursiops Gervais, 1855 병코돌고래속(신칭) 85. Tursiops aduncus (Ehrenberg, 1833) 남방큰돌고래 Delphinus aduncus Ehrenberg, 1832: 2 (TL: Belhosse Island, Red Sea). Tursiops adunc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6; Wang et al., 1999: 1603; Wang et al., 2000: 1157; Perrin et al., 2002: 216;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94; Kim et al., 2010: 213<남방큰돌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94 참고. Kim 등에 의해 국내에서 첫 확인 보고가 되었으며, 국명은 ‘남방큰돌고래’로 명명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Kim et al., 2010). 86. Tursiops truncatus truncatus (Montagu, 1821) 큰돌고래 Delphinus truncatus Montagu, 1821: 75 (TL: Duncannon Pool, near Stoke Gabriel, about 5 miles up the River Dart, Devonshire, England). Tursiops truncatus truncat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5; Perrin et al., 2002: 216;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Tursiops truncatus: Yoon et al., 2004: 245<큰돌고래>; Ohdachi et al., 2009: 396; Sohn et al., 2012: 519<큰돌고래>; Kim et al., 2015a: 125<병코곱등어(큰돌고래, 띠돌고래)>. 일반명(common name). Common Bottlenose Dolphin. 분포. 동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Black Sea bottlenose dolphin을 아종 T. t. ponticus Barabash-Nikiforov, 1940으로 구 별하면서 Common bottlenose dolphin는 T. t. truncatus로 정리되었다(IUCN, 2017; Taxonomy, 2017).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기재하였다. Family Monodontidae Gray, 1821 외뿔고래과 Genus Delphinapterus Lacépède, 1804 흰돌고래속 87. Delphinapterus leucas (Pallas, 1776) 흰고래 Delphinus leucas Pallas, 1776: 85 (TL: Mouth of Ob River, Siberia). Delphinapterus leucas leuca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7. Delphinapterus leucas: Perrin et al., 2002: 89; Yoon et al., 2004: 231<흰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Sohn et al., 2012: 519<흰고래>; Kim et al., 2015a: 136<흰돌고래>; 95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Beluga, White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본 종에 대해 국제포경위원회(IWC: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의 과학위 원회는 29개의 아개체군으로 정리하고 있다(Taxonomy, 2017). 한반도 해역이 포함되 는 아개체군은 Western Chukchi Sea–East Siberian Sea로 추정되며, 1997년 8월 부산 다 대포 내만에 회유한 기록이 있다(Kim et al., 2000). 앞으로의 연구결과에 따라 아종으 로 분리될 수 있는 종이다. Family Phocoenidae Gray, 1825 쇠돌고래과 Genus Neophocaena Palmer, 1899 상괭이속 88. Neophocaena asiaeorientalis sunameri Pilleri and Gihr, 1975 상괭이 Neophocaena sunameri Pilleri and Gihr, 1975: 668 (Renaming of D. melas Schlegel, 1841). Neomeris asiaeorientalis Pilleri and Gihr, 1972: 126 (TL: Yangtze, Prov. Kiangsu, Shanghai, China). Delphinus phocaenoides G. Cuvier, 1829: 291 (TL: Cape of Good Hope). Delphinus melas Temminck and Schlegel, 1844: 14 (TL: Kyushu on the E China sea). Neomeris phocaenoide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30; Won, 1958: 435[misprint = phocaenoider]. Neomeris phocoenoides: Woon, 1967: 86<쇠물돼지>; Won, 1968: 226<무라치(살광어, 물까 지(신도))>. Neophocaena asiaeorientalis: Pilleri and Gihr, 1975: 668; Sohn et al., 2012: 519<상괭이>. Neophocaena phocaenoides sunameri: Perrin et al., 2002: 291; Wilson and Reeder, 2005a; 96 Roskov et al., 2017. Neophocaena phocaenoides: Jefferson and Hung, 2004: 1; Yoon et al., 2004: 253<상괭이(쇠물 돼지)> ; Kim et al., 2015a: 131<무라치(살광어, 물까지(신도))>. Neophocaena asiaeorientalis sunameri: Ohdachi et al., 2009: 398; Jefferson and Wang, 2011: 9; Lin et al., 2014: 3; IUCN, 2017; Taxonomy, 2017; Horton et al., 2018. 일반명(common name). East Asian Finless Porpoise, Sunameri.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Ohdachi 등은 형태적 특징에서 2개의 아종으로 정리하여 설명하였다(Ohdachi et al., 2009). 이후 Jefferson과 Wang은 Neophocaena asiaeorientalis를 N. phocaenoides와 별 개의 종으로 구분하였다(Jefferson and Wang, 2011). 또한, Lin 등의 최근 연구에서 중 국 양쯔강(China's Yangtze River)에 서식하는 종은 N. a. asiaeorientalis로 한반도와 일 본에 걸쳐서 서식하는 종은 N. a. sunameri로 분리하여 기재되었다(Lin et al., 2014). SMM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표기하고(Taxonomy, 2017)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한반 도 서식종에 대해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Genus Phocoena G. Cuvier, 1816 쇠돌고래속(신칭) 89. Phocoena phocoena (Linnaeus, 1758) 쇠돌고래 Delphinus phocoena Linnaeus, 1758: 77 (TL: Swedish Seas). Phocoena vomerina Gill, 1865: 178 (TL: Puget Sound, Washington). Phocoena phocoena phocoen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9. Phocoena phocoena: Yoon et al., 2004: 252<쇠돌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400; Sohn et al., 2012: 519<쇠돌고래>; Kim et al., 2015a: 132<물돼지(쇠 97 돌고래)>;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Eastern Pacific Harbor Porpois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SMM에서는 해역별로 총 5개의 아종 P. p. phocoena (Linnaeus, 1758) (Atlantic harbor porpoise), P. p. vomerina (Gill, 1865) (Eastern Pacific harbor porpoise), P. p. relicta Abel, 1905 (Black Sea harbor porpoise), P. p. un-named subsp. (Western Pacific harbor porpoise), P. p. un-named subsp. (Afro-Iberian harbor porpoise)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 중 북태평양에 서식하는 종은 2개의 그룹으로 구별하고 있다. 북태평양 동부(ENP) 에 서식하는 종은 P. p. vomerina, 북태평양 서부(WNP)에 서식하는 종은 P. p. unnamed subsp.로 아직 아종명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Perrin et al., 2002; IUCN, 2017; Taxonomy, 2017). 때문에 현재 한반도 해역이 포함된 북태평양 서부 아종의 유효한 학명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종명으로 기재하였다. Genus Phocoenoides Andrews, 1911 까치돌고래속(신칭) 90. Phocoenoides dalli dalli (True, 1885) 까치돌고래 Phocaena dalli True, 1885: 95 (TL: Strait west of Adakh Island, Aleutian Is., off Alaska). Phocoenoides truei Andrews, 1911: 32 (TL: Aikawahama, Rikuzen Province, Japan). Phocaena dalli dall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9. Phocaena dalli true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9. Phocaenoides dalli true: Won, 1968: 224<작은곱등어(남방형)>. Phocoenoides dalli dalli: Won, 1968: 224<작은곱등어(북방형)>; Kim et al., 2015a: 130<작 은곱등어>; Perrin et al., 2002: 275;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98 Phocoenoides dalli: Yoon et al., 2004: 251<까치돌고래(작은곱등어)>; Ohdachi et al., 2009: 402; Sohn et al., 2012: 519<까치돌고래>. 일반명(common name). Dalli-type Dall’s Porpois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참고. 분류적 논쟁이 많은 종으로 아직까지는 P. d. dalli (True, 1885) (Dalli-type Dall’s porpoise)와 P. d. truei Andrews, 1911(Truei-type Dall’s porpoise)의 2아종을 인정하고 있 다. 하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유전적 차이의 수준은 두 아종이 dalli-type과 truei-type 의 개체군 수준(population level) 밖에 안된다고 추정하기도 한다(Escorza-Treviño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문헌에서는 북한 학자들만 기록하고 있는 점과 Ohdachi 등이 동해에 분포하는 종으로 dalli-type을 기재한 점을 참고하여 정리하였 다(Ohdachi et al., 2009). Family Kogiidae Gill, 1871 꼬마향고래과 Genus Kogia Gray, 1846 꼬마향고래속(신칭) 91. Kogia breviceps (Blainville, 1838) 꼬마향고래 Physeter breviceps Blainville, 1838: 337 (TL: Cape of Good Hope, S Africa). Kogia brevicep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1; Perrin et al.,, 2002: 89; Yoon et al., 2004: 229<꼬마향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46; Sohn et al., 2012: 519<꼬마향고래>; Kim et al., 2015a: 134<작은말향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Pygmy Sperm Whale. 99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한반도 해역에서는 아직까지 혼획 또는 좌초된 기록이 없다고 기재되어 있으 며(Yoon et al., 2004), 본 연구에서도 2004년 이후로 보고된 문헌을 찾지 못하였다. 92. Kogia sima (Owen, 1866) 쇠향고래 Physeter (Euphyseter) simus Owen, 1866: 30 (TL: Waltair, Madras Presidency, India). Kogia brevicep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1. Kogia sima: Perrin et al., 2002: 82; Yoon et al., 2004: 230<쇠향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48; Sohn et al., 2012: 519<쇠향고래>; Kim et al., 2015a: 135<시무스작은말향고래(쇠향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Dwarf Sperm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한반도 해역에서는 아직까지 혼획 또는 좌초된 기록이 없다고 기재되어 있으 며(Yoon et al., 2004), 본 연구에서도 2004년 이후로 보고된 문헌을 찾지 못하였다. Family Physeteridae Gray, 1821 향고래과 Genus Physeter Linnaeus, 1758 향고래속(신칭) 93. Physeter macrocephalus Linnaeus, 1758 향고래 Physeter macrocephalus Linnaeus, 1758: 76 (TL: Europaen seas); Perrin et al., 2002: 74; Yoon et al., 2004: 227<향고래(말향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44; Sohn et al., 2012: 519;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Physeter catodon Linnaeus, 1758: 76 (TL: Kairston, Orkney Islands); Ellerman and Morrison100 Scott, 1951: 721; Won, 1968: 230<말향고래>; Kim et al., 2015a: 133<말향고래>. 일반명(common name). Sperm Whale. 분포. 남극해, 남반구해,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Linnaeus가 동시에 기재한 P. macrocephalus과 P. catodon이 동일종이라는 사실 이 밝혀지면서, 과거엔 두 학명이 모두 사용되기도 하였다. Husson과 Holthuis가 ICZN의 최초 교정의 원칙(Principle of the First Reviser)에 근거하여 P. macrocephalus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1974), 이후의 여러 연구와 토론을 거쳐 SMM의 분류위원회는 최종 목록에 P. macrocephalus를 공 식적으로 사용하였다(Taxonomy, 2017).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P. catodon는 동물이 명(synonym)으로 정리하였다. Family Ziphiidae Gray, 1850 부리고래과 Genus Berardius Duvernoy, 1851 부리고래속 94. Berardius bairdii Stejneger, 1883 큰부리고래 Berardius bairdii Stejneger, 1883: 75 (TL: Bering Is., Commander Is., Bering Sea, E Siber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3; Won, 1968: 218<기름고래>; Perrin et al., 2002: 74; Yoon et al., 2004: 233<큰부리고래(기름고래)>; Wilson and Reeder, 2005; Ohdachi et al., 2009: 350; Sohn et al., 2012: 519<큰부리고래>; Kim et al., 2015a: 113<기름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Baird’s Beaked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101 참고. 한반도 동해에서 매년 여러 마리의 혼획과 좌초가 있다고 하였으나(Yoon et al., 2004), Song의 1997년부터 2004년까지 한반도 해역에 좌초된 고래류 목록에서는 확 인할 수 없었다(Song, 2016). 2006년 강릉의 동해 해상에서 죽은 ‘큰부리고래’를 인양 한 기사가 있으나(유형재, 2006), 분류학적으로 보고된 문헌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Genus Mesoplodon Gervais, 1850 이빨부리고래속 95. Mesoplodon densirostris (Blainville, 1817) 혹부리고래 Delphinus densirostris Blainville, 1817: 178 (TL: Unknown). Mesoplodon densirostr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6; Perrin et al., 2002: 112; Yoon et al., 2004: 235<혹부리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56; Sohn et al., 2012: 519<혹부리고래>; Kim et al., 2015a: 116<큰덧이발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Blainville’s Beaked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남한에서는 1998년 인천 월미도에서 좌초한 기록이 있다(Kim et al., 2000). 96. Mesoplodon ginkgodens Nishiwaki and Kamiya, 1958 은행이빨부리고래 Mesoplodon ginkodens Nishiwaki and Kamiya, 1958: 445 (TL: Oiso Beach, Japan); Perrin et al., 2002: 119; Yoon et al., 2004: 236<은행이빨부리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58; Sohn et al., 2012: 519<은행이빨부리고래>; Kim et al., 2015a: 116<은행이발주둥이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102 일반명(common name). Ginkgo-toothed Beaked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참고. 남한에서는 2013년 제주에서 좌초된 개체를 ‘은행이빨부리고래’로 보고한 신 문기사가 있으나(최충일, 2015), 그에 대한 공식적인 분류학적 보고 등 추가적인 출 판된 문헌이 없어 확실하지 않다. 97. Mesoplodon stejnegeri True, 1885 큰이빨부리고래 Mesoplodon stejnegeri True, 1885: 584 (TL: Bering Is., Commander Is., Bering Sea, E Siberi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6; Perrin et al., 2002: 144; Yoon et al., 2004: 235<큰이빨부리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60; Sohn et al., 2012: 519<큰이빨부리고래>; Kim et al., 2015a: 115<덧이발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tejneger's Beaked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참고.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남한 연안에 15개체가 좌초된 것으로 보고되었다(Song, 2016). Genus Ziphius G. Cuvier, 1823 민부리고래속 98. Ziphius cavirostris G. Cuvier, 1823 민부리고래 Ziphius cavirostris G. Cuvier, 1823: 352. (TL: Near Fos, Bouches-du-Rhone, France);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724; Perrin et al., 2002: 98; Yoon et al., 2004: 234<민부리 고래>;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362; Sohn et al., 2012: 519<민 103 부리고래>; Kim et al., 2015a: 114<주둥이고래>;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Cuvier’s Beaked Whale, Goose-beaked Whale, Goosebeak Whale.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동 대서양, 서 대서양. 참고. 남한의 문헌에서는 실제 표본을 분류학적으로 보고한 것을 찾을 수 없었다. Family Suidae Gray, 1821 멧돼지과 Subfamily Suinae Gray, 1821 멧돼지아과 Tribe Suini Gray, 1821 멧돼지족 Genus Sus Linnaeus, 1758 멧돼지속 99. Sus scrofa ussuricus Heude, 1888 멧돼지 Sus ussuricus Heude, 1888: 54 (TL: Ussuri Valley, E Siberia). Sus scrofa Linnaeus, 1758: 49 (TL: Germany). Sus leucomystax var. continentalis Nehring, 1889: 141 (TL: Vladivostok, E Siberia). Sus gigas Heude, 1892: 114 (TL: Vladivostok, E Siberia). Sus coreanus Heude, 1897: 191 (TL: Pusan, Korea). Sus scrofa corea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47; Won, 1958: 430<산돼지>; Woon, 1967: 34<멧돼지>; Won, 1968: 350<멧돼지>; Yoon et al., 2004: 258<멧돼지 >; Kim et al., 2015a: 189<메돼지>. Sus scrofa ussuric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47; Won, 1958: 430<대륙산돼지>; Woon, 1967:32<대륙멧돼지>; Yoon et al., 2004: 258<멧돼지>;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Roskov et al., 2017. Sus scrofa continentalis: Won, 1968: 346<백두산멧돼지(산돼지)>; Kim et al., 2015a: 190<백 104 두산메돼지(산돼지)>. 일반명(common name). Manchurian Wild Boar. 분포. 한반도, 만주. 참고. Groves와 Grubb은 지리적 기준 및 형태적 기준에 따라 4개의 아종 그룹으로 나누었으며(Groves and Grubb, 1993), 한반도 서식종은 'Eastern races'에 속한다고 기술 하였다(IUCN, 2017). 또한, Ohdachi 등은 일본에 2개의 아종인 S. s. leucomystax와 S. s. riukiuanus가 서식한다고 기술하였다(Ohdachi et al., 2009).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서식종의 기존 문헌과 Groves와 Grubb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아종으로 정 리하였다. Family Moschidae Gray, 1821 사향노루과 Genus Moschus Linnaeus, 1758 사향노루속 100.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Hollister, 1911 사향노루 Moschus parvipes Hollister, 1911: 1 (TL: Mountains near Mokpo, Korea). Moschus moschiferus Linnaeus, 1758: 66; Yoon et al., 2004: 260<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54; Won, 1958: 430<사 향노루>[misprint = Mosehus]; Woon, 1967:37<사향노루>; Won, 1968: 355<사향노루 (국노루)>;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91<사향노루(국노루)>; Nyambayar et al., 2015;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Korean Musk Deer. 분포. 한반도. 105 참고. Sokolov와 Prikhod'ko에 의해 지역별로 5개의 아종인 M. m. moschiferus (Siberia and Mongolia), M. m. turovi (Russian Far East), M. m. arcticus (Verkhoyansk Ridge), M. m. sachalinensis (Sakhalin), M. m. parvipes (Korea)으로 분리되었다(Sokolov and Prikhod'ko, 1997). 최근에는 M. chrysogaster (Central China)와 M. leucogaster (Himalayas)라는 별개 의 종으로 정리되기도 한다(IUCN, 2017). 국내 서식종도 러시아와 중국 등지에 서식 하는 아종과 별개의 고유아종으로 기재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Family Cervidae Goldfuss, 1820 사슴과 Subfamily Capreolinae Brookes, 1828 노루아과 Genus Capreolus Gray, 1821 노루속 101. Capreolus pygargus pygargus (Pallas, 1771) 큰노루 Cervus pygargus Pallas, 1771: 453 (TL: River Sok, Samara district, Volga, Russia). Capreolus tianschanicus Satunin, 1906: 527 (TL: Kuldja, Chinese Tian Shan Mountains). Capreolus capreolus pygarg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73; Won, 1958: 432<큰 노루>; Woon, 1967: 51<큰노루>; Won, 1968: 360<백두산노루>; Kim et al., 2015a: 194<백두산노루>. Capreolus pygargus pygargus: Kurada, 1934: 229; Wilson and Reeder, 2005a; Sheremetyeva and Sheremetyev, 2008; 557; Roskov et al., 2017. Capreolus pygargus: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Roe. 분포. 유럽, 아시아 남부, 아시아 북부. 106 참고. 극동지역에 서식하는 C. pygargus의 아종에 대해 여러 연구결과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Sheremetyeva와 Sheremetyev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Sheremetyeva and Sheremetyev, 2008). 102. 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Satunin, 1906 노루 Capreolus tianschanicus Satunin, 1906: 527 (TL: Kuldja, Chinese Tian Shan Mountains). Capreolus bedfordi Thomas, 1908b: 645 (TL: Mt. Chao Cheng-Shan, Shansi, China). Capreolus melanotis Miller, 1911b: 231 (TL: E Ching-yang-fu, Kansu, China). Capreolus capreolus ochracea Barclay, 1935: 627 (TL: Korea). Capreolus capreolus bedford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73; Won, 1958: 432<노루 >; Woon, 1967:52<노루>; Won, 1968: 365<노루(고란이)>; Kim et al., 2015a: 195<노 루(고라니)>. Capreolus pygargus ochraceus: Koh and Randi, 2001;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Yoon et al., 2004: 270<노루>; Park et al., 2014: 4286. Capreolus pygargus melanotis: Sheremetyeva and Sheremetyev, 2008: 557. Capreolus pygargus: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Korean Roe, Siberia Roe Deer. 분포. 한반도, 남부 연해주, 아무르 강, 중국 동부. 참고. 한반도에 서식하는 노루 아종에 대해 문헌에서는 C. p. bedfordi, C. p. ochraceus, C. p. tianschanicus의 3개 아종명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Sheremetyeva와 Sheremetyev는 아시아 내륙 종에 대해 재정리하며 C. p. melanotis로 제시하였으나, 유 전자 분석에 한반도 개체의 샘플이 포함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국내 종에 대한 재 확인이 필요하다(Sheremetyeva and Sheremetyev, 2008). 한편, Mammal species of the 107 World 3rd ed.에서는 Koh와 Randi의 논문을 반영하여 C. p. ochraceus로 기재하였으나, 이 연구는 제주 서식종의 샘플을 이용한 연구로 내륙종에 대한 언급은 없다(Koh and Randi, 2001). 이후의 연구에서 Park 등은 mtDNA cyb와 Skull morphology를 비교 하여 제주 서식종에 대해 내륙과는 별도의 아종인 C. p. jejuensis로 제안하였으나, 이 는 비교대상인 내륙 아종에 대한 분류적 위치를 확정하지 않은 상태의 연구 결과였 다(Park et al., 2014; Park et al., 2016). 또한, 내륙과 제주 Siberia roe deer의 mtDNA cyb를 비교한 결과는 유전적 거리(Tamura-Nei’s distance)가 평균 0.009%로 Bradley와 Baker 가 2001년에 제시한 아종으로 구분되는 유전적 거리(Kimura-2-parameter) 평균 1.04% 보다 이하였다(Bradley and Baker, 2001). 이는, 아종 관계인 유럽 수달과 남한 수달에 대한 Koh 등의 연구에서는 유럽 수달간의 유전적 거리(Tamura-Nei’s distance)가 0.10%, 남한 수달간의 유전적 거리(Tamura-Nei’s distance)는 0.10%로 유럽 수달과 남 한 수달 개체군의 독립성을 확인한 결과를 비교해도 알 수 있다(Koh et al., 2004). 이 연구를 참고하더라도 Park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노루’를 아종으로 분리하기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주노루’는 아종이 아닌 개체군의 수준으로 판단하였으며, 내륙노루는 Siberia roe deer인 C. p. tianschanicus로 정리하였 다. Subfamily Cervinae Goldfuss, 1820 사슴과 Genus Cervus Linnaeus, 1758 사슴속 103. Cervus canadensis xanthopygus Milne-Edwards, 1867 붉은사슴 Cervus xanthopygus Milne-Edwards, 1867: 376 (TL: Near Pekin, Chihli, China). Cervus elaphus Linnaeus, 1758: 67 (TL: S Sweden); Yoon et al., 2004: 265<붉은사슴>. Cervus elaphus canadensis Erxleben, 1777: 305 (TL: E Canada (Quebec)). 108 Cervus elaphus xanthopyg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69; Won, 1958: 432<백두 산사슴>; Woon, 1967: 49<백두산사슴>; Won, 1968: 371<누렁이(늘이, 마록)>; Kim et al., 2015a: 197<누렁이(마록, 붉은사슴)>;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Cervus canadensis xanthopygus: Ludt et al., 2004: 1074;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Wapiti, Alashan Wapiti, Izubra/Manchurian Wapiti, McNeill’s Deer, Merriam’s Wapiti, Shou, Siberian Wapiti, Tien Shan Wapiti, Tule Elk. 분포. 한반도, 남동 시베리아, 극동 러시아, 우수리, 만주. 참고. Randi 등의 연구에서 Cervus속에 포함되는 종은 C. elaphus와 C. canadensis의 2 개 종으로 정리되었다(Randi et al., 2001). 또한, Ludt 등은 국내 기록종인 C. xanthopygus의 러시아 개체 Haplotype을 C. canadensis xanthopygus로 정리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였다(Ludt et al., 2004). 104. Cervus nippon hortulorum Swinhoe, 1864 대륙사슴 Cervus hortulorum Swinhoe, 1864: 169 (TL: Pekin). Cervus nippon Temminck, 1838: 112 (TL: Japan); Yoon et al., 2004; 262<대륙사슴>; Ohdachi et al., 2009: 304. Cervus sika Temminck, 1845: 54 (TL: Japan). Cervus mantchuricus Swinhoe, 1864: 169 (TL: Ying-tzu-kou, Newchwang, Manchuria). Cervus nippon hortulorum: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65; Won, 1958: 431<우스리 사슴>; Woon, 1967: 43<우수리사슴>; Won, 1968: 375<사슴>;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99<사슴(토록, 백두산사슴)>; IUCN, 2017; Roskov et al., 2017. Cervus nippon mantchuricus: Won, 1958: 430<대륙사슴>; Woon, 1967: 41<대륙사슴>. 109 일반명(common name). Dybowski's Sika Deer. 분포. 한반도, 극동 러시아, 중국 북동. 참고. Ohdachi 등은 C. nippon 종에 속한 14개의 아종을 언급하였으며(Ohdachi et al., 2009), Catalogue of Life에는 16개의 아종으로 정리되어 있다(Roskov, 2017). 한반도의 아종은 남한에서는 멸종한 것으로 파악되며, 북한의 문헌에는 백두산 일대와 대성 산 일대에 소수 남아있는것으로 기록되어 있다(Kim et al., 2016). 이에 따라 본 연구 에서는 기존의 문헌을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Subfamily Hydropotinae Trouessart, 1898 고라니아과 Genus Hydropotes Swinhoe, 1870 고라니속 105.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Heude, 1884 고라니 Hydropotes argyropus Heude, 1884: 1017 (TL: Korea). Hydropotes inermis Swinhoe, 1870: 89 (TL: Yangtze River, Chinkiang, Kiangsu, China).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54; Won, 1958: 432<복작 노루(고라니)>; Woon, 1967: 55<고라니(보노루, 복작노루)>; Won, 1968: 379<복작 노루(약노루, 복노루, 복작이, 보재기, 노루)>; Yoon et al., 2004: 268<고라니(복작 노루)>;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200<복작노루(약노루, 복노루, 복작이, 보재기, 노루>; Harris and Duckworth, 2015;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Korean Water Deer. 분포. 한반도, 유럽, 아시아 북부, 아시아 남부. 110 참고. 중국과 한반도 고유종으로 중국의 H. i. inermis와 한반도의 H. i. argyropus로 구 분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에 도입된 개체들이 그 지역 생태계에 정착한 것으로 관찰되었다(Marchant, 2016). Family Bovidae Gray, 1821 소과 Subfamily Caprinae Gray, 1821 양아과 Genus Naemorhedus C.H. Smith, 1827 산양속 106. Naemorhedus caudatus (Milne-Edwards, 1867) 산양 Antilope caudate Milne-Edwards, 1867: 377 (TL: Bureja Mountains, Amurland). Antilope goral Hardwicke, 1825: 518 (TL: Nepal Himalaya). Kemas raddeanus Heude, 1894: 240 (TL: Amur River). Naemorhedus goral raddea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402; Won, 1958: 432<산 양>; Woon, 1967: 59<산양>; Won, 1968: 386<산양>; Yoon et al., 2004: 273<산양>; Kim et al., 2015a: 203<산양>. Naemorhedus goral caudatus: Mead, 1989: 335. Naemorhedus caudatus: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Long-tailed Goral, Chinese Goral. 분포. 한반도, 중국, 러시아 연방. 참고. 국내 연구자들은 한반도 개체를 아종인 N. c. raddeanus (Heude, 1894)로 표기하 는 경우가 많지만, Grubb에 의해 아종이 모두 동물이명으로 정리되어 현재 Naemorhedus caudatus는 아종이 없이 종으로만 기재되고 있다(Grubb, 2005). 이후에도 아종으로서의 분류적 위치를 확인한 연구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분류학 111 적 정리를 따라 종의 수준으로 기재하였다(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Order Carnivora Bowdich, 1821 식육목 Suborder Feliformia Kretzoi, 1945 고양이아목 Family Fel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고양이과 Subfamily Felinae Fischer de Waldheim, 1817 고양이아과 Genus Lynx Kerr, 1792 스라소니속 107. Lynx lynx neglectus Stroganov, 1962 스라소니 Lynx lynx neglectus Stroganov, 1962: 408 (TL: Suputin preserve, Primor’e territory (Ussuri territory)). Felis lynx Linnaeus, 1758: 43 (TL: Near Upsala, Sweden). Felis cervaria Temminck, 1824: 106 (TL: Asia). Felis (Lynx) lynx stroganovi Heptner, 1969: 1265 (Substitute for L. lynx neglectus Strog., 1962.(V.H.)). Felis lynx lynx: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08. Felis lynx cervaria: Won, 1968: 320<시라소니>; Yoon and Koh, 1997: 302<스라소니>. Lynx lynx cervaria: Won, 1958: 442<시라손이>; Woon, 1967: 152<스라소니>; Kim et al., 2015a: 172<시라소니>. Lynx lynx: Yoon et al., 2004:154<스라소니>. Lynx lynx stroganovi: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Roskov et al., 2017. Lynx lynx neglectus: Kitchener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Eurasian Lynx. 분포. 한반도(북한), 러시아 극동, 우수리, 아무르 영토, 중국 동북부(만주). 112 참고. IUCN 등에서는 지역별로 5-6 아종을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과 북한에 걸쳐 서 식하는 종을 L. l. stroganovi로 기재하고 있다(IUCN, 2017). 하지만, IUCN/SSC Cat Specialist Group에서는 동물명명법을 따라 Heptner가 개명한 Felis stroganovi보다 Felis neglecta Gray, 1838가 선취권이 있음을 밝히며 학명을 수정하였고, 본 종이 Lynx lynx wrangeli Ognev, 1928에 포함되는 아종일 수도 있음을 제안하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 요하다고 평가하였다(Kitchener et al., 2017).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L. l. neglecta로 정리하였다. Genus Prionailurus Severtzov, 1858 삵속 108.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Elliot, 1871) 삵 Felis euptilura Elliot, 1871: 761 (Renaming of undata Radde, preoccupied). Felis bengalensis Kerr, 1792: 151 (TL: S Bengal). Felis undata Radde, 1862: 106 (TL: Amur Djesa, E Sibieia). Felis microtis Milne-Edwards, 1872: 221 (TL: Near Peking). Felis manchurica Mori, 1922: 609 (TL: near Mukden, Manchuria). Felis bengalensis manchuric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13; Won, 1958: 442<삵>; Woon, 1967: 145<삵(삵괭이)>. Felis bengalensis euptilur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13; Kim et al., 2015a: 171< 삵>. Felis euptilura microtis: Won, 1968: 308<삵(살기, 삵정이)>. Felis (Felis) euptilura: Heptner and Sludskii, 1988: 328. Felis bengalensis: Yoon et al., 2004: 156<삵>.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34; IUCN, 2017; Roskov et al., 2017; Kitchener et al., 2017. 113 일반명(common name). Amur Leopard Cat. 분포. 한반도, 아무르, 우수리, 러시아, 중국 북동. 참고. Wozencraft는 지역별로 11개 아종으로 정리하였으며, 중국과 한반도에 걸쳐 서 식하는 종을 P. b. euptilurus로 기재하였다(Wilson and Reeder, 2005a). 이후의 유전학적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IUCN/SSC Cat Specialist Group에서는 중앙아시아의 삵을 남부 아종과 북부 아종으로 정리하였다(Kitchener et al., 20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가 속해있는 지역은 북부 아종의 서식지역에 해당하는 것을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Subfamily Pantherinae Pocock, 1917 표범아과 Genus Panthera Oken, 1816 표범속 109. Panthera pardus orientalis (Schlegel, 1857) 표범 Felis orientalis Schlegel, 1857: 23 (TL: Korea). Panthera pardus Linnaeus, 1758: 41 (TL: Egypt). Felis villosa Bonhote, 1903: 475 (TL: Amur Bay). Felis pardus oriental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16; Won, 1958: 442<표범>; Woon, 1967: 147<표범>; Won, 1968: 312<표범(표표, 돈점백이)>. Panthera pardus orientalis: Yoon et al., 2004: 159<표범>;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74<표범>; IUCN, 2017; Roskov et al., 2017; Kitchener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Leopard. 분포. 러시아 극동에서 중국까지 동아시아. 참고. IUCN/SSC Cat Specialist Group에서는 아시아 아종들에 대한 더 명확한 연구결과 114 가 있을때까지는 아종에 대해 보수적으로 분류하여 유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Kitchener et al., 2017). 본 연구에서도 기존 문헌의 학명을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110. Panthera tigris altaica Temminck, 1844 호랑이 Felis tigris altaicus Temminck, 1844: 43 (TL: Korea). Felis tigris Linnaeus, 1758: 41 (TL: Bengal). Felis tigris coreensis Brass, 1904: 4-5 (TL: Korea). Tigris mikodoi Satunin, 1915: 17 (N.V. Ognev’s reference). Felis tigris mandshurica Baykov, 1925: 3 (TL: Harbin, Manchuria). Panthera tigris core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18. Felis tigris coreensis: Won, 1958: 442<범>; Woon, 1967: 148<호랑이(범)>; Won, 1968: 315 < 범(츩범, 츩가름, 호랭이, 갈호)>. Panthera tigris: Heptner and Sludskii, 1988: 95; Yoon et al., 2004: 160<호랑이(범)>. Panthera tigris altaica: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75 <조선범(범, 가름, 호랑이, 갈호)> ; IUCN, 2017 ; Roskov et al., 2017; Kitchener et al., 2017; Liu et al., 2018: 1. Panthera tigris tigris: Kitchener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Tiger, Amur Tiger. 분포. 한반도, 중국, 러시아. 참고. IUCN/SSC Cat Specialist Group은 세계적으로 호랑이에 대한 여러 분자 및 형태 학적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연구자별로 아종의 수를 2-9까지 다양하게 주장하고 있 음을 지적하며 현재 야생에서 살아있는 호랑이 개체군에 기초한 결과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Wilting 등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P. t. tigris (Linnaeus, 1758)(northern tigers) 와 P. t. sondaica (Temminck, 1844)(southern tigers) 2개의 아종만 유 115 효명으로 제안하였다(Wilting et al., 2015; Kitchener et al., 2017). 하지만, Liu 등의 연구 에서는 실존하던 호랑이 표본 32개의 전체 유전자서열(whole-genome sequencing)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6개의 아종으로 정리하였다(Liu et al., 2018).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북한에서 서식지외 보호중인 개체도 있으므로 보수적인 입장 으로 Liu 등의 연구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Suborder Caniformia Kretzoi, 1938 개아목 Family Canidae Fischer, 1817 개과 Genus Canis Linnaeus, 1758 개속 111. Canis lupus chanco Gray, 1863 늑대 Canis chanco Gray, 1863: 94 (TL: Chinese Tartary). Canis lupus Linnaeus, 1758: 39 (TL: Sweden); Ohdachi et al., 2009: 226. Lupus laniger Hodgson, 1847: 474 (TL: Tibet). Canis lupus coreanus Abe, 1923: 383 (TL: near Seoul, Korea); Kuroda, 1934: 230; Yoon et al., 2004: 147<늑대>. Canis lupus chanco: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19; Won, 1958: 441<늑대>; Woon, 1967: 139 <늑대>; Won, 1968: 251<늑대(말승냥이)>; Sillero-Zubiri et al., 2004: 240;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47<늑대(말승냥이)>;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Mongolian Wolf, Tibetan Wolf. 분포. 한반도, 몽골, 중국 중부와 북부, 러시아 우수리. 참고. C. l. coreanus는 Ellerman과 Morrison-Scott이 C. l. chanco의 동물이명으로 정리한 116 이후로 다른 문헌에서는 기록이 없으며, Yoon 등에 의해서만 기록된 학명이다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Yoon et al., 2004). 남한에서는 야생절멸한 종으로 서 식지외(동물원)에서 사육되는 개체가 있다. Genus Cuon Hodgson, 1838 승냥이속 112. Cuon alpinus alpinus (Pallas, 1811) 승냥이 Canis alpinus Pallas, 1811: 34 (TL: Near Udskoi Ostrog, Amurland). Cuon alpinus alpi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33; Won, 1968: 268<승냥이(개승 냥이)>; Sillero-Zubiri et al., 2004: 211;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53<승냥이(개승냥이)>;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Dhole, Asiatic Wild Dog, Indian Wild Dog, Red Dog. 분포.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참고. 이 종은 남한에서는 확인된 기록이 없고 북한에만 기록이 남아 있다. Durbin 등은 지역별로 6개 아종(C. a. lepturus, C. a. dukhumensis, C. a. adjustus, C. a. infuscus, C. a. sumatrensis, C. a. javanicus )으로 구분하였으며, 러시아 동부와 샤얀 동부에 분포하 는 종을 C. a. alpinus로 기록하였다(Durbin et al.,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도 한반도 서 식종에 대해 Durbin 등의 정리를 반영하였다. Genus Nyctereutes Temminck, 1838 너구리속 113.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Mori, 1922 너구리 Nyctereutes koreensis Mori, 1922: 607 (TL: Gseiju, near Seoul, Korea). 117 Canis procyonoides Gray, 1834: 2 (TL: Vicinity of Canton, Southern China).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33; Won, 1958: 441<너구리>; Woon, 1967:138<너구리>; Won, 1968: 267<너구리>; Sillero-Zubiri et al., 2004: 137;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Roskov et al., 2017. Nyctereutes procyonoides: Yoon et al., 2004: 148<너구리>; Ohdachi et al., 2009: 224. 일반명(common name). Korea Raccoon Dog. 분포. 한반도(남한). 참고. 전 세계적으로 6개의 아종인 N. p. koreensis Mori, 1922, N. p. orestes Thomas, 1923, N. p. procyonoides (Gray, 1834), N. p. ussuriensis Matschie, 1907, N. p. viverrinus Temminck, 1838 으로 정리되고 있다(Roskov, 2017). 북한에서는 한반도의 북부지방에만 서식하 는 ‘너구리’ 1아종만 기록하며 N. p. ussuriensis Matschie, 1907로 기재하였다(Kim et al., 2015a). 하지만, 남한에서는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에 서식하는 아종을 구분하여 N. p. koreensis와 N. p. ussuriensis로 각각 기록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보수적인 입장으 로 기존의 문헌을 모두 반영하여 기록하였다(Yoon et al., 2004). 앞으로 한반도 서식 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N. p. koreensis와 N. p. ussuriensis의 실체 확인과 정 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14. Nyctereutes procyonoides ussuriensis Matschie, 1907 우수리너구리 Canis procyonoides Gray, 1834: 2 (TL: Vicinity of Canton, Southern China). Nyctereutes ussuiensis Matschie, 1907: 178 (TL: Near mouth of Ussuri River, E Siberia). Nyctereutes procyonoides ussuri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33; Won, 1958: 441<우스리너구리>; Woon, 1967: 135 <우수리너구리>; Won, 1968: 263<우쑤리너 구리>; Yoon et al., 2004: 148<너구리>; Sillero-Zubiri et al., 2004: 137; Wilson and 118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52<너구리>;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Ussuri Raccoon Dog. 분포. 한반도(북한), 중국, 일본, 몽골, 베트남; 러시아 연방. 참고. 북한에서는 한반도의 북부지방에만 서식하는 ‘너구리’ 1아종만 기록하며 N. p. ussuriensis Matschie, 1907로 기재하였다(Kim et al., 2015a). 하지만, 남한에서는 북부지 역과 남부지역에 서식하는 아종을 구분하여 N. p. koreensis와 N. p. ussuriensis로 각각 기록하였다(Yoon et al., 2004). 또한, 이 N. p. ussuriensis은 1929년부터 1950년대 중반 까지 모피를 얻기 위한 사냥용 종으로 중동 아시아와 구소련을 위주로 도입되었다. 현재는 유럽 전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현지에서는 침입종으로 관리하 고 있다(Kowalczyk, 2014). Genus Vulpes Frisch, 1775 여우속 115. Vulpes vulpes peculiosa Kishida, 1924 여우 Vulpes peculiosa Kishida, 1924: 55 (TL: Korea). Canis vulpes Linnaeus, 1758: 40 (TL: Sweden). Vulpes kiyomasai Kishida and Mori, 1929: 82 (TL: NE Korea; based on a live specimen in Seoul Zoo). Vulpes vulpes peculios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29; Won, 1958: 440<여우 >[misprint = Vulpes nulpes]; Woon, 1967: 132<여우>; Won, 1968: 258 <여우(영이)>; Yoon et al., 2004: 152<여우>; Sillero-Zubiri et al., 2004: 131;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49<여우>; Roskov et al., 2017. Vulpes kyomasai: Won, 1968: 261<백두산여우>[misprint= kiyomasai] 119 Vulpes vulpes: Ohdachi et al., 2009: 222. 일반명(common name). Korean Red Fox. 분포. 한반도, 우수리, 중국 북동. 참고. 과거 한반도에 서식하여 아종으로 기록된 개체들은 남한에서는 야생절멸한 것으로 파악되며, 북한에는 아직 해당 아종이 남아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Family Ursidae Fischer de Waldheim, 1817 곰과 Genus Ursus Linnaeus, 1758 곰속 116. Ursus arctos lasiotus Gray, 1867 불곰 Ursus lasiotus Gray, 1869: 301 (TL: Interior of N China). Ursus arctos Linnaeus, 1758: 47 (TL: Sweden); Yoon et al., 2004:165<불곰(큰곰)>; Ohdachi et al., 2009: 240; IUCN, 2017. Ursus arctos lasiot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38; Won, 1958: 440<큰곰(불 곰)>[misprint = lasiatus]; Woon, 1967: 122<불곰>; Won, 1968: 273 <큰곰(갈색곰)>;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56<큰곰>;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Ussuri Brown Bear. 분포. 한반도(북한),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캐나다, 미국, 스칸디나비아, 카파티 아. 참고. 북한지역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Kim 등의 기재를 반영하였으며(Kim et al., 2015a), 남한에서는 관찰된 기록이 없다. 120 117. Ursus thibetanus ussuricus (Heude, 1901) 반달가슴곰 Selenarctos ussuricus Heude, 1901: 2 (TL: Ussuri region, E Siberia). Ursus thibetanus G. Cuvier, 1823: 325 (TL: Sylhet, Assam); Ohdachi et al., 2009: 243; IUCN, 2017. Ursus (selenarctos) thibetanus ussuriensis: Won, 1968: 277 <곰(검은곰, 능손이)>. Selenarctos thibetanus ussuric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39; Kim et al., 2015a: 157 <곰(검은곰, 능손이, 반달곰)> [ussuriensis = ussuricus]. Ursus thibetanus ussuricus: Won, 1958: 440<곰>; Woon, 1967: 127 <곰(반달가슴곰)>; Wilson and Reeder, 2005a; Wu et al., 2015; Roskov et al., 2017. Selenarctos thibetanus: Yoon et al., 2004: 162 <반달가슴곰>. 일반명(common name). Asian Black Bear. 분포. 한반도, 중국 북부, 만주, 우수리, 아무르, 히말라야, 러시아 극동, 일본 혼슈, 시코쿠 섬, 대만. 참고. 전 세계에 7개의 아종 (U. t. formosanus Swinhoe, 1864; U. t. gedrosianus Blanford, 1877; U. t. japonicus Schlegel, 1857; U. t. laniger (Pocock, 1932); U. t. mupinensis (Heude, 1901); U. t. thibetanus G.[Baron] Cuvier, 1823; U. t. ussuricus (Heude, 1901))이 기록되고 있 으며(Roskov et al., 2017), Wu 등의 mtDNA 연구에 의해 한반도 서식종은 U. t. ussuricus로 확인되었다(Wu et al., 2015). 남한에서는 2004년부터 인공번식을 통해 국 립공원에 재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매년 인공번식과 자연번식을 통해 개체수가 늘어 2018년 56개체로 최소존속개체수를 충족했다고 보고되었다(환경부, 2018). Family Otariidae Gray, 1825 바다사자과 Genus Callorhinus J.E. Gray, 1859 물개속 121 118. Callorhinus ursinus (Linnaeus, 1758) 물개 Phoca ursinus Linnaeus, 1758: 37 (TL: Bering Island, off NE Siberia). Callorhinus ursi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22; Won, 1958: 436<물개>; Woon, 1967: 94 <물개>; Won, 1968: 331 <물개(해구, 온눌수)>; Yoon et al., 2004: 190 <물 개>;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95; Kim et al., 2015a: 180<물개 >;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Northern Fur Seal. 분포. 북서 태평양; 동부 중앙 태평양; 북동 태평양. 참고. 남한에서는 주로 겨울과 봄에 동해 해역에서 관찰된다. Genus Eumetopias Gill, 1866 큰바다사자속 119. Eumetopias jubatus jubatus (Schreber, 1776) 큰바다사자 Phoca jubata Schreber, 1776: 300 (TL: N Pacific Ocean (E coast of Kamtchatka, according, to Ognev)). Eumetopias jubat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23; Won, 1958: 436<바다사자 >[misprint = Eumettopias]; Woon, 1967: 96 <바다사자>. Eumetopias jubatus: Won, 1968: 326 <바다말(호빈)>; Yoon et al., 2004: 187 <큰바다사자>; Kim et al., 2015a: 178 <바다말(호빈) >;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2017; Roskov et al., 2017. Eumetopias jubatus jubatus: Phillips et al., 2009: 9; Taxonomy, 2017. 일반명(common name). Steller Sea Lion. 122 분포. 북서 태평양; 동부 중앙 태평양; 북동 태평양 참고. 한국에서 발견되는 종은 방랑개체들이다(Vagrant: 중국, 한반도). SMM에서는 Phillips 등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2개의 아종인 E. j. jubatus (Schreber, 1776)(Western Steller sea lion)과 E. j. monteriensis (Gray, 1859)(Loughlin’s Steller sea lion)으로 정리하고 기각류 특별 그룹(The Pinniped Specialists Group)에서도 두 아종을 개별적으로 평가하 였다(Phillips et al., 2009; Taxonomy, 2016).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해역이 포 함된 태평양 서부의 서식 아종으로 정리하였다. Genus Zalophus Gill, 1866 바다사자속 120. Zalophus japonicus (Peters, 1866) 바다사자 Otaria japonica Peters, 1866: 668 (TL: Japan). Otaria californiana Lesson, 1828: 420 (TL: California). Zalophus californian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23; Won, 1968: 329<바다사자>; Yoon et al., 2004: 188 <바다사자>; Kim et al., 2015a: 179 <바다사자>.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Yoon et al., 2004: 189 <바다사자>. Zalophus japonicus: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97;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Japanese Sea lion. 분포. 한반도. 참고. MSW3는 Z. japonicus로 정리하였으며(Wilson and Reeder, 2005a), 남한에서는 일 반인에게 ‘독도 강치’라는 한국명으로 더 잘 알려진 종으로 과거에는 일반명으로 ‘가제’, ‘가재’, ‘강치’, ‘가지’, ‘가지어’ 등 다양하게 불리었다(김용기, 2018). 주요 번 123 식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독도 주변에서 1900년대 일본의 남획으로 인해 멸종되 었다. 일본 시마네현 산베자연관에 ‘독도대왕(리앙쿠르트대왕)’으로 유명한 박제표 본이 남아있으며, Ohdachi 등은 Tennoji Zoo Osaka에서 보관하고 있는 1930년대 독 도에서 채집된 아성체 수컷(subadult male)의 박제표본 사진을 본문에 삽입하였다 (Ohdachi et al., 2009). Family Phocidae Gray, 1821 물범과 Genus Histriophoca Gill, 1873 띠무늬물범속 121. Histriophoca fasciata (Zimmermann, 1783) 띠무늬물범 Phoca fasciata Zimmermann, 1783: 277 (TL: Kurile Is., N Japan);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30; Won, 1958: 436<물범>; Woon, 1967: 92 <흰띠박이물범>. Histriophoca fasciata: Won, 1968: 341 <띠무늬넝에>; Yoon et al., 2004: 197 <띠무늬물범>;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88; Kim et al., 2015a: 186 <띠무늬물 범>;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Ribbon Seal. 분포. 북극해; 북서 태평양; 북동 태평양. 참고. 문헌상으로는 기록되고 있으나 남한에서는 관찰된 기록이 없고, 북한자료에 과거 대동강 하류에서 발견된 적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Ohdachi 등은 북태평양의 고유종(Endemic to the North Pacific)이며 오호츠크해의 2개 개체군과 베링해의 1개 개 체군이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Ohdachi et al., 2009). Genus Phoca Linnaeus, 1758 물범속 124 122. Phoca largha Pallas, 1811 잔점박이물범 Phoca largha Pallas, 1811: 113 (TL: E Kamtchatka); Yoon et al., 2004:194 <잔점박이물범>;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82; Kim et al., 2015a: 184 <점박이물 범>;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Phoca vitulina Linnaeus, 1758: 38 (TL: Gulf of Bothnia, N Baltic). Phoca vitulina largh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28; Won, 1958: 436<쇠물범 >[misprint = Phoca vi ulina largeas]. 일반명(common name). Spotted Seal. 분포. 동 태평양, 인도 서부 태평양, 아시아 남부, 북아메리카. 참고. Ohdachi 등은 북태평양 고유종(Endemic to the North Pacific)으로 기재하고 있다 (Ohdachi et al., 2009). 남한의 정부 부처에서는 현재까지도 2개의 국명이 동시에 사용 되고 있는 종으로 환경부에서는 ‘잔점박이물범’, 해양수산부에서는 ‘점박이물범’으로 명명하고 있다. 북한에서도 ‘점박이물범’으로 기록하고 있으나(Kim et al., 2015a), P. v. stejnegeri와의 구분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도 국명은 ‘잔점박이물범’으로 기재하였다. 123. Phoca vitulina stejnegeri J. A. Allen, 1902 점박이물범 Phoca vitulina Linnaeus, 1758: 38 (TL: Gulf of Bothnia, N Baltic); Won, 1968: 336 <잔점무늬 넝에(해표, 물범)>; Yoon et al., 2004: 192 <점박이물범>;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80; Kim et al., 2015a: 183 <물범(해표)>. Halicyon richardii Gray, 1864: 28 (TL: Vancouver Is., British Columbia). Phoca stejnegeri Allen, 1902: 485 (TL: Bering Is., E Siberia). Phoca vitulina largh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28. 125 Phoca vitulina stejnegeri: Yoon, 2004: 192<점박이물범>;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80; Taxonomy, 2011; IUCN, 2017; Roskov et al., 2017. Phoca vitulina richardii: Taxonomy, 2017. 일반명(common name). Harbor Seal. 분포. 서 태평양. 참고. SMM에서는 2011년까지 Western Pacific harbor seal을 P. v. stejnegeri으로 Pacific harbor seal을 P. v. richardii으로 구분하고 있었다. 이후 입장을 바꿔 북태평양 내의 다양한 harbor seal 개체군이 아종으로서의 특성이 평가될 때 까지는 한 개의 아종 P. v. richardii만 인정하겠다고 공표하였다(Taxonomy, 2017). 하지만, Pacific harbor seal에 대해 한반도 동해 북부, 일본 연안 및 캄차카 반도 연안에 분포하는 개체군을 Yoon 등과 Ohdachi 등, 그리고 IUCN의 평가서에서는 P. v. stejnegeri J. A. Allen, 1902으로 기재하고 있다(Yoon et al., 2004; Ohdachi et al., 2009; IUCN, 2017). 본 연구에서도 이 아 종의 위치를 개체군 정도로 낮출 수 있는 추가적인 분류학적 연구를 확인하지 못했 으므로 과거의 보수적 분류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Genus Pusa Scopoli, 1771 고리무늬물범속 124. Pusa hispida ochotensis (Pallas, 1811) 고리무늬물범 Phoca ochotensis Pallas, 1811: 117 (TL: N Okhotsk Sea, E Siberia). Phoca hispida Schreber, 1775: pl. 86 (text, 1776: 312) (TL: Coast of Greenland and Labador). Phoca hispida ochot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329; Woon, 1967: 92 <물범>; Yoon et al., 2004: 196 <고리무늬물범>. Pusa hispida: Won, 1968: 339 <고리무늬넝에>; Yoon et al., 2004: 195 <고리무늬물범>; 126 Ohdachi et al., 2009: 286; Kim et al., 2015a: 185 <고리무늬물범>. Pusa hispida ochotensis: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87; IUCN, 2017; Taxonomy,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Okhotsk Ringed Seal. 분포. 북서 태평양. 참고. Ohdachi 등 및 IUCN 평가서와 SMM에서는 일본에서 러시아 근해에 걸쳐 서 식하는 종을 Pusa h. ochotensis로 기록하고 있다(Ohdachi et al., 2009; IUCN, 2017; Taxonomy, 2017). 이는 과거 국내 기록과도 일치하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반영하 여 정리하였다. Family Mustelidae Fischer, 1817 족제비과 Subfamily Lutrinae Bonaparte, 1838 수달아과 Genus Lutra Brisson, 1762 수달속 125. Lutra lutra chinensis Gray, 1837 수달 Lutra chinensis Gray, 1837: 580 (TL: Probably neighbourhood of Canton, S China). Mustela lutra Linnaeus, 1758: 45 (TL: Upsala, Sweden). Lutra vulgaris amurensis Dybowski, 1922: 343 (TL: Amur, Ussuri regions) (nom.nud.). Lutra lutra lutr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76; Woon, 1967: 98 <수달>; Won, 1968: 303 <수달(수달피, 수피)>; Kim et al., 2015a: 168 <수달(수달피, 수피)>. Lutra lutra: Won, 1958: 437<수달>; Yoon et al., 2004: 182 <수달>; Wilson and Reeder, 2005a; Ohdachi et al., 2009: 262; IUCN, 2017; Roskov et al., 2017. Lutra lutra amurensis: Koh et al., 2004: 231. 127 일반명(common name). Eurasian Otter, Common Otter, Nutria(Spanish). 분포. 아시아 남부. 참고. Catalogue of Life에서는 11개의 아종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IUCN에서는 Pocock 이 기술한 7개의 지역별 아종으로 기재하고 있다(IUCN, 2017; Roskov, 2017). 기존에 한반도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L. l. lutra는 유럽과 북아프리카의 아종으로 알려져 있 다. 또한, Koh 등은 남한과 유럽의 수달 mtDNA를 비교한 결과 유전적 거리(TamuraNei distance)가 0.96%~1.16%임을 확인하며 남한의 수달은 유럽 수달 L. l. lutra가 아 님을 밝혀내었다. 이에 따라 Koh 등은 남한의 수달을 the far-eastern Asian common otter인 L. l. amurensis Dybowski, 1922일 것으로 제안하였다(Koh et al., 2004). 하지만, L. l. amurensis Dybowski, 1922는 무효명(nomen nudem)으로 사용하지 않는 학명이며, L. l. lutra의 동물이명으로 정리된 학명이다. 현재 아시아 지역의 수달은 2개 아종인 L. l. barang F. Cuvier, 1823 (in southeast Asia (Thailand, Indonesia and Malaysia))와 L. l. chinensis Gray, 1837 (in southern China and Taiwan)으로 정리되어 있다(IUCN, 2017). 이 에 따라 Koh 등의 연구를 반영한다면, 한반도 아종은 이 두 아종 중에 하나일 가능 성이 있다. Lau 등의 연구에서는 일본, 대만, 한반도 수달간의 형태적 비교를 통해 세 지역의 수달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고, 한반도 서식 종이 아무르와 중국 북동부의 종과 더 가까운 결과를 확인하였다(Lau et al., 2017). 본 연구에서는 이 Lau 등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L. l. chinensis로 정리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스페 인 일반명(Spanish)인 ‘Nutria(뉴트리아)’는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Myocaster coypu를 지 칭할 때 사용하고 있으므로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Myocaster coypu에 ‘Nutria’라 는 명칭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단된다. Subfamily Mustelinae Fischer, 1817 족제비아과 128 Genus Martes Pinel, 1792 담비속 126. Martes flavigula aterrima (Pallas, 1811) 담비 Viverra aterrima Pallas, 1811: 81 (TL: Between the Uth and Amur River, E Siberia). Mustela flavigula Boddaert, 1785: 88. Charronia flavigula koreana Mori, 1922: 610 (TL: Kwang-Nung, near Seoul, Korea). Martes flavigula aterrim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50;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Charronia flavigula aterrima: Won, 1958: 437<대륙목도리담비>[misprint = Charror a flavigula aterrina]; Woon, 1967: 104<대륙목도리담비>. Martes flavigula: Yoon et al., 2004: 178 <담비(대륙목도리담비)>; IUCN, 2017. Lamprogale lasiotis (Temminck, 1892): Abramov et al., 2007: 85.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Yellow-throated Marten. 분포. 아시아 서부, 아시아 동부. 참고. 이 종에 대해 국제적으로는 지역별로 10개의 아종이 연구되고 있으며, M. f. aterrima 또한 아시아 아종으로 인정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를 따랐다. 추 후 아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가 필요한 종으로, 일부 연구자들은 Rozhnov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Yellow-throated Marten을 Lamprogale lasiotis (Temminck, 1892)로 기재 하기도 하므로(Abramov et al., 2007) 분류학적 연구가 시급한 종으로 판단된다. 127. Martes flavigula borealis (Radde, 1862) 노란목도리담비 Mustela (Martes) flavigula borealis Radde, 1862: 19, 24 (TL: Mountains of Bureinsk, Siberia). Charronia flavigula koreana Mori, 1922: 610 (TL: Kwang-Nung, near Seoul, Korea); Won, 1958: 437<목도리담비>; Woon, 1967: 106 <노란목도리담비>. 129 Martes flavigula aterrim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50. Martes flavigula koreana: Won, 1968: 295 <산달(담부, 담비)>; Yoon et al., 2004: 179 <노란 목도리담비>; Kim et al., 2015a: 165 <산달(담부, 담비)>. Martes flavigula borealis: 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Amur Yellow-throated Marten. 분포. 한반도, 아무르, 만주, 프리모르스키 지방. 참고. 본 종은 M. f. aterrima의 동물이명으로 기록하기도 하나 MSW3와 Catalogue of Life에서는 아직까지 두 아종을 구분하여 다루고 있으며, 두 아종의 분류학적 관계 를 확인한 연구가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과거 국내 기록을 반영하여 별개 의 아종으로 기록하였으나 추후 연구에 의해 동물이명으로 정리될 수도 있는 종이 다. 128. Martes melampus coreensis Kuroda and Mori, 1923 산달 Martes melampus coreensis Kuroda and Mori, 1923: 27 (TL: Tenan, S Chusei district, Kore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47; Won, 1958: 437<산달>; Woon, 1967: 108 < 산달>; Won, 1968: 297 <누른돈>;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66 < 누른돈>; Roskov et al., 2017. Mustela melampus Wagner, 1840: 229 (TL: Japan). Martes melampus: Yoon et al., 2004: 174<산달>; Ohdachi et al., 2009: 258;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Korean Marten. 분포. 한반도. 참고. M. melampus는 일본 고유종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국내 기록종인 M. m. 130 coreensis는 한국특산종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Won, 1968; Kim et al., 2015a) 한반도 서식종에 대한 분류학적 재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아종명이 유효하므로 보수적 견해로 기존의 문헌을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129. Martes zibellina kamtschadalica (Birula, 1918) 검은담비 Mustela zibellina kamtschadalica Birula, 1918: 82 (TL: Kamtchatka). Mustela zibellina Linnaeus, 1758: 46 (TL: Surroundings of Tobolsk, Tomsk Govt., Siberia). Martes melampus coreensis Kuroda and Mori, 1923: 27 (TL: Korea). Martes zibellina coreensis Kishida, 1927: 130 (TL: Korea). (Without complete diagnosis) Martes zibellina hamgyenensis Kishida, 1927: 509 (TL: N Kore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49; Won, 1958: 437<잘>; Woon, 1967: 111<검은담비(잘)>; Won, 1968: 291< 검은돈(흑쵸, 자알)>; Yoon et al., 2004: 176<검은담비(잘)>; Kim et al., 2015a: 164 < 검은돈(흑쵸, 자알)>. Martes zibellina kamtschadalic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48; Wilson and Reeder, 2005a; Monakhov, 2011: 77; Roskov et al., 2017. Martes zibellina: Ohdachi et al., 2009: 260;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Korean Sable. 분포. 한반도(북한). 참고. 이 종은 현재 Wozencraft가 MSW3에서 정리한 17개의 아종을 기초로 연구되 고 있으며(Monakhov, 2011), Won은 국내 서식종을 특산 아종으로 기재하였다(Won, 1968). 북한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남한에선 관찰된 기록이 없으므로 향후 북한 서식 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을 반영하여 정 리하였다. 131 Genus Meles Brisson, 1762 오소리속 130. Meles leucurus amurensis Schrenck, 1859 오소리 Meles taxus amurensis Schrenck, 1859: 17 (TL: Amur region, not far from mouth of Ussuri River). Ursus meles Linnaeus, 1758: 48 (TL: Upsala, Sweden). Taxidea leucurus Hodgson, 1847: 763 (TL: Lhasa, Tibet). Meles melanogenys J. Allen, 1913: 433 (TL: Musan, N Korea). Meles meles leucuru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72. Meles meles melanogeny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73; Won, 1958: 437<오수리>; Woon, 1967: 103<오소리>. Meles meles amur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72; Won, 1968: 299 <오소리>; Kim et al., 2015a: 167 <오소리>. Meles meles: Yoon et al., 2004: 180<오소리>. Meles leucurus amurensis: Wilson and Reeder, 2005a; Abramov and Puzachenko, 2013: 49; Roskov et al., 2017. Meles leucurus: IUCN, 2017. 일반명(common name). Asian Badger. 분포. 한반도, 우수리, 프리모르스키, 대싱안링(Greater Khingan). 참고. Abramov과 Puzachenko에 의해 유럽 오소리와 아시아 오소리의 분류적 위치가 확인되었으며, 아시아 오소리는 M. leucurus 그룹으로 분리되었다(Abramov and Puzachenko,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도 이 결과를 따라 정리하였다. Genus Mustela Linnaeus, 1758 족제비속 132 131. Mustela nivalis mosanensis Mori, 1927 무산쇠족제비 Mustela nivalis mosanensis Mori, 1927: 28 (TL: Yengan, near Mosan, Korea). Mustela nivalis Linnaeus, 1766: 69 (TL: Province of Vesterbottern, Sweden); Yoon et al., 2004: 169<무산쇠족제비>; Ohdachi et al., 2009: 252; IUCN, 2017. Putorius (Arctogale) pygmaeus J. Allen, 1903: 176 (TL: Gichiga, west coast of Okhotsk Sea, E Siberia). Mustela rixosa pygmaea: G. Allen, 1938: 383. Mustela nivalis pygmae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58. Mustela nivalis mosanens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58; Won, 1958: 438<무산쇠 족제비>[misprint = Mnstela]; Woon, 1967: 113 <무산쇠족제비(쇠흰족제비)>; Won, 1968: 283 <흰족제비(쥐먹는쥐-양강도)>; Abramov and Baryshnikov, 2000: 396;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60<흰족제비(쥐먹는 쥐)>;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Least Weasel. 분포. 한반도. 참고. Abramov와 Baryshnikov는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인접지역인 몽골의 집단과 몸체의 크기가 다름을 근거로 한반도 서식종을 아종으로 정리하였다(Abramov and Baryshnikov, 2000). 하지만, remark에 앞으로 한반도 서식종의 표본을 충분히 확인하 지 못할 경우엔 아종으로써의 분류적 지위를 인정할 수 없다고 기술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Abramov와 Baryshnikov이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국내 종에 대한 추가적 인 분류학적 결과가 제시될 때까지 보수적 견해로 기존 학명을 반영하여 정리하였 다. 133 132. Mustela eversmanii Lesson, 1827 검은다리족제비 Mustela eversmanni Lesson, 1827: 144 (TL: Between Orenburg and Bokhara, Russian Turkestan). Mustela putorius eversmanni: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65. Mustela eversmanii: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62<검은다리족제비>; IUCN, 2017;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Steppe Polecat. 분포. 유럽 중부와 서부, 중앙 아시아, 중국 북부와 서부. 참고. 북한 평양시에서 1996년 2월에 처음 채집되어 보고된 것으로 Kim 등이 기재 하였다(Kim et al., 2015a). 전 세계적으로 M. eversmanii에 7개의 아종이 기재되어 있으 므로, 추가적으로 아종에 대한 분류학적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Kim 등의 기재를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133. Mustela sibirica coreanus (Domaniewski, 1926) 족제비 Kolonocus sibiricus coreanus Domaniewski, 1926: 55 (TL: Seoul, Korea). Mustela sibirica Pallas, 1773: 701 (TL: Vorposten Tigerazkoi, near Ust-Kamenogorsk, Western Altai); Kurada, 1934: 229; Yoon et al., 2004: 172<족제비>; Ohdachi et al., 2009: 250; IUCN, 2017. Kolonocus sibiricus peninsulae Kishida, 1931: 380 (TL: C Korea) (nom. nud.). Mustela sibirica corean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62; Won, 1958: 439<족제비 >[misprint = siberica]; Woon, 1967: 116<족제비>; Won, 1968: 289<남족제비>. Mustela sibirica coreanus: Wilson and Reeder, 2005a; Koh et al., 2012a: 113; Roskov et al., 2017. 134 일반명(common name). Siberian Weasel. 분포. 한반도(남한). 참고. 현재 12개의 아종이 기록되고 있다. 북한은 과거엔 국명 ‘남족제비(Won, 1968)’로 기록하였으나, Kim 등은 이 이름을 삭제하고 ‘족제비 M. s. manchurica’ 를 기재하였다(Kim et al., 2015a). Koh 등은 남한의 내륙 족제비 M. s. coreana와 제주 족 제비 M. s. quelpartis의 mtDNA의 평균 유전적 거리가 0.26% 임을 확인했다(Koh et al., 2012a). 이후 Abramov 등이 Mustela sibirica 의 두개골 표본 555개를 통계분석한 결 과, 과거 한반도에서 일반적으로 M. s. coreanus로 기록되던 종은 M. s. manchurica와 매우 가까운 것으로 보고하였다(Abramov et al., 2018). 하지만, 분석에 사용된 한반도 표본은 북한(6개체)와 제주(2개체)의 표본으로 남한 서식종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남한표본을 포함한 추가적인 연구결과가 있기 전까지 보수적 입장으로 기존 문헌과 Koh 등의 연구결과를 따라 M. s. coreana로 정리하였다. 134. Mustela sibirica manchurica Brass, 1911 대륙족제비 Mustela manchurica Brass, 1911 Brass, 1911: 490 (TL: Manchuria). Kolonocus sibiricus katsurai Kishida, 1931: 380 (TL: N Korea) (nom. nud.). Mustela sibirica manchurica: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62; Won, 1958: 439<대륙 족제비>[misprint = siber ca]; Woon, 1967: 114<대륙족제비>; Won, 1968: 285<북족 제비(황모)>; Wilson and Reeder, 2005a; Kim et al., 2015a: 161<족제비(황모)>; Roskov et al., 2017; Abramov et al., 2018: 1. 일반명(common name). Manchurian Weasel, Far Eastern Weasel. 분포. 한반도(북한), 러시아, 중국 북동. 참고. 남한에서는 관찰된 기록이 없으나 북한에서는 기록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 135 서도 이를 반영하였다. 남한의 M. s.coreanus와 북한의 M. s. manchurica에 대한 분류 학적 비교가 필요하다. Abramov 등이 Mustela sibirica의 두개골 표본 555개를 통계분 석한 결과, 과거 한반도에서 일반적으로 M. s. coreanus로 기록되던 종은 M. s. manchurica와 매우 가까운 것으로 보고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이 연구를 반영하 여 정리하였다(Abramov et al., 2018). 135. Mustela sibirica quelpartis (Thomas, 1908) 제주족제비 Lutreola quelpartis Thomas, 1908: 53 (TL: Quelpartis Is., Korea). Mustela sibirica quelpartis: 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261; Won, 1958: 439<제주족 제비>[misprint = siberica]; Woon, 1967: 121<제주족제비>; Won, 1968: 290<제주족 제비>; Wilson and Reeder, 2005a; Koh et al., 2012a: 113; Roskov et al., 2017. 일반명(common name). Quelpart Weasel, Jeju Weasel. 분포. 한반도(제주). 참고. Koh 등은 M. s. coreana와 M. s. quelpartis의 mtDNA 평균 유전적 거리 비교를 통해 아종으로 제안하였다(Koh et al., 2012a). 하지만, 두 아종 간의 mtDNA 평균 유 전적 거리는 0.26 % (범위, 0.00 ~ 0.53 %)밖에 안되고, cytochrome b sequencing 결과 역 시 아종으로서의 분류학적 지위를 확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Abramov 등의 연구결과에서는 버마(Burma)가 속해있는 western G2a cluster인 M. s. sibirica에 더 가까운것으로 나타났으나, 너무 적은 샘플사이즈로 인해 결론은 보류하였다 (Abramov et al., 2018). 이에 향후 추가적으로 형태적 특징과 다른 DNA 마커를 이용 한 연구결과를 확인하기 전까지 M. s. quelpartis는 M. s. sibirica의 동물이명(synonym) 일 가능성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분류학적으로 보수적인 견해를 반영하여 기존 문헌을 따라 아종으로 정리하였다. 136 3.2. 포유류 조사방법의 정리와 고찰 3.2.1. 전국단위의 포유류 조사방법 (1) 중국 산림 생물 다양성 모니터링 네트워크 (CForBio, Chinese Forest Biodiversity monitoring network) 중국 산림 생물 다양성 모니터링 네트워크 (CForBio)는 성(省) 단위로 지역적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진다. 중국과학원 생물다양성위원회와 중국식물학회, 중국과학 원식물/동물/미생물연구소가 주관하여 각 성마다 연구대상과 보호종 등 및 연구방법 을 정한다. 연구 보고는 관련 기관에서 공동 논문과 저널 형식으로 발표되며 온라 인에 게재한다. 그 중 최근 국가기관인 중국교통운수부과학연구소가 주체가 되고 대학과 중국과학원 등의 연구소들이 사전에 중국의 지리특성과 효율적인 동물 생태 조사를 위한 공동 연구 및 지침으로 카메라트래핑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지난 20년간 적외선카메라를 활용한 트랩을 야생동물 연구 시 생 물의 다양성과 보존에 널리 사용해왔다. 이 적외선 카메라 트랩을 기초로 하여 중 국에서의 보호지역 관리 등의 영역에서 과학적 연구와 보존 응용 연구가 진행되면 서 야생동물 생태연구, 동물 표본 보관, 생물 다양성 모니터링 부분에서 상당한 결 과를 창출했다. 이 방법은 희귀한 종들의 성공적인 탐지, 다양성 보관연구, 동물행 동분석, 동물의 개체수, 보호구역 관리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빠르게 발전 하는 생태분석과 모델 방법의 발달과 함께 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한 트랩은 야생동 물 연구에 다방면으로 중요한 역할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야생동물 연구 분야에서 적외선 카메라 트래핑 또는 카메라트래핑은 적외선 또는 열감지기를 사용 한다. 적외선 감지기는 수동형과 능동형 두 가지가 있다. 수동형은 나무에 카메라를 설치 한 후 카메라 시야 범위에 포착되는 동물을 관찰한다. 능동형은 동작센서와 카메라를 설치하여 나무 사이에 설치된 동작센서에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카메 137 라로 포착해 관찰하는 것이다. 적외선 카메라는 중국 내 야생동물 연구와 보호에 넓게 활용되고 2010년 이후 기술 개선에 따른 연구성과는 2013년부터 빠르게 나타 나고 있다. 중국은 카메라 트래핑 방법으로 동물행동연구, 생물다양성관측과 보호관 리, 보호지관리, 곰과 동물 전항 조사와 연구, 야생동물 경로 관측과 교통영향 연구 에 사용한다 (http://www.biodiversity-science.net/) (Zhishu et al., 2014). (2) 일본 생물다양성 센터의 자연환경보전 기초조사 일본의 환경성 자연환경국 소속의 일본 생물다양성 센터(Biodiversity Center of Japan, http://www.biodic.go.jp) 에서는 ‘자연환경보전 기초조사’와 ‘모니터링 사이트 1000’, ‘기타 조사’ 등으로 구분하여 생태계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그 중 포유류 분 야는 자연환경 보전 기초 조사에서만 수행한다. 자연환경 보전 기초 조사는 종다양 성 조사로 1978년부터 현재까지 포유류 분포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1978년부터 1981년까지 2차 조사가 수행되었으며, 5차 조사로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생물다양 성 조사를 위한 종 다양성 조사 제 1기로 분포조사가 이루어졌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수행된 4차 조사 이전까지는 관계기관 직원과 수렵인, 학회에서 추천한 전문연구자 등 수만 명에 의해 탐문조사 및 과거 기록, 표본 조사 를 수행하였다. 5차 조사인 1996년부터 47개의 도도부현(일본행정구역 단위)에 위탁 하여 포유류 분포정보를 수집하는 형식으로 관리하였다. 6차 조사는 2차 조사자료와 의 비교를 위해 중대형포유류 8종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각 도도부현의 조 수보호위원, 산림관계직원 등이 수렵에 대한 청취조사를 실시했다(Environment, 2016c). (3) 한국 환경부의 전국자연환경조사 138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전국을 1:25,000 지형도로 구분한 도엽을 제시하 여 전국규모의 자연환경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한다. 총 10개 분류군을 조사하며, 이 중에서 포유류는 1개 도엽을 9등분한 격자단위로 조사하여 결과물을 제출한다(NIER, 2012). 조사 대상은 가축을 제외한 모든 야생 포유류이며, 1개 도엽 당 5~7일의 조사일수가 주어진다. 다만, 포획트랩을 이용해야 하는 소형 포유류와 박쥐류는 선택조사 항목으로 조사자의 판단에 따라 실시한다. 2019년부터 포유류 서 식 확인을 보완하기 위한 무인센서카메라 조사 방법이 추가되었으나, 종의 출현 유 무를 확인하는 것이 주 목적으로 사용된다. 포유류 야외 조사방법은 가장 기초적인 것만 제시하고 있으며, 주로 조사자의 역량에 맡기고 있다. 자연환경 모니터링의 포 유동물 분야는 대부분 서식흔적을 위주로 조사한 결과이며, 결과물의 대부분은 해 당지역에서 종의 서식 유무만이 기록되어 있다. 법정 보호종에 대해서는 도면 위에 흔적이 확인된 위치를 GPS 좌표 포인트로 표시한 것이 대부분이다(국립공원관리공 단, 2006;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 영산강 and 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2013). 3.2.2. 프로토콜에 따른 포유류 조사방법 (1) 호주 육상 생태계 연구 네트워크 (TERN, Terrestrial Ecosystem Research Network) 호주는 육상 생태계 연구 네트워크(TERN)라는 조사기관을 통해 환경 보호를 위한 장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http://www.tern.org.au/, accessed on 2. Dec. 2016). 이 조사를 통해 생태계 환경 데이터와 육상 생물의 다양성에 지표가 될 수 있는 데 이터를 동시에 수집한다. TERN은 국가기관과 민간단체 등이 협력하여 장기 조사를 수행함에 있어 명확한 지침을 제시하고, 정기적인 세미나와 교육을 통해 신뢰도를 유지하고 있다. TERN에서 제공하는 여러 지침 중에서 포유류와 관련된 척추동물상 조사 철자 메뉴얼의 내용을 정리하였다(Neill et al., 2015). 139 - 호주의 척추동물상 조사 절차에 대한 매뉴얼 (AusPlot Rangelands Vertebrate Fauna Survey Protocols Manual) 국가기관에서는 조사 목표를 세우고 대상 동물군의 생태계와 조사 방법을 정 립하여 동물 조사의 범위와 필요한 정보 유형을 제시한다. 모니터링 후에는 조사기 관에서 수집한 자료를 통합하여 비교, 분석한다. 지역 관할 기관에서는 먼저 문헌 검토를 통해 조사대상 표준그룹과 대조그룹을 만들고 수행 가능한 모니터링 방법을 세운다. 이때는 동물윤리 등 관련 법의 허용범위에 유의하여 프로토콜과 지침을 만 든다. 현장 모니터링 수행 그룹은 작업 구성원들에게 구체적인 조사방법을 배포하 여 균일하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지침서에는 조사구역의 강도가 제시 되는데 조사필요성과 조사강도에 따라 조사구역에 설치하는 트랩 종류와 각 트랩의 숫자, 간격, 조사기간까지 제시된다. 또한 이 지침서에는 표본 채집 방법과 함께 촬 영, 측정 지점과 방법, 수집한 자료와 함께 표본 조직과 개체는 박물관에 연구자료 로 기증하는 것까지 언급하고 있으며, 앞에 설명한 조사지역의 조사방법, 트래핑 위 치뿐 아니라 조사시간에 따른 행동에도 기준을 제시한다. 공간과 시간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함으로써 조사가 전 지역에 걸쳐 일정한 방향과 방법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지침서에는 동물 윤리법을 준수하여 포획된 동물의 방생 방법 및 조 직샘플과 표본을 연구목적으로 기증받을 기관까지 명확히 규정한다. 수집 자료는 식물군, 동물군 모니터링 팀과 이를 관리하는 팀으로 나뉘며 비전문가인 민간 조사 자는 지역을 분담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한다. TERN에서는 이러한 협력적 조사 를 통해 서식지 역학과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고 환경변화와 생태계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와 기준을 제시한다. 호주의 동물 모니터링 매뉴얼은 매우 자세하게 제공되며 모든 구역에서의 통일된 유효한 자료를 얻기 위해 수치를 통해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TERN, 2018). 140 (2) 영국 환경 변화 네트워크 (UK ECN, UK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영국은 과거 심각한 대기오염에 의한 피해를 겪은 경험이 있다. 때문에 영국 에서의 조사는 과거 경험을 토대로 환경변화와 대기, 수질, 토양 조사에 중심을 두 고 생태계를 관찰하는 것으로 호주에서 생물 다양성을 중심으로 생태계를 관찰하는 것과 대조된다. 영국의 대표적 조사기관으로는 영국 환경 변화 네트워크 (UK ECN) 이 있다. 이 ECN에서는 환경변화와 오염에 따른 생태 서식지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1차 목적이며, 더 나아가 과학적으로 충분히 입증할 수 있는 데이터와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영국의 지방 조사는 스코틀랜드, 웨일즈, 영국 전역에 가로세로 1 km로 지정된 조사 구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로 진행된다. 이 조사 구역은 자연 이외의 고의적 영향을 피하도록 외부에 기밀로 유지된다. 각 각의 조사 구역은 영국의 주요 서식지 유형을 대표하도록 산, 초원, 관목지역, 광대 역 혼합림 등의 분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선정하며, 지정된 구역은 신뢰도와 대표성을 유지하도록 사전에 충분한 연구를 거친다. 영국의 조사방법에서는 특별히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밀한 위치에서의 조사가 가능하며, 생태계 자료를 토양과 담수 샘플링을 포함하여 식생조사까지 함께 수행한다. ECN은 특정 소수 종 을 지표생물로 하여 조사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공개하여 협조 단체에 서 균일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동물군에서는 포유류(토끼, 사슴, 박쥐), 곤충(나비목), 조류를 주요 조사 대상으로 하여 매뉴얼을 제시한다. - 토끼와 사슴 모니터링 프로토콜(Coulson, 2001) 포유류에 대한 조사는 식물 다양성에 영향을 많이 받고, 영국에서 가장 흔한 야생 초식동물인 토끼와 사슴 개체수의 광범위한 변화를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토끼와 사슴의 변화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이상적인 조사는 개체군 크기를 141 측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조사는 배설물 흔적조사(dropping counts)를 통한 지수 방법(Figure 3.1)을 사용하여 상대적 존재량을 추정하며, 추정되는 개체군 크기의 증 감과 회복을 통해 생태계 변화를 감지한다. Figure 3.1. The UK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Protocols for Standard Measurements at Terrestrial Sites (Coulson, 2001). 포유류 조사는 일반적으로 다른 동물군과 같은 1 km 길이로 구획되지만 필요 할 경우 2 km 정도 조사지역을 연장한다. 조사는 주요 서식지가 위치하는 장소에서 진행하며 나비 모니터링 공간과 겹치지 않도록 한다. 3월 말과 9월 말, 토끼의 상대 빈도수를 기록하기로 지정된 장소에서 배설물 수를 측정한다. 첫 번째 조사에서의 제로 계수는 이후 측정되는 수치와 비교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식별 가능한 서식지 유형별 또는 동일한 장소 내 구분된 서식지, 확장된 서식지 등 최대 15 구 142 역으로 나눠서 각 서식지 유형별 특성 또한 기록한다. 두 번째 역시 세분화하여 같 은 방식으로 기록하는데, 모든 배설물은 조사범위 1 m 내에서 기록이 이뤄지며, 측 정하기 2주 전에는 조사범위의 구역을 깨끗이 한다. 두 번째 측정 시에는 조사범위 내 구역에 생성된 배설물의 수를 기록하며, 각 조사범위 내 구역마다 별도로 기록 한다. 조사자는 배설물이 조사구역을 지나가는 양의 것인지 토끼나 사슴의 것이지 확실히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조사보고서에는 조사지역의 토끼와 사슴 통제집단 혹은 사냥 등의 정보와 전염병 발발에 관한 정보 데이터가 함께 기술되어야 한다 (ECN, 2016). (3) 미국 국립생태관찰네트워크 (NEON,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s National Ecological Observatory Network) 미국의 국립생태관찰네트워크(NEON)은 시간 경과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조 사하기 위한 대륙규모의 관측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소형 포유류에 대한 표 준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있다. 소형 포유류 연구는 생태학 발전과 역사, 특히 동물 행동, 개체, 군집 생태 등의 세분화된 학문부터 질병 확산의 역학에 걸쳐 중요한 역 할을 하기 때문이다. 소형 포유류는 보통 세 가지의 생포형 트랩을 사용하여 포획 한다. 박스형 트랩 (Sherman trap, Longworth trap, Elliott trap)은 지면이나 나무에 설치 하고 미끼를 쓰는 것이다. 우리형 트랩 (Tomahawk, Havahart trap)은 박스형 트랩처럼 설치된다. 함정 트랩은 땅 속에 버킷을 묻는 방식이지만 미끼를 설치하진 않는다. 각각의 방식은 소형 포유류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사용되며, 특정 종을 포획하는 데 있어 어느 한 방식이 절대적으로 적합하다는 결론은 없다. NEON에서는 소형 포 유류를 포획하기 위해서 박스형 트랩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이 박스형 트랩 중에 서 Sherman trap 방법은 미국의 포유동물학 연구의 주요 방식으로 수십 년간 자리매 김하였다. Longworth trap 방법(Penlon Ltd., Oxford, U.K.)이 Sherman trap 방법과 다른 143 점은 기온이 낮은 조건에서 단열 기능이 장착된 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형 트랩은 자체의 외관 특성상 비교적 크기가 큰 육식 포유류를 포획하는 데 유리하다. 반면, 함정 트랩은 재빠르고 매우 작은 크기라는 특징으로 박스형 트랩으로 포획하 는 데 부적합한 뾰족뒤쥐 (Sorex shinto Thomas, 1905)를 포획하는 데 사용되는 방식이 다. 함정 트랩은 20 g 이하의 동물들을 포획하는데 있어 박스형 트랩보다 유용하다 (Francl et al., 2002). 박스형 트랩은 특히 흰발생쥐 (Peromyscus leucopus (Rafinesque, 1818))를 포획하는 데 효과적이다. NEON에서는 박스형 트랩을 변형하여 다양한 방 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NEON의 포유류 연구는 Mark-Recapture 설계(표시법)를 이용 하며, 조사 지침서에는 가격과 조사도구, 조사 방법 등이 매우 자세히 기술된다 (Thibault, 2016). 조사에서 수집한 표본과 견본의 분석 및 기록의 보관은 지침서에 제시된 바우처 표본방식으로 보존된다. 바우처 표본 방식은 태그와 재포획 방법으 로 데이터를 보완하는 것으로 매 5년마다 각 종마다 최소 5개의 표식을 목표로 각 영역에서 서식하는 모든 종들의 표식 표본을 수집한다. 이상적으로는 이 표본들이 피부조직, 뼈대, 냉동된 세포조직(가령, 간, 심장)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이 표 본들은 어떤 한 종의 분석 연구 동안 오랜 기간에 걸쳐 참고자료 혹은 과학적 발전 에 따른 분류학의 변화가 연구에 어떤 식으로 반영되는지를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NEON의 지침서가 다른 나라와 크게 구별되는 것이 바로 구체적인 비용을 근거로 경제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 지침서는 포유류의 DNA정보 조사를 위한 조직 처리방법도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비용 산정에는 유리병과 보관비용(냉동기기), 에탄올로 한정함으로써 모든 조사자의 준비와 경제적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이 조 직 보관 방법은 개당 처리 소요 시간이 1분 정도로 시간소비가 크다. 따라서 지침 서는 샘플을 사용하되 시간제약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체당 한가지만 사용하도록 권 장한다. NEON은 포유류의 기생충, 배설물, 털, 발톱도 수집하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144 조직을 포함한 포유류 흔적의 동위원소 조사는 외부 협력기관에서 시행하도록 한다 (NEON, 2017). (4) 미국 지질조사국의 북미 박쥐 감시 프로그램 (USGS NABat project, U.S. Geological Survey North American Bat Monitoring Program) 미국 지질조사국에서는 북미 박쥐 연구만을 따로 조사하는 프로그램 (NABat, North American Bat Monitoring Program)이 있다. NABat은 포트콜린스 과학센터(FORT COLLINS SCIENCE CENTER, www.fort.usgs.gov) 에서 진행중인 국제적인 프로그램이 다. 이 프로그램은 박쥐의 분포와 생태변화를 조사하는데 4가지 방법을 제시하여 미국 연방 및 주정부와 민간단체의 협력으로 진행한다. 북미 박쥐 모니터링 프로그 램의 목표는 박쥐 개체수의 변화에 관해서 현지 및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유효한 추론을 지원한다. 그리고, WNS, 기후, 풍력 에너지, 서식지 손실과 같은 갖가지 박 쥐 모니터링 맞춤 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박쥐 개체수 변화 관련 정보가 필요한 관 리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이 효율적으로 정보를 얻고, 개체수 감소를 조기에 탐지하며, 멸종위험에 대한 추측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조사방법으로 겨울철 개체수 확인, 번식지 수 확인, 이동식 음향 측량기기를 이용한 도로변 동적 조사, 지정된 장소에 서의 비동적 음향 측량조사가 있다. NABat은 모니터링 방법, 동정방법, 샘플링 방법, 데이터의 통계적 접근 및 분석법에 대해 명확히 하고 있다(USGS, 2016). (5) 스미소니언 열대연구소 열대산림과학센터 (Centre for Tropical Forest Science, Smithsonian Tropical Research Institute) 스미소니언 열대연구소 열대산림과학센터에서는 카메라 트래핑 프로토콜 (Protocol for Camera Trapping)을 제시하고 있다. 이 센터에서는 카메라 트랩의 배열을 사용하여 야생포유동물을 조사하는데, 표준화된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 예로 145 카메라는 100 ha(1 km2)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의 그리드(grid) 로 나누고, 각 플롯에 1대씩 설치하여 조사를 수행한다. 또한, 카메라간 거리는 140145 m 정도로 한다. 포착된 사진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FORESTGEO CT database 9)에 업로드하고, 개발된 여러 가지 프로그램(EstimateS, PRESENCE2, etc.)으로 분석 한다(Jansen et al., 2014). (6) 미국 포유동물 연구자학회(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미국 포유동물 연구자학회(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에서는 매년 ‘야생 포유동물의 연구와 교육에 사용하기 위한 학회의 지침(Guidelines of th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for the use of wild mammals in research and education)’이라는 지침 서를 발간한다. 이 지침서에는 야생포유동물을 포획하거나, 샘플을 채집할 때 발생 하는 여러 문제에 대해서 표준 절차를 제시한다. 관련 기관에 대한 신청 및 승인절 차, 연구와 조사 중에 야생동물에게 일어날 수 있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야외 조 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나열하여 설명하고 있다. 대동물의 경우와 소동물의 경 우, 산채로 포획하는 경우와 치사 시켜서 포획하는 경우, 해양포유동물의 포획에서 고려해야 하는 점과 담당하고 있는 국가기관을 소개한다. 또한, 각 기관에서 제시하 는 가이드라인도 소개하고, 적정조사 방법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Sikes et al., 2016). (7) 보르네오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보존프로그램 (BBEC, Bornean Biodiversity and Ecosystems Conservation Programme) 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보존프로그램 단계II (BBEC II)에 서는 카메라트래핑에 의한 야생동물조사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146 야생동물을 관찰하는데 있어서, 종의 서식유무에 대한 단순한 조사방법부터 다양한 종을 관찰하는 방법, 공간자기상관에 의한 오차를 줄이는 방법, 지역공동체와 공동 으로 조사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트래핑의 목적에 따라 조사설계를 할 수 있도록 ‘예’ ‘아니오’ 로 결정트리(decision tree)를 제 시하여 사용자가 알맞은 조사방법을 선택하고 습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Ancrenaz et al., 2012). (8) 한국 환경부의 야생동물실태조사 전국 규모의 야생동물실태조사는 1965년부터 농림부와 산림청에서 시작하였 다. 이후 1999년도부터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했으며, 2009년도부터는 국립생물 자원관에서 수행하고 있다. 이 모니터링은 전국 810개소의 고정조사구를 격년으로 조사한다. 현재는 국립생물자원관과 각 유역 환경청 및 지방 환경청에 근무하는 조 사원이 매년 405개소씩 월 1회 조사를 실시한다. 이 조사원들은 포유류와 조류 중 에서 수렵동물(멧돼지, 고라니, 청설모), 환경지표동물(다람쥐, 너구리),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의 서식밀도와 분포를 파악하여 개체군 변동에 대해 추정한다. 또 한, 이들은 들개와 들고양이 서식밀도조사, 고정조사구간에서의 로드킬 발생건을 수 집 및 분석하고 있다(한상훈 et al., 2015). 층화집략추출(Stratified cluster sampling)에 의 한 무작위 추출법(Random sampling)으로 조사구를 선정하고, 산악, 구릉, 농경, 인가, 해안가 및 소택지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한다. 발자국과 배설물로 조사를 실시하고, 처음 관찰된 모든 배설물을 제거하여 다음 조사 시 새로운 배설물을 확인하는 방법 을 이용한다. 그리고, 관찰되는 모든 배설물의 수를 기록하여 Index로 활용한다(국립 환경과학원, 2006). 147 3.2.3. 포유류 조사방법의 정리와 고찰 각 국가별로 사용하는 야생 포유류 조사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 와 같이 그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다(Table 3.2). 각 국가들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목적과 해당 지형에 따라 알맞은 방법을 고안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간단하게 비교하면 Figure 3.2와 같다. Table 3.2.The diversity of mammalian investigation purposes and methods 조사지역 성(省) 중국 단위 지역적 조사 연구대상 연구목적 각 성마다 종 다양성 연구대상과 및 생태계 보호종 지정 변화 조사방법 카메라트래핑 방법 제안 도도부현 일본 단위 지역적 한국 전국조사 육상 포유류 종 다양성 호주 제시 논문과 저널 형식으로 발표 표본조사 및 자연환경 보전 청취조사 기초조사에서만 수행 전국을 육상 포유류 종 다양성 기본 선조사 도엽단위로 스크린 종 다양성 조사구역 연구보고를 공동 포유류 조사는 조사 도엽단위 특징 및 환경 데이터 육상 포유류 장기 모니터링 148 모든 구역에서의 프로토콜 조사 통일된 유효 자료를 얻기 위해 수치를 명확히 설명 조사지역 연구대상 연구목적 조사방법 특징 생태 서식지 영국 1 km x 1 km 로 지정된 지표생물 변화 배설물 지정(포유류: 관찰을 프로토콜 흔적조사(dropping 조사구역 토끼, 사슴, 위한 조사 counts) 지수법 (기밀) 박쥐) 개체수와 사용 개체군 크기 측정 미국(NEON) 대륙규모 조사 소형 포유류 생태 관측 프로토콜 트랩 사용법의 조사 세밀한 설명 모니터링 방법, 개체수의 변화와 미국(USGS) 북미 지역 분포, 박쥐 생태변화 동정방법, 샘플링 프로토콜 방법, 데이터의 조사 통계적 접근 및 분석법 등을 관측 스미소니언 미국(ASM) 열대 우림지역 미국 전역 육상 포유류 육상 포유류 종 다양성 명확하게 제시 종 다양성 카메라트래핑 카메라 트랩의 및 생태 프로토콜 배열과 분석 등을 분석 조사 상세히 제시 육상 및 해양 종 다양성 표준 절차 포유류 전반에 걸친 가이드라인 목적에 맞는 보르네오 보르네오 전역 육상 포유류 종 다양성 카메라트래핑 조사설계를 할 수 프로토콜 있도록 조사 결정트리(decision tree) 제시 149 Figure 3.2. The variety of survey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country. 현재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육상 포유류 조사는 그 수행 목적에 따라 크 게 조사구역의 지정 유무와 조사방법의 지정 유무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 서는 조사 방법에 중점을 두고 정리하고자 한다. 육상 포유류 조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선조사(line survey), 횡단면조사(line transect survey), 포획조사(trap survey), 카메라 트래핑(camera trapping)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선조사, 횡단면조사와 카메라 트래핑은 비침습적(non-invasive) 조사이고 포획 조사는 침습적(invasive)조사이다. 중대형 포유류의 조사에 사용하는 선조사와 횡단 면조사의 경우, 아프리카와 같이 지형이 넓게 펼쳐져 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에서는 주로 차량을 이용한 횡단면조사를 사용한다(Plumptre, 2000; Silveira et al., 2003). 영국 ECN에서 배설물 흔적조사를 할 때에도 이 횡단면조사를 통해 자 료를 수집하도록 지시하고 있다(Figure 3.1). 카메라 트래핑은 최근에 크게 기술이 발 150 전하여 야생 포유류 조사에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이 많이 보급되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침들(Ancrenaz et al., 2012; Jansen et al., 2014)도 개 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현장 기술이 있다고 하더라도 모든 생태계와 모든 포유류 종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자연 환경은 너 무 넓거나 경사가 급하거나 또는 지역이 너무 협소한 이유로 인해 다양한 방법 중 에서 일부만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조사 방법의 선택이 조사 환경의 특성에 효율 적이도록 맞춘 방법이 아니라 조사에 투입되는 비용으로 인해 제한되기도 한다 (Silveira et al., 2003). 한국은 다양한 지형이 좁은 면적으로 연결되며 시야도 좁아 차량을 이용한 횡단면조사는 불가능하여, 대부분 지역이 도보로 이동하며 조사하는 선조사만이 가 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에서는 야생 포유류의 서식을 파악하기 위해서 모든 환 경에 적용이 가능하며, 비용도 가장 적게 요구되는 서식 흔적 조사(field sign)를 많 이 사용한다. 전국자연환경조사와 특정생태계 조사, 국립공원 야생동물 모니터링 조 사 등은 포유류 종 다양성 자료 및 멸종위기종의 분포 유무 등에 대한 자료를 얻고 자 해당 종의 서식흔적을 대상으로 출현 유무를 파악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법정보 호종의 조사연구에서는 간혹 방사하는 개체들에 무선추적기 등을 부착시키고 모니 터링하여 개체군 밀도나 서식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와 연구가 수행된 바 있지 만, 한정된 지역에서 단기간에 조사된 결과가 대부분이다(Choi et al., 2012; 정철운 et al., 2014; 조재운 et al., 2014; 조재운 et al., 2016). 여러 기관에서 수행하는 환경부 전 국자연환경조사는 전문가 그룹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 그룹은 포유류를 전공하는 대학 교수, 학위과정에 있는 학생과 개별 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는 박사, 석사 등의 전문가와 민간 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민간인 전문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그룹에 의해 야생 포유류의 서식흔적을 기록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조사대상은 문헌 151 에 기록된 모든 야생 포유류로써 서식흔적의 종류와 GPS좌표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흔적 조사는 효율적이고 저렴한 비용을 요구한다는 장점 대신 적절한 현장 조건과 조사원의 숙련도에 따라 그 조사 결과가 크게 좌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Burnham et al., 1980; Smallwood and Fitzhugh, 1995). 이와 같은 문제는 각 조사지역마다 개체군의 밀도나 서식분포를 파악하는데 한계를 가져온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격자를 구성하여 조사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격자(quadrats)는 그 안에서도 흔적을 찾아내는 가능성이 다양하다. 때문에 포유류 종 다양성 이외의 서식 분포 또는 개체군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서 과거에 수행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샘플 격자의 적절한 크기와 구성이 선정되어야 한다(Smallwood and Fitzhugh, 1995). 한국에서 격자 조사는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으 며, 사용되는 격자는 포유류의 서식이나 과거 조사결과와 상관없이 임의로 지도상 에 구획되어 있다. 국내에서 포유류 흔적조사로 수집되는 대부분의 조사결과는 조사자가 선조사 를 하여 얻은 서식흔적 지점의 GPS 좌표만을 정보로 축적하고 있다. 이 정보는 해 당 조사 시점의 포유류 종별 서식여부는 알려주지만, 조사지역 또는 조사구간에 대 한 상대적 비교가 매우 어렵다. 또한, 주로 한번 조사한 지역은 재조사하지 않는 문 제점이 있어 해당 종이 실제 서식하며 이동 중에 남긴 흔적인지, 과거에 서식했던 흔적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렇게 축적한 조사결과로는 그 시기의 조사지역에 존재하는 종의 개체군 밀도를 알아내기 어렵고, 다른 지역과도 비교가 어려워 지역간 포유류 서식의 양호 정도를 구분하기도 쉽지 않다. 게다가 조사자의 역량에 의존한 결과물이므로, 조사자에 따라 조사결과의 질적인 차이가 발생할 가 능성이 있다. 위에 언급한 국내 선조사 방법의 여러 문제점들은 현재와 과거 자료의 연속 152 성을 포함하여 상대적 또는 절대적인 비교가 불가능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동물군의 변화 정도를 예측하는 것도 쉽지 않다. 때문에, 해외 다른 국가들이 각 지역과 분야 에 맞는 조사 방법을 개발하였듯이 한국의 실정에 맞는 포유류 야외 조사 방법을 개발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축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과거에는 국내 포유류 야외 조사를 통해 얻고자하는 결과물이 종 다양성이나 실체확인에 머물렀다 면, 앞으로는 한국 지형에 맞는 야외 조사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표준화되고 정량 화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Figure 3.3). 본 연구에서는 도 보 선조사법으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장기모니터링하여 수집한 포유류 서식흔적 좌표를 바탕으로 한국 지형에 알맞은 효율적인 표준 선조사 방법을 개발하여 정량 적 자료 수집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Figure 3.3. Changes in the results of mammalian field surveys in Korea. 153 3.3.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 연구 3.3.1. 반복조사를 통한 조사거리와 포유류 흔적수의 관계 및 멸종위기야생동물 ‘삵’ 배설 지점의 동일성 환경부에서 제공(NIER, 2012)하는 봉당 도엽(도엽번호 357153)에서 야생동물 의 흔적으로 지정된 생태자연도 1등급 중 20개의 격자(0.25 km × 0.25 km, 0.0625 k㎡) 를 조사하였다(Figure 3.4). 생태자연도(Ecological and Natural Map)는 환경부 자연환경 보전법에 따라 운영되어 우리나라 전 국토를 3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관리한다(자연 환경보전법 제2조, 제34조) (Environment, 2016a). 1등급(First grade zone)은 가장 높은 등급으로 보호가 필요한 지역이고, 2등급은 1등급 권역의 외부지역으로 1등급의 보 호를 위해 필요한 지역이며, 3등급은 자연성이 떨어져 개발 또는 이용의 대상이 되 는 지역을 가리킨다. 생태자연도의 등급은 생태계 조사 자료를 근거로 지정하며, 생 태자연도 내의 야생동물 서식을 반영하기 위한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이 마련되어 있고, 포유류의 경우 멸종위기야생동물의 출현 현황이 생태자연도 등급 산정에 이 용된다. 그에 따라 멸종위기야생동물의 서식이 확인된 지역을 격자화 하고 식생보 전등급에 따라 가로세로 0.25 km × 0.25 km의 정사각형 지역을 생태자연도 1등급으로 나타낸다. ‘멸종위기야생생물(endangered wildlife)’은 환경부에서 생태계 보호를 위 해 법으로 지정하는 생물로 1989년 92종을 고시한 이후에 개정을 거듭하여 2017년 267종이 지정되었다(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Environment, 2016b). 이 중에서 포유류는 1급(Class I endangered wildlife)에 사향노루, 수달, 표범 등 12종과 2급(Class II endangered wildlife)으로 삵, 담비, 하늘다람쥐 등 8종이 지정되어 있다. 조사구역인 봉당 도엽은 전남 광양시, 순천시, 경남 구례군에 연결된 계족산 일대의 산림을 포함하고 있다. 20개의 격자는 삵의 배설물 확인지점을 기준으로 2009년에 지정된 지역으로써 능선과 임도, 계곡 등에 산재해 있으나 2~4개 정도의 154 격자가 서로 붙어 있는 특성이 있어, 조사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8개 구간으로 구분 하였다(Figure 3.5). 2015년 6월부터 10월에 걸쳐 도보로 이동하며 선조사법(Line survey)으로 3회 반복 조사를 실시하였다. 3회에 걸쳐 8개 구간, 20개 격자에서 총 길 이 106.1425 km를 조사하여 599개의 야생동물 서식흔적을 확인하였고, 이 중 삵은 232개의 배설물이 확인되었다(Table 3.3). 조사경로의 총 길이와 흔적 확인빈도의 관 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서식흔적은 도보 조사경로가 길수록 서식흔적의 확인빈 도도 많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Figure 3.6). Figure 3.4. Map of survey area and tracks in Gyejoksan Jeonllanamdo, Korea. 155 Figure 3.5. Scat confirmed points of P. bengalensis on the numbers of times. (⊙: 1st, ◬: 2nd, ⊡: 3rd). 156 Table 3.3. Field sign (scat) numbers of P. bengalensis on the survey track and number Track No. 1st survey 2nd survey 3rd survey all survey Track 1 3 2 4 9 Track 2 11 21 33 65 Track 3 1 - 1 2 Track 4 6 10 6 22 Track 5 4 2 3 9 Track 6 14 17 15 46 Track 7 14 11 18 43 Track 8 16 9 11 36 Total 69 72 91 232 A B Figure 3.6. Scatter diagrams of scats confirmed by 3 times (A: all species scats, R2(L)=0.575, p<0.01, B: P. bengalensis scats, R2(L)=0.521, p<0.01). 157 삵의 배설물 지점간의 최근린평균거리 분석을 통해 배설하는 구간의 거리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각 조사에서는 평균 약 200 m 안팎으로 확인되었으나, 3회조사 를 합한 결과에서는 48 m로 매우 짧아짐을 확인하였다(Table 3.4). Table 3.4. A distance between field sign (scat) numbers of P. bengalensis by average nearest neighbor analysis on the survey number (meter) Track No. 1st survey 2nd survey 3rd survey All survey Track 1 375.8 324.2 98.1 97.0 Track 2 208.3 80.9 45.8 31.0 Track 3 - - - 22.2 Track 4 196.8 99.3 150.3 17.7 Track 5 199.8 452.6 410.2 51.9 Track 6 195.9 89.7 118.2 58.6 Track 7 186.8 220.7 131.4 49.6 Track 8 112.2 273.7 243.0 62.6 Average 178.3 227.2 210.6 48.1 이는 삵의 배설지점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행동권역 모두에 배설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조사경로가 길수록 삵의 서식흔적확인이 높아지는 것을 확 인하였는데, 이는 상식적인 수준에서 추정 가능한 사실을 객관적으로 재확인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과거 배설물 지점과 시일이 경과한 후에 확인된 배설물 지 158 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삵은 배설하는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 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를 삵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정리하기 위해서는 계족 산 이외 지역에 서식하는 삵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삵의 배설물 흔적은 생태자연도 1등급을 지정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근거자료이지만, 배 설지점이 매번 바뀌는 흔적에 대해서도 유효한 근거로 사용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사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삵의 서식지에 대한 외국의 연구를 참고하면, 대만에 서식하는 삵은 수컷의 활동범위가 6-9 k㎡, 암컷의 활동범위가 약 2 k㎡로 확인되었으며, 연속일일이동거리 (CMD, Consecutive daily movement distance; km)는 수컷이 2.99 km, 암컷이 1.63 km, 직 선거리 (SLD, straight-line distance; km)는 수컷이 0.98 km, 암컷이 0.23 km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Chen et al., 2016). 또한, 일본에서 Iriomote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riomotensis)의 이동거리는 수컷에서 가장 길 때 일일이동거리 (DMD, Daily movement distance; km)는 3.2 km이고, 가장 짧게 이동한 암컷이 1.9 km로 확인되었고 (Schmidt et al., 2003), 쓰시마섬의 삵은 평균 DMR과 DMD가 0.08 k㎡ 와 1.53 km로 확인되었 다 (Oh et al., 2010).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고해보면,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생태자 연도의 격자크기 (0.25 km × 0.25 km, 0.0625 k㎡)는 삵의 행동권을 반영하기엔 어려움 이 있고,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도 알려준다. 159 3.3.2. 보호지역 내에서의 조사거리와 야생동물 흔적수의 상관성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운문산은 환경부가 2010년 9월에 생태·경관보전지역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으로 지정한 지역이며, 가지산 정상부를 포함 하여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일대(26.395 ㎢)에 해당한다. 운문산 일대에 서식하는 포유류를 확인하기 위해 2016년 2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총 8회의 현장조사를 실 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구역의 경계부 및 안쪽 산림을 대상으로 하였다(Figure 3.7). Figure 3.7. Map of survey area in Unmunsan, Gyeongsangnamdo, Korea (☉: 520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dot line: eight survey routes). 160 조사 결과, 8개의 조사경로 총 63.65 km와 야생포유류 5목 8과 13종의 520개 흔적 좌표를 수집하였다. 가장 긴 조사경로는 12.8 km이고, 가장 짧은 조사경로는 3.42 km이며, 산술평균 7.96 km로 확인되었다. 각 조사경로 중 가장 많은 흔적수는 119개, 가장 적은 흔적수는 15개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조사거리(track length) 와 야생포유류의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Figure 3.8). 즉, 조사경로가 길수록 더 많은 야생포유류의 흔적을 찾아낸다는 경향성을 확인한 것이며, 이 결과는 Silveira 등의 연구에서 보여준 결과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 들은 3가지 야외조사 방법인 카메라 트래핑, 횡단면조사, 발자국 흔적조사를 동일한 지역에서 수행하고 비교한 결과, 발자국 흔적조사가 짧은 기간에 종의 풍부함을 확 인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하였다(Silveira et al., 2003). Figure 3.8. Scatter diagrams for Number of Field signs (NF) and Track Length (TL) (NF = 9.674 + 0.009TL, R2(L) = 0.695, p<0.01) 161 조사거리(track length)와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 사이에 확인된 양의 상관 관계는 모든 종의 흔적을 종합한 흔적수에 대한 것으로 개별 종의 흔적수와 조사거 리는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것은 각 종이 운문산에서 균일하게 등분산 분 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 km당 확인된 흔적수에 대한 빈도분석 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를 100%로 환산해 보았다. 이렇게 환산한 데 이터를 기준으로 정규분포에서의 하위 25%는 3등급, 전체의 50%에 해당하는 25% 이상부터 75%미만은 2등급, 상위 25%는 1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그러자 3등급인 25%이하에 속하는 흔적수의 최대기준은 4.39개, 1등급인 75%이상에 속하는 흔적수 의 최소기준은 8.94개로 확인되었다(Table 3.5). Table 3.5.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f number of field signs per km Track length(km) number of field signs number of field signs/km Frequency effective percent cumulative percent 7.62 29 3.81 1 12.5 12.5 3.42 15 4.39 1 12.5 25 12.80 91 7.11 1 12.5 37.5 3.95 32 8.1 1 12.5 50 9.88 87 8.8 1 12.5 62.5 10.18 91 8.94 1 12.5 75 5.92 56 9.45 1 12.5 87.5 9.88 119 12.05 1 12.5 100 63.65 520 7.1 8 100 - 162 이 결과를 다시 3단계의 등급만으로 구분하여, 각 종에 대한 흔적수 빈도를 비교하였다(Table 3.6). 그러자 포식자인 삵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포유류는 1등급에 서 빈도가 높았고, 담비와 청설모는 2등급에서 빈도가 높게 확인되었다. Table 3.6. Number of field signs classified by Grade 3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국명 1st grade 2nd grade 3rd grade Total 삵 62 23 7 92 족제비 56 37 6 99 청설모 39 72 6 117 하늘다람쥐 35 13 오소리 27 15 1 43 멧돼지 19 4 1 24 담비 13 37 15 65 다람쥐 6 4 3 13 두더지 4 2 4 10 노루 3 1 4 고라니 1 너구리 1 멧토끼 - 1 - 1 총합계 266 210 44 520 48 2 3 1 163 이 결과는 산림 내에서 포식자로써 생태지위(niche)가 같더라도 종별로 다른 서식지를 선호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즉, 삵은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는 곳에서 주로 흔적이 발견되고, 담비는 삵에 비해서 야생동물이 다양하지 않은 곳에 서 흔적이 잘 발견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실제로 담비는 다른 동물이 많지 않은 능 선부에서 배설물이 주로 확인된다. 등급별 1 km당 흔적수는 1등급에서 10.1개, 2등급에서 8.0개, 3등급에서 4.1개 로 분류되었다(Table 3.7). 이 결과를 응용하면 야생포유류 흔적수가 1 km 당 4.1개 이하이면 3등급, 10.1개 이상이면 1등급, 그 중간이면 2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러한 결과는 포유류의 서식지 이용 등급으로 한국의 산림에 전반적으로 적용하기에 아직 부족함이 있지만, 생태∙경관보호지역인 운문산에는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다. Table 3.7. Overall survey distance and number of field signs per km by grade Track Length (km) Field signs Field signs/km 1st grade 25.98 266 10.1 2nd grade 26.63 210 8.0 3rd grade 11.04 44 4.1 164 3.3.3. 전국 산림에서의 조사거리와 야생동물 흔적수의 상관성 (1) 선조사 조사결과 2012년부터 2018년까지 24개의 도엽에서 조사경로(survey route) 120개, 조사거 리(track length) 509.028 km, 중대형 포유류 흔적(field sign) 좌표(coordinate point) 3,899 개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120개 조사거리(track length)에 대한 산술평균은 4241.9 m으 로 매년 약 127 km 구간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3.8, Figure 3.9). Table 3.8. Track length of each map index (meter) 도엽명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2511.9 강화 7209.5 31572.9 87133.0 87133.0 97822.6 봉당(계족산) 97822.6 8358.9 석성 8358.9 8832.5 8832.5 31880.3 31880.3 5862.2 안천 영종 2803.9 31572.9 모서 신정 7209.5 2803.9 대덕 신도 총합계 22511.9 관기 대아 2018 4060.4 5862.2 4060.4 165 도엽명 2012 2013 2014 2015 2016 외산 동곡,남명, 32321.9 상북(운문산) 2017 2018 20509.6 20509.6 31328.7 63650.6 웅양 4155.4 웅천 11995.2 음성 총합계 4155.4 11995.2 5511.3 5511.3 적상 2922.3 2922.3 진조 13934.6 13934.6 청안 38189.8 통진 38189.8 14820.7 14820.7 판교 15605.1 15605.1 홍산 9685.6 9685.6 총합계 63453.3 43701.0 50225.5 97822.6 166 119455.0 104692.5 29678.4 509028.4 Figure 3.9. Map of survey routes and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 ]: map index name, ---: survey route and number, ⨀: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167 Figure 3.9. (continue) Map of survey routes and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 ]: map index name, ---: survey route and number, ⨀: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168 Figure 3.9. (continue) Map of survey routes and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 ]: map index name, ---: survey route and number, ⨀: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169 Figure 3.9. (continue) Map of survey routes and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 ]: map index name, ---: survey route and number, ⨀: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170 Figure 3.9. (continue) Map of survey routes and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 ]: map index name, ---: survey route and number, ⨀: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171 Figure 3.9. (continue) Map of survey routes and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 ]: map index name, ---: survey route and number, ⨀: points of mammal field signs) 172 매년 8회에서 31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고, 모서와 봉당 도엽에서는 비교 적 많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이는 반복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이다(Table 3.9). 봉 당도엽(계족산)과 동곡, 남명, 상복도엽(운문산)에 대해서는 조사결과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흔적 조사에서 확인된 야생 포유류는 모두 20종이다. 가장 많은 흔적이 확인된 종은 고라니로 1,626회이고, 삵 529회, 오소리 375회, 청설모 359회, 담비 140회, 멧토끼 104회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Table 3.10). 조사횟수가 많았던 2015년 도부터 2017년도까지의 흔적 좌표수가 많았다. 흔적의 종류에 따라서 분류해 보면 배설물 흔적이 3,000회로 가장 많았고, 섭식흔적(식흔) 413회, 서식 굴 332회, 직접관 찰(목견)이 76회 순으로 분석되었다(Table 3.11). 173 Table 3.9. Number of track lengths by the map index and year 도엽명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5 강화 1 1 1 대덕 5 21 21 24 봉당(계족산) 24 4 석성 4 2 신도 2 6 6 1 안천 1 영종 1 1 외산 동곡,남명,상북 (운문산) 4 5 5 4 8 2 웅양 5 웅천 2 5 2 음성 1 5 모서 신정 총합계 5 관기 대아 2018 2 적상 1 1 진조 5 5 6 청안 6 3 통진 3 판교 6 6 홍산 6 6 총합계 11 8 11 174 24 25 31 10 120 Table 3.10. The number of species field signs by year 국명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총합계 고라니 108 112 181 97 488 540 100 1,626 1 고양이 꽃사슴 5 너구리 23 노루 4 5 13 4 11 15 2 다람쥐 1 담비 23 두더지 25 등줄쥐 1 멧돼지 18 2 멧토끼 35 9 6 19 25 16 1 83 4 8 14 12 14 9 4 46 21 51 36 9 140 89 39 56 44 297 1 26 10 25 18 17 90 1 10 11 12 104 1 무산쇠족제비 삵 3 13 13 1 3 231 123 128 18 9 수달 오소리 43 51 족제비 3 2 청설모 15 2 56 143 52 6 20 69 57 28 50 94 145 32 23 하늘다람쥐 529 9 30 375 157 25 359 55 안주애기박쥐 2 2 염소 2 2 272 3,899 총합계 313 232 274 175 598 1,103 1,107 Table 3.11. Number of field signs to type of trace by species 구분 굴 목견 발자국 배설물 사체 소리 식흔 기타 총합계 고라니 20 33 1560 1 7 2 3 1626 고양이 3 1 꽃사슴 5 1 너구리 노루 81 83 4 1 7 296 10 멧돼지 멧토끼 4 무산쇠족제비 삵 1 3 수달 36 140 1 297 1 1 34 37 9 104 1 1 525 529 9 9 18 375 157 청설모 10 157 1 348 359 55 하늘다람쥐 안주애기박쥐 55 2 2 2 염소 332 76 48 90 100 321 족제비 14 46 140 등줄쥐 총합계 1 38 담비 오소리 5 10 다람쥐 두더지 4 3,000 176 2 6 8 413 16 3,899 (2) 통계분석 조사결과 조사거리(track length)와 포유류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의 상관성 24개 도엽의 조사경로(survey route) 120개, 조사거리(track length) 509.028 km, 포 유류 흔적(field sign) 좌표(coordinate point) 3,899개의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왜곡도 평가를 위해 P-P plot(probability–probability plot)을 사용하였다. P-P plot은 두 데이터 세트가 얼마나 밀접하게 일치하는지 평가하는 확률도로서, 두 분포가 같은 중위수 를 갖는 경우에만 지점(1/2, 1/2)을 통과하는데 본 연구에서 축적한 조사거리와 포유 류 흔적수의 관계는 이를 확연히 보여주고 있다(Figure 3.10, 11). Figure 3.10. Normal P-P plot of track length 177 Figure 3.11. Normal P-P plot of field signs 그리고, 조사거리(track length)와 포유류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의 산점도 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서 추정할 수 있는 선형 적합성 그래프와 2차모형 적합성 그 래프를 산출해내었다. 첫째로 조사거리에 모든 포유류 종의 흔적수를 대입하여 확 인한 결과, 적합성 그래프의 선형 R2은 0.312, 2차모형 R2은 0.312로 둘 다 상관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3.12). 두 번째로 포유류 중에서 흔적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된 고라니를 제외한 흔적수로 앞의 분석을 다시 시행하였다. 그러 자 적합성 그래프의 선형 R2은 0.507로, 2차모형 R2은 0.545로 상승하여 약간의 적합 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3.13). 마지막으로 포유류 중에 서 너무 많은 흔적수가 확인된 고라니와 흔적수가 10개 미만으로 확인된 포유류를 178 제외하여 환경이 양호한 산림에서 보편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11종의 산포도와 적합성 그래프를 분석해보았다. 그러자, 적합성 그래프에서 선형 R2은 0.511로, 2차모형 R2은 0.547로 고라니만 제외했을 경우의 결과보다 값이 약간 더 높 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3.14).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데이터에서 다 른 포유류의 흔적수를 수집한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고라니의 흔적수를 데이터로 수집한 것은 비효율적임을 파악할 수 있다. Figure 3.12. Scatter plot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total mammal species). 179 Figure 3.13. Scatter plot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except Hydropotes inermis). Figure 3.14. Scatter plot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just 11 species). 180 앞의 분석에서 조사거리와 흔적수가 정규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하여, 두 자료 의 Pearson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의 산포도와 적 합성 그래프의 결과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라니를 제외한 다른 종 들의 흔적수는 조사거리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도 재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3.12). Table 3.12.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Correlation coefficient Total mammal of field signs (except Total mammal of Hydropotes field signs inermis) Track length Track length 1 Pearson 상관계 11 species of field signs .559** .712** .715** .000 .000 .000 120 120 120 1 ** .737** .000 .000 수 유의확률 (양 쪽) N Total mammal of field signs Pearson 상관계 120 .559 ** .734 수 유의확률 (양 .000 쪽) N Total mammal Pearson 상관계 of field signs 수 (except Hydropotes 유의확률 (양 inermis) 쪽) N 11 species of field signs Pearson 상관계 120 120 120 120 ** ** 1 .999** .712 .734 .000 .000 120 120 120 120 ** ** ** 1 .715 .737 .000 .999 수 유의확률 (양 .000 .000 .000 120 120 120 쪽) N **.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181 120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회기분석(regression analysis)의 두 가지 전제조건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선형관계이고 종속변수는 정규분포한다는 것을 만족하였으 므로 분석을 실시하여 회기모형식을 추출하였다. 하지만, 전체 흔적수와 조사거리의 관계는 상관계수가 낮았으므로 R2값과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확인된 포유류 11종의 흔적수와 조사거리에 대한 자료를 대상으로 회기모형식을 작성하였다(Table 3.13) (3.1). Table 3.13.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track length and number of field signs (just 11 species) 모형 요약 R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715 .511 .507 13.347 독립변수는 조사거리입니다. 계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B 표준오차 베타 조사거리 .005 .000 .715 (상수) -4.619 2.422 t 유의확률 11.104 .000 -1.907 .059 흔적수(FS) = -4.619 + 0.715*조사거리(TL) (3.1) 포유류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의 회기모형식 182 조사결과의 정량화 포유류의 서식흔적이 조사거리(track lengt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확인하였지만, 이 결과로는 포유류 서식지의 건강성 또는 가치를 평가하기엔 어려 움이 있다. 각 조사지역의 결과로 확보되는 자료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정량적인 비교를 위한 2차 분석이 필요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야외 조사자료의 정량적 비교를 위해 각 조사거리에서 얻어진 흔적수를 1 km당 확인된 흔적수로 변환하여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km당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 / km) 를 빈도분석을 수행하여 정규분포에서의 상위 그룹으로 75%이상, 중위 그룹으로 75% 미만에서 25%이상, 하위 그룹으로 25%미만에 해당하는 흔적수의 지점을 추출 하였다. 빈도분석은 앞에서 분석한 것과 같이 3가지 자료(전체 흔적수, 고라니는 제외 한 전체 흔적수, 11종의 흔적수)의 형태로 수행하였고, 그 결과 얻어진 히스토그램 (histogram)으로 km당 흔적수의 데이터도 정규분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Figure 3.15, 16, 17). Figure 3.15. Histogram of field signs/km (total field signs). 183 Figure 3.16. Histogram of field signs/km (except Hydropotes inermis). Figure 3.17. Histogram of field signs/km (11 species of field signs). 184 그 결과, 전체 흔적수의 경우엔 상위 그룹은 10.64 개/km 이상, 중위 그룹은 10.64 개/km 미만 4.29 개/km 이상, 하위 그룹은 4.29 개/km 이하로 확인되었고, 고 라니의 흔적수를 제외한 경우엔 상위 그룹은 5.57 개/km 이상, 중위 그룹은 5.57 개 /km 미만 2.17 개/km 이상, 하위 그룹은 2.17 개/km 이하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11종에 대한 결과는 상위 그룹은 5.73 개/km 이상, 중위 그룹은 5.73 개/km 미만 2.13 개/km 이상, 하위 그룹은 2.13 개/km 이하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이전에 수 행한 보호지역인 운문산의 조사결과로 빈도분석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전체 흔적수 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3.14.). 운문산의 빈도 분석은 고라니를 포함한 결과였으므로 km당 흔적수로 분석하는 방법이 서로 분산 되어 있는 지역의 포유류 서식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정량적인 자료로써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Table 3.14. The number of field sign per kilometer by category 3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number of field sign /km) 전체 흔적수 전체 흔적수 상위 (75% 이상) 10.64 5.57 5.73 8.94 중위 (75% 미만~25% 이상) 10.64~4.29 5.57~2.17 5.73~2.13 8.94~4.39 하위 (25% 미만) 4.29 2.17 2.13 4.39 (고라니 제외) 185 11종 흔적수 보호지역 그룹 (운문산) 제 4 장. 종합 고찰 4.1. 한반도 포유류 목록에 대한 고찰 한반도 포유류에 대한 분류학적 문헌을 확인하여 한국산 포유류의 목록을 정 리하였다. 우선적으로 기존에 국내에서 통용되어 오던 학명과 국명의 유효성에 대 한 검토를 수행하여 혼용되어 사용된 학명과 국명을 정리하였고, 국내 서식여부가 불분명한 종을 제외하는 등의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한반도의 포유류는 총 6목 31과 82속 135종으로 정리되었다(Table 4.1). Table 4.1. Mammals of Korean peninsula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includes subspecies) 7 22 53 100 8 27 62 96 8 31 82 122 조선동물지 (Kim et al., 2015) 9 33 81 124 Present study (2019) 6 31 82 135 한국 동식물도감(포유류편) (Woon, 1967) 조선짐승류지 (Won, 1968)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현재 포유류의 진화계통 순서는 과거의 형태적 계통순서와 현대의 분자 계통 순서 2가지로 표현되고 있다(Springer et al., 2004). 이 두 계통도의 가장 큰 차이는 2 가지가 있다. 한가지는 Order Insectivora (식충류)가 Hutterer (1993)에 의해 Order Erinaceomorpha (고슴도치목)과 Order Soricomorpha (땃쥐목)의 2목으로 명명되어 사용 되던 것이 Springer 등(2004)에 의해 Order Afrosoricida과 Order Eulipotyphla으로 구분 186 것이다. 또 다른점은 Springer 등(2004)이 Order Artiodactyla (우제목)과 Order Cetacea (고래목)을 Order Cetartiodactyla 으로 통합한 것이다(Figure 4.1.). Figure 4.1.Two trees of placental orders (a: morphological tree, b: emerging molecular tree) (Springer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연구추세를 반영하여 Springer 등과 Asher와 Helgen의 분류를 따랐으며(Springer et al., 2004; Asher and Helgen, 2010), 그 분류군의 특징을 반 영하여 고슴도치와 땃쥐, 두더쥐 등을 포함하는 Order Eulipotyphla 의 국명은 ‘진식 충목’으로 명명하였고, 고래와 사슴 등을 포함하는 Order Cetartiodactyla 는 ‘기제목 (鰭 지느러미 기, 蹄 발굽 제)’로 명명하였다(Figure 4.2). 이 외에 하위 분류군에서 국명이나 학명에 변동이 있는 종은 총 77종으로 확인되었고, 이 종들은 간략한 설 명과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표로 정리하였다(Table 4.2). 187 Figure 4.2. Order names changed by this study in Korea. 목별 주요 특이사항을 살펴보면, 쥐목(Rodentia)에서는 다람쥐의 속명이 Tamias에서 Eutamias로 변경되었으며, 과거 Myodes 속이던 비단털쥐와 대륙들쥐는 속명이 Craseomys로 변경되었다. 토끼목(Lagomorpha)에서는 ‘멧토끼’라는 국명에 학명은 각각 남한에서 Lepus coreanus Thomas로 북한에서 L. mandshuricus Radde로 기 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Koh와 Jang (2010)의 연구 이후에 두 종의 관계를 직접 적으로 비교한 분류학적 문헌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모두 기재하였다. 박쥐목 (Chiroptera)에서 ‘흰배윗수염박쥐’는 과거 Myotis nattereri bombinus Thomas와 M. n. amurensis Ognev로 기재되었지만, 아시아의 종은 M. bombinu Thomas로 정리되었다. 기제목(Certatiodactyla)에서는 북반구, 남반구 및 태평양, 대서양 등 각 해역별로 서 식하는 아종들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가 있어 이를 반영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가 속해있는 해역의 아종으로 총 12개의 아종을 확인하였다. 식육목(Canivora)에서는 담 비 Martes flavigula의 경우, 북한에서는 한반도 서식 아종으로 ‘산달(담부, 담비) M. 188 f. koreana Mori (유효명 M. f. borealis (Radde)의 동물이명)’로 기록한 반면, 남한에서는 앞의 종을 ‘노란목도리담비’중남부 아종으로 기재하고 이와 별개로 ‘담비 M. f. aterrima (Pallas)’를 기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종들에 대해서도 분류학적 정체 성에 의심이 가지만, 두 종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확인한 최근 문헌이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모두 기재하였다. 또한, 북한에서 1996년 처음 채집되어 기록된 ‘검은다 리족제비 Mustela eversmanii Lesson’를 한반도 목록에 새로이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육되는 가축을 다루지 않았지만, 국제적으로 분류적 위치에 큰 변화가 있는 종으로 ‘고양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가축에 속하여 야생 포유류 목록에서는 다루지 않지만, Kitchener 등은 야생화된 고양이를 포유류 목록에 추가하였다(Kitchener et al., 2017). 이들은 고양이과(Felidae)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결 과들을 종합하여 전 세계의 고양이과를 정리하였으며, 일반 고양이로 알려져 있는 Felis catus Linnaeus, 1758 (Feral cat, Domestic cat, House cat)를 국제동물위원회(ICZN) 판 결문(Opinion 2027, March 2003)의 ‘야생 종(wild species)에서 파생된 길들여진 개체군 에 대한 새로운 이름 규정’을 따라 정리하였다(ICZN, 2003). 이에 따라 Felis lybica lybica Forster, 1780의 계통에 속하는 대부분의 야생화된 고양이는 Felis catus Linnaeus 라는 별개의 종으로 정리되었다(Gentry et al., 2004; Kitchener et al., 2017). 국내에서도 야생화된 고양이가 많아지고 있지만, 이 개체들은 앞에서 지칭하는 종으로 정리하 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의 목록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분류학적 개념에서 계통발생학적 종 개념(Phylogenetic species concept)은 종 (species)을 진화(evolution) 선상의 연속적인 개체로 취급하여 개별적인 아종 (subspecies)을 인정하지 않고 심지어 종 수준의 분류군도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있 다. 이것을 반영하여 아종을 인정하지 않고 개체군으로 취급하며 종의 수준으로만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다. 하지만, 생물학적 종 개념(Biological species concept), 형태학 189 적 종 개념(Morphological species concept), 유전학적 종 개념(Genetic species concept)에 서는 아종을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있다(Baker and Bradley, 2006). 유전학적으로 포유 동물의 mtDNA 발산속도는 타 분류군에 비해 매우 느려서 지리적으로 격리된 개체 군이 별도의 종으로 취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아주 기나긴 시간이 필 요하다(Bradley and Baker, 2001). 아종을 인정하지 않으면 이를 바탕으로 한 생태연구 에도 혼선이 발생할 수 있으며, IUCN과 SMM 등에서도 종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서 개체군 또는 아종 등의 분류학적으로 명확한 정리가 필요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동일한 관점으로 최대한 아종을 인정하고 반영하여 정리하였고, 앞으로도 아종이나 종의 실체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지난 52년간 남한과 북한에서 개별적으로 기록해오던 종들(예: 멧토끼, 너구리, 담비, 족제비 등)에 대해서도 그 실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종들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그 종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정리 할 계획이다. 190 Table 4.2. Changed list of the species and Korean names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1 Crocidura suaveolens (Pallas) Present study 비 고 Korean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작은땃쥐 Crocidura shantungensis shantungensis Miller 작은땃쥐 제주땃쥐 Crocidura shantungensis quelpartis Kuroda 제주작은땃쥐 맞춰 ‘제주작은땃쥐’로 개칭 (Lee et al., 2014; Motokawa et al., 2003). 뒤쥐 Sorex caecutiens caecutiens Laxmann 뒤쥐 기재하며 아종명으로 정리(Lee et al., 2014).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Abe and Oh 한라산뒤쥐 Sorex unguiculatus Dobson 긴발톱뒤쥐 러시아는 C. suaveolens로 기록 (IUCN, 2017). Motokawa 등의 연구결과를 반 2 Crocidura dsinezumi (Temminck) 3 Sorex caecutiens Laxmann 4 5 Sorex unguiculatus Dobson 긴발톱첨서 191 영, C. shantungensis의 아종명에 Lee 등은 S. c. hallamontanus를 Ohdachi 등에 의해 한반도 고유 아종으로 보고(Ohdachi et al., 2005). Lee 등은 속명의 국명에 따라 ‘긴발톱뒤쥐’로 개칭(Lee et al., 2014).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7 8 Mogera wogura coreana Thomas 비 고 Korean name Scientific name 두더지 Mogera wogura robusta Nehring 두더지 청설모 하늘다람쥐 Mogera wogura (Temminck) 6 Present study Sciurus vulgaris Linnaeus 청설모 Sciurus vulgaris mantchuricus Thomas Pteromys volans (Linnaeus)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volans (Linnaeus) 다람쥐 Eutamias sibiricus barberi Johnson and Jones Korean name Kawada 등은 한국과 일본 표본 의 연구를 통해 M. w. robusta로 분류(Kawada et al., 2001). Koh 등의 mtDNA 연구결과에 의해 한반도 서식 아종이 정리 (Koh et al., 2006). Koh 등과 Lee 등에 의해 한반 도 서식 종 정리(Koh et al., 2008b; Lee et al., 2008). Pisaun 등은 국내 고유종을 인 9 Tamias sibiricus (Laxmann) 정, 아종명 barberi를 따름 다람쥐 (Pisanu et al., 2013), Patterson과 Norris은 Tamias 속을 Eutamias 속의 동물이명으로 정리 (Patterson and Norris, 2016). Clethrionomys 속 명에 Teskov 등이 유효성을 주장(Tesakov et 10 Clethrionomys rutilus (Pallas) 숲들쥐 Myodes rutilus (Pallas) 숲들쥐 al., 2010), Carleton 등은 Myodes 속명이 유효성 및 선취권이 있 음을 정리(Carleton et al., 2014). Kohli 등은 Myodini 28종의 염기 11 Eothenomys regulus (Thomas) 비단털들쥐 Craseomys regulus Thomas 192 비단털들쥐 서열울 비교하여 이들 종을 Craseomys 속으로 분리(Kohli et al., 2014).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12 Clethrionomys rufocanus (Sundevall) 14 Apodemus peninsulae (Thomas) 15 Mus musculus Linnaeus 비 고 Korean name Scientific name 대륙밭쥐 Craseomys rufocanus (Sundevall) 대륙들쥐 Apodemus chejuensis Johnson et Jones 제주등줄쥐 13 Apodemus sylvaticus (Linnaeus) Present study Korean name Lee 등은 속명에 따라 국명을 ‘대륙들쥐’로 개칭하여 정리 (Lee et al., 2014). Oh는 A. agrarius corea와 형태적 비교를 통해 개별 종으로 취급 하는 연구결과를 발표(Oh, 2001). Lee 등은 Won이 오동정으로 잘 흰넓적다리붉 은쥐 북숲쥐 생쥐 Apodemus peninsulae (Thomas) Mus musculus musculus Linnaeus 못 기재한 A. s. draco를 Yoon 등 흰넓적다리붉 에서 북숲쥐로 다시 기록한 것 은쥐 으로 판단하여 목록에서 정리 (Lee et al., 2014; Won, 1958; Yoon et al., 2004). 현재 전 세계적으로 M. musculus 생쥐 에 5개의 아종이 기록, 한반도 는 원종에 포함(Roskov, 2017). Koh의 연구결과에 따라 남한 16 Rattus rattus (Linnaeus) 애급쥐 Rattus tanezumi (Temmink) 종은 tanezumi으로 파악(Koh, 동양집쥐 1992). Lee 등은 남한 서식종을 R. tanezumi로 정리하며 ‘동양 집쥐’로 신칭(Lee et al., 2014). Lee 등은 외래종이지만, 본 종 을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하며 국명을 ‘큰물쥐’로 신칭(Lee 17 Myocastor coypus (Molina) 뉴트리아 Myocastor coypus (Molina) 큰물쥐 et al., 2014). 국내 일반명 ‘뉴트 리아’는 ‘수달 Lutra lutra’의 일반명 ‘Nutria(Spanish)’ (IUCN, 2017)이기도 하므로 두 종 사이의 명칭 구분이 필요. 193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18 Ochotona hyperborea (Pallas)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비 고 Korean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우는토끼 Ochotona (Pika) coreana Allen and Andrews 우는토끼 관박쥐 19 Rhinolophus ferrumequinum quelpartis Mori Present study 제주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북한 지역에서만 확인된 종, Lissovsky에 의해 Ochotona속에 대해 정리(Lissovsky, 2014), Kruskop 등은 한국 표본과 코카 관박쥐 서스 표본 사이에서 큰 유전적 차이를 확인(Kruskop et al., 2012). Kruskop 등은 DNA barcode 연구 20 Myotis mytacinus (Kuhl) 21 Myotis nattereri bombinus Thomas 22 Myotis formosus tsuensis Kuroda 윗수염박쥐 흰배윗수염박 쥐 오렌지윗수염 박쥐 Myotis sibiricus Kastschenko Myotis bombinus Thomas 를 통해 M. brandii gracillis와 M. 윗수염박쥐 의 동물이명으로 정리(Kruskop et al., 2012). 흰배윗수염박 쥐 Myotis formosus tsuensis Kuroda mystacinus gracillis를 M. sibiricus 붉은박쥐 Kawai 등의 연구에서 M. nattereri와 M. bombinus로 분리 (Kawai et al., 2003). 현재 일반명으로 많이 사용되는 국명으로 정리 Kim 등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M. frater에 2개 아종 M. f. 23 Myotis frater G. M. Allen 긴꼬리윗수염 박쥐 Myotis frater longicaudatus Ognev 긴꼬리윗수염 박쥐 longicaudatus와 M. f. bucharensis 를 기재하였지만, M. f. bucharensis의 분포에 한반도는 제외(Kim et al., 2015a). 194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24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Myotis mystacinus gracilis Ognev 윗수염박쥐 Myotis mystacinus (Kuhl) 윗수염박쥐 M. m. gracilis는 M. sibiricus의 동 물이명으로 정리(Kruskop et al., 2012). Tsytsulina 등에 의해 국내 강원 Myotis aurascens Kuzyakin 25 Murina leucogaster Milne-Edwards 26 Murina leucogaster ognevi Bianchi Murina leucogaster intermedia Mori 대륙쇠큰수염 도 영월 서식이 확인(Tsytsulina 박쥐 et al., 2012), Kim 등이 제주 서식 보고(Kim et al., 2015b). 관코박쥐 북관코박쥐, 북방뿔박쥐 Simmons는 M. l. intermedia와 M. Murina hilgendorfi (Peters) 관코박쥐 금강산관코박 l. ognevi를 M. hilgendorfi의 동물 이명으로 정리(Wilson and Reeder, 2005a). 쥐, 뿔박쥐 Simmons는 별개의 종으로 정리 27 Murina aurata ussuriensis Ognev Eptesicus serotinus Schreber 28 Eptesicus serotinus pallens Miller 작은관코박쥐 작은관코박쥐 (Wilson and Reeder, 2005a). 또한, IUCN에서도 종의 수준으로 평 가 (IUCN, 2017). 문둥이박쥐 고려박쥐, 평 남졸망박쥐 문둥이박쥐, Eptesicus serotinus brachydigitus Mori Murina ussuriensis Ognev Simmons에 의해 E. s. Eptesicus serotinus pallens Miller 굵은가락졸망 박쥐 195 문둥이박쥐 brachydigitus는 E. s. pallens의 동 물이명으로 정리(Wilson and Reeder, 2005a).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29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yctalus aviator aviator Thomas 멧박쥐 Nyctalus aviator Thomas 멧박쥐 N. aviator는 아종이 모두 정리되 Nyctalus furvus Imaizumi and Yoshiyuki 30 어 본종만 있음(Roskov et al., 2017). Yoon이 1995년 부산에서 처음 작은멧박쥐 채집하면서 남한산 박쥐목록에 추가(Yoon, 2009). Woon이 쇠멧박쥐 Nyctalus noctula motoyoshii로 기재한 것을 Corbet은 V. superans의 동물이명 으로 정리(Corbet and Hill, 1991; 31 Vespertilio superans Thomas 안주애기박쥐 Vespertilio sinensis namiyei Kuroda Yoon, 2010). 또한, 이후의 연구 안주애기박쥐 에서 V. superans는 V. sinensis의 동물이명으로 연구(IUCN, 2017). 지역별로 5개의 아종으로 구분 하여 연구(Roskov, 2017). 국내 기록에 V. namiyei의 기록이 있 음. Kawai는 P. coreensis를 H. alaschanicus의 동물이명으로 정 리(Ohdachi et al., 2009). ‘한국 척추동물종목록집’에서 H. alaschanicus를 ‘검은집박쥐’ 32 Pipistrellus coreensis Imaizumi 큰집박쥐 Hypsugo alaschanicus (Bobrinskii) 큰집박쥐 로 기록(한상훈 et al., 2011), 또 한, 현재 ‘검은집박쥐’는 2017년 한국종목록에서 ‘양박 쥐’로 변경(NIBR, 2017), 이 둘 다 분류학적 기재 없이 출판. 이전의 분류학적 기재를 따라 국명을 ‘큰집박쥐’로 표기. 196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immons는 P. a. ognevi를 P. a. 33 Plecotus auritus (Linnaeus) 토끼박쥐 Plecotus sacrimontis G.M.Allen 토끼박쥐 sacrimontis의 동물이명으로 정리 (Wilson and Reeder, 2005a), Spitzenberger 등의 연구에 의해 auritus species-complex와 sacrimontis species-complex로 구 분(Spitzenberger et al., 2006). Plecotus auritus ognevi Kishida 34 Plecotus auritus uenoi Imaizumi and Yoshiyuki Spitzenberger 등은 국내 서식종 검은토끼박쥐 참긴귀박쥐 Plecotus ognevi Kishida 참긴귀박쥐 으로 알려진 P. auritus uenoi를 P. ognevi의 동물이명으로 정리 (Spitzenberger et al., 2006). E. glacialis는 북대서양에 분포, 35 Eubalaena glacialis (Müller) 북방긴수염고 래 Eubalaena japonica (Lacépède) 북방긴수염고 래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고래는 E. japonica로 정리(Rosenbaum et al., 2000). 기존 학명은 오동정 또는 오기로 정리하여 국명 유지 36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épède 37 Balaenoptera borealis Lesson 밍크고래 Balaenoptera acutorostrata scammoni Deméré 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borealis Lesson North Pacific minke whale을 B. a. 밍크고래 scammoni로 정리(Ohdachi et al., 2009; Archer et al., 2013; Taxonomy, 2017). SMM에서는 B. b. borealis 197 (northern sei whale)와 B. b. 보리고래 schlegelii (southern sei whale)의 2 아종으로 정리 (Perrin et al., 2009; Taxonomy, 2017).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38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Balaenoptera edeni Anderson 브라이드고래 Balaenoptera edeni edeni Anderson 브라이드고래 Luksenburg 등이 연구를 통해 2 개의 아종으로 분리(Luksenburg et al., 2015; Taxonomy, 2017). Archer 등에 의해 Balaenoptera physalus는 단일 종이 아님이 재 39 Balaenoptera physalus (Linnaeus) 참고래 Balaenoptera physalus physalus (Linnaeus) 확인(Archer et al., 2013; Ohdachi 참고래 et al., 2009). 일반적으로 북반구 에 분포하는 종을 B. p. physalus (Linnaeus, 1758) 로 구분 (Taxonomy, 2017). 40 Balaenoptera musculus (Linnaeus) 41 Megaptera novaeangliae (Borowski)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에 걸쳐 분 대왕고래 Balaenoptera musculus musculus (Linnaeus) 대왕고래 혹등고래 Megaptera novaeangliae kuzira (Gray) 혹등고래 포하는 Blue Whale을 B. m. musculus로 정리(Taxonomy, 2017). Jackson 등은 M. n. kuzira (북태평 양)로 정리(Jackson et al., 2014; Taxonomy, 2017). Ohdachi 등은 동해에 서식하는 종을 D. capensis 로 설명 (Ohdachi et al., 2009). Cunha 등은 common dolphins 2종인 D. delphis (the short-beaked common dolphin) 과 D. capensis (the long-beaked 42 Delphinus capensis Gray 긴부리참돌고 래 Delphinus delphis bairdii Dall 긴부리참돌고 common dolphin)를 동일한 종으 래 로 정리(Cunha et al., 2015; Taxonomy, 2016). 또한, 북태평양 동부(ENP: Eastern North Pacific)에 서식하는 종은 Hershkovitz의 연 구결과를 따라 D. delphis bairdii 로 정리(Hershkovitz, 1966; Taxonomy, 2017). 198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lphinus delphis에는 현재 해역 별로 4개의 아종이 기재 43 Delphinus delphis Linnaeus 짧은부리참돌 고래 Delphinus delphis delphis Linnaeus 짧은부리참돌 고래 (Taxonomy, 2017). 또한, Song이 정리한 종 목록에 D. delphis와 D. capensis가 각각 기록된 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D. d. delphis로 정리(Song, 2016). Perrin은 coastal form을 S. a. 44 Stenella attenuate (Gray) 점박이돌고래 Stenella attenuata attenuata (Gray) graffmani로 기재, 전 세계 해양 점박이돌고래 의 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종을 S. a. attenuata로 정리(Perrin, 1975; Taxonomy, 2017). Perrin은 동태평양의 종을 별개 의 아종으로 구분, 2개의 신아종 45 Stenella longirostris (Gray) 긴부리돌고래 Stenella longirostris longirostris (Gray) 긴부리돌고래 S. l. orientalis (eastern spinner)와 S. l. centroamericana (Central American Spinner)을 명명(Perrin, 1990). 이후, 추가적인 연구에 의해 현재는 4개의 아종으로 정 리(Taxonomy, 2017). 태평양에 서 식 종은 S. l. longirostris로 기재 (Ohdachi et al., 2009). Tursiops aduncus (Ehrenberg) 46 Kim 등에 의해 국내에서 첫 확 남방큰돌고래 인 보고, 국명 ‘남방큰돌고 래’로 명명(Kim et al., 2010). Black Sea bottlenose dolphin을 아 47 Tursiops truncates (Montagu) 큰돌고래 Tursiops truncatus truncatus (Montagu) 199 종 T. t. ponticus으로 구별하면서 큰돌고래 Common bottlenose dolphin는 T. t. truncatus로 정리(IUCN, 2017; Taxonomy, 2017).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Jefferson과 Wang은 N. asiaeorientalis를 N. phocaenoides 48 Neophocaena phocaenoides (G. Cuvier) 상괭이 Neophocaena asiaeorientalis sunameri Pilleri and Gihr 와 별개의 종으로 구분(Jefferson 상괭이 and Wang, 2011). Lin 등의 최근 연구에서 한반도와 일본에 걸쳐 서 서식하는 종은 N. a. sunameri 로 분리(Lin et al., 2014). 분류적 논쟁이 많은 종으로 아 49 Phocoenoides dalli (True) 까치돌고래 Phocoenoides dalli dalli (True) 직까지는 P. d. dalli (Dalli-type 까치돌고래 Dall’s porpoise)와 P. d. truei (Truei-type Dall’s porpoise)의 2 아종을 인정. Sus scrofa coreanus Heude 50 Groves와 Grubb 은 지리적 기준 및 형태적 기준에 따라 4개의 멧돼지 Sus scrofa ussuricus Heude 51 52 Moschus moschiferus Linnaeus Sus scrofa ussuricus Heude 멧돼지 아종 그룹으로 나눔(Groves and Grubb, 1993). 한반도 서식종은 'Eastern races'에 속한다고 기술 (IUCN, 2017). 사향노루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Hollister 사향노루 역별로 5개의 아종으로 분리 (Sokolov and Prikhod'ko, 1997). Capreolus pygargus pygargus (Pallas) 큰노루 연구결과를 반영(Sheremetyeva and Sheremetyev, 2008). Sokolov와 Prikhod'ko에 의해 지 Sheremetyeva와 Sheremetyev의 200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Randi 등의 연구에서 Cervus속 에 포함되는 종은 C. elaphus와 53 Cervus elaphus Linnaeus 붉은사슴 Cervus canadensis xanthopygus Milne-Edwards C. canadensis 2개 종으로 정리 붉은사슴 (Randi et al., 2001). 또한, Ludt 등 은 국내 기록종인 C. xanthopygus을 C. canadensis xanthopygus로 정리(Ludt et al., 2004). Ohdachi 등은 C. nippon 종에 속 54 55 Cervus Nippon Temminck Naemorhedus goral raddeanus (Heude) 대륙사슴 산양 Cervus nippon hortulorum Swinhoe Naemorhedus caudatus (MilneEdwards) 한 14개의 아종을 언급(Ohdachi 대륙사슴 et al., 2009), Catalogue of Life에는 16개의 아종으로 정리(Roskov, 2017). Wilson과 Reeder의 정리와 IUCN 산양 의 분류학적 정리를 따라 종의 수준으로 기재(IUCN, 2017; Wilson and Reeder, 2005a). IUCN 등에서는 지역별로 5-6 아종을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 과 북한에 걸쳐 서식하는 종을 L. l. stroganovi로 기재(IUCN, 56 Lynx lynx (Linnaeus) 스라소니 Lynx lynx neglectus Stroganov 스라소니 2017). 하지만, IUCN/SSC Cat Specialist Group에서는 동물명명 법을 따르면 Felis neglecta Gray, 1838가 선취권이 있음을 밝히며 학명을 수정(Kitchener et al., 2017). Wozencraft는 지역별로 11개 아 57 Felis bengalensis Kerr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Elliot) 종으로 정리, 중국과 한반도에 삵 걸쳐 서식하는 종을 P. b. euptilurus로 기재(Wilson and Reeder, 2005a). IUCN/SSC Cat Specialist Group에서는 중앙아시 아의 삵을 남부 아종과 북부 아 201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종으로 정리(Kitchener et al., 2017). Liu 등은 호랑이 표본 32개의 58 Panthera tigris (Linnaeus) 호랑이 Panthera tigris altaica Temminck 호랑이 whole-genome sequencing을 분석 한 결과를 바탕으로 6개의 아종 으로 정리(Liu et al., 2018). C. l. coreanus는 Ellerman과 Morrison-Scott이 C. l. chanco의 59 Canis lupus coreanus Abe 늑대 Canis lupus chanco Gray 늑대 동물이명으로 정리, Yoon 등에 의해서만 기록된 학명(Ellerman and Morrison-Scott, 1951; Yoon et al., 2004). 북한에만 기록. Durbin 등은 지 Cuon alpinus alpinus (Pallas) 60 역별로 6개 아종으로 구분, 러 승냥이 시아 동부와 샤얀 동부에 분포 하는 종을 C. a. alpinus로 기록 (Durbin et al., 2004). 전 세계적으로 6개의 아종으로 정리(Roskov, 2017). 북한에서는 한반도의 북부지방에만 서식하 는 ‘너구리’ 1아종만 기록하 61 Nyctereutes procyonoides (Gray) 너구리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Mori 너구리 며 N. p. ussuriensis로 기재(Kim et al., 2015a). 남한에서는 북부지역 과 남부지역에 서식하는 아종을 구분하여 N. p. koreensis 와 N. p. ussuriensis로 각각 기록(Yoon et al., 2004). 202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1929년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62 Nyctereutes procyonoides ussuriensis Matschie 너구리 Nyctereutes procyonoides ussuriensis Matschie 모피를 얻기 위한 사냥용 종으 우수리너구리 로 중동 아시아와 구소련을 위 주로 도입. 현재는 유럽 전역에 서식, 현지에서는 침입종으로 관리(Kowalczyk, 2014). 63 Ursus arctos Linnaeus 북한지역에서만 확인된 종으로 불곰 Ursus arctos lasiotus Gray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 ussuricus (Heude) 반달가슴곰 Zalophus japonicus (Peters) 바다사자 불곰 Kim 등의 정리를 반영(Kim et al., 2015a). 전 세계에 7개의 아종이 기록 64 Selenarctos thibetanus (G. Cuvier) Zalophus californianus (Lesson) 65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as (Peters) 바다사자 (Roskov et al., 2017), Wu 등의 mtDNA 연구에 의해 한반도 서 식종은 U. t. ussuricus로 확인(Wu et al., 2015). MSW3는 Z. japonicus로 정리 (Wilson and Reeder, 2005a). Pacific harbor seal에 대해 Yoon 66 Phoca vitulina Linnaeus 점박이물범 Pusa hispida (Schreber) 67 Phoca hispida ochotensis (Pallas) Phoca vitulina stejnegeri J. A. Allen 등과 Ohdachi 등, 그리고 IUCN 점박이물범 의 평가서에서 P. v. stejnegeri로 기재(IUCN, 2017; Ohdachi et al., 2009; Yoon et al., 2004). Ohdachi 등 및 IUCN 평가서와 고리무늬물범 Pusa hispida ochotensis (Pallas) 고리무늬물범 SMM에서는 일본에서 러시아 근해에 걸쳐 서식하는 종을 Pusa h. ochotensis로 기록(IUCN, 2017; Ohdachi et al., 2009; 203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Taxonomy, 2017). 68 Martes flavigula (Boddaert) 담비 국제적으로 지역별 10개의 아종 Martes flavigula aterrima (Pallas) 담비 이 연구, M. f. aterrima 또한 아시 아 아종으로 인정(Roskov et al., 2017). M. f. aterrima의 동물이명으로 기 69 Martes flavigula koreana (Mori) 70 Martes melampus (Wagner) 71 Martes zibellina hamgyenensis Kishida 노란목도리담 비 Martes flavigula borealis (Radde) 노란목도리담 비 산달 Martes melampus coreensis Kuroda and Mori 검은담비 Martes zibellina kamtschadalica Birula 록하기도 하나 MSW3와 Catalogue of Life에서는 아직까지 두 아종을 구분(Wilson and Reeder, 2005a; Roskov et al., 2017). M. melampus는 일본 고유종, 국 산달 내 기록종인 M. m. coreensis는 한국특산종으로 기록(Won, 1968; Kim et al., 2015a). Wozencraft가 정리한 17개의 아 검은담비 종을 기초로 연구(Monakhov, 2011), Won은 국내 서식종을 특 산 아종으로 기재(Won, 1968). Abramov과 Puzachenko에 의해 72 Meles meles (Linnaeus) 오소리 Meles leucurus amurensis Schrenck 204 유럽 오소리와 아시아 오소리의 오소리 분류적 위치 확인, 아시아 오소 리는 M. leucurus 그룹으로 분리 (Abramov and Puzachenko, 2013). 한국의 포유동물 (Yoon et al., 2004)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resent study 비 고 Scientific name Korean name Abramov와 Baryshnikov는 기존 의 문헌을 바탕으로 인접지역인 73 Mustela nivalis Linnaeus 무산쇠족제비 Mustela nivalis mosanensis Mori 무산쇠족제비 몽골의 집단과 몸체의 크기가 다름을 근거로 한반도 서식종을 아종으로 정리(Abramov and Baryshnikov, 2000). Mustela eversmanii Lesson 74 검은다리족제 비 북한 평양시에서 1996년 2월에 처음 채집 보고된 것으로 Kim 등이 기재(Kim et al., 2015a). 현재 12개의 아종이 기록되고 있다. 북한은 Won이 ‘조선짐승 류지(1968)’에서 국명 ‘남족제 75 Mustela sibirica Pallas 족제비 Mustela sibirica coreanus (Domaniewski) 비’로 기록, Kim 등은 이 이름 족제비 을 삭제하고 ‘족제비 M. s. manchurica’를 기재(Kim et al., 2015a). 남한의 내륙 족제비와 제주 족제비의 mtDNA 시퀀스를 비교한 Koh 등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정리(Koh et al., 2012a). Abramov 등이 과거 한반도에서 76 77 Mustela sibirica manchurica Brass M. s. coreanus로 기록되던 종은 대륙족제비 M. s. manchurica와 매우 가까운 것으로 보고(Abramov et al., 2018). Koh 등은 M. s. coreana와 M. s. Mustela sibirica quelpartis (Thomas) 제주족제비 205 quelpartis의 mtDNA 비교를 통 해 아종으로 제안(Koh et al., 2012a). 4.2.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조사기법 및 서식지 평가법 제안 4.2.1. 정량적 자료 확보를 위한 선조사의 표준방법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의 포유류 조사는 생태계의 변화를 관 찰하고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한 생물군인 반면 조사자료의 활용에는 어려움이 있었 다. 야외 조사의 가장 큰 목적이 포유류의 종 다양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던 과거에 는 기존의 조사방법으로도 요구를 충족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기술이 발달한 현재는 비용의 문제만 해결된다면 종 다양성 확인에는 카메라 트래핑 방법으로도 충분히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극대화되면서 더욱 중 요하게 요구되고 있는 정보로써 포유류 생물상을 관찰하여 개체군 밀도와 그 변화 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카메라 트래핑 방법을 사용하기에는 비용 면에서 크게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비용을 무시하더라도 국내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카 메라 트래핑 방법으로 관찰할 수 있는 포유류 종이나 면적에는 제한이 많다. 이러 한 이유로 비용의 측면만이 아니라 지형 특성상으로도 국내의 포유류 조사에서 아 직까지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선조사(line survey)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선조사 방법에 대해서 기존의 조사방법이 갖고 있던 한계를 보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한 표준 조사기법을 제안한다. 한국 지형에 맞는 포유류 선조사 표준방법 (Korean Standard Method for Line Survey) 포유류는 대부분이 야행성이고, 회피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야외 조사에서 실체를 확인하는 것보다는 흔적을 확인하는 것이 많이 이용된다. 기본적으로 흔 적조사는 도보로 이동하며 확인되는 흔적을 기록하는데, 조사자에 따라 이동거리 와 이동시간, 조사시간대, 조사를 수행한 기간이 모두 다르다. 개체군 밀도와 변화상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야외조사시 가장 기본이 되는 기 준이 필요한데, 이것을 무엇으로 결정하는지에 따라 목표 하고자 하는 결과를 얻을 206 수 있고, 정량화가 가능하다. 다르게 조사된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단위기준 (standard unit)이 필요하다. 단위기준은 단위시간(unit time), 단위면적(unit area), 단위거 리(unit distan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생태계에서 획득한 정보는 GIS tool을 이용하여 관리되고 있고, 포유류 조사는 선조사를 수행하면서 점 자료(point data)를 획득하는 형태이므로, 단위기준은 ‘조사한 거리(survey distanc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 통계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지형 에 맞는 포유류 선조사 표준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Table 4.4). Table 4.3. Korean Standard Method for Line Survey 1회의 야외조사는 최소 500 m 이상(2 km 이상 최적)을 도보 선조사법으로 수행 선조사법을 수행하며 발견되는 흔적은 모두 개별의 지점(GPS 좌표)으로 기록 포유류 흔적 지점의 기록에는 간단한 메타정보를 함께 기록 야외 조사결과 자료는 조사경로(survey routes)와 포유류 흔적 좌표를 함께 축적 정밀한 자료 확보 필요시, 동일한 지역을 최소 3회 이상 반복 조사 207 1회의 야외조사는 최소 500 m 이상(2 km이상 최적)을 도보 선조사법으로 수행 한다. 우선, 선조사의 전제조건은 선(line)조사이지 면(polygon)조사가 아니라는 점이 다. 물이 흘러가듯이 한번 지나간 지점은 거꾸로 돌아가지 않고 하나의 선상으로 조사하길 권한다(Figure 4.3). 조사거리가 길어질수록 확인할 수 있는 포유류 흔적 수도 많아지겠지만, 조사자의 효율성을 고려한다면, 최소 500 m 이상 조사해야하 며, 가능하다면 조사거리가 2 km 이상 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에 대한 근거는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와 조사거리(track length)의 산점도 그래프 Figure 3.13과 3.1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그래프에서는 포유류의 흔적이 확인되기 시작하는 최소의 조사거리는 500 m 이며, 조사 거리가 증가할수록 포유류 흔적도 증가하지 만 조사거리에 비해 최대의 포유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 2 km~2.5 km 사이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특정한 경우가 아니라면 조사지역에서 인간활동이 많은 장소(임도, 등산객의 이동이 빈번한 등산로 등)는 제외하여 선조 사를 수행하길 권한다. 208 GOOD BAD Figure 4.3. Example of Korean standard method for line survey route. 209 선조사법을 수행하며 발견되는 흔적은 모두 개별의 지점(GPS 좌표)으로 기록 한다. 기존의 조사에서는 종 다양성만을 확인했기 때문에, 동일 종의 흔적이 중복 되어 확인되면 조사자의 판단으로 자료에서 누락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삵 배설물 지점의 재확인율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해당 흔적은 동일 개체일 수도 아 닐 수도 있다. 또한, 모든 흔적좌표를 지속적으로 축적한다면 점이 모여 선을 이루 듯 개체군의 이동이나 밀도 등을 추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위 포식 자인 삵이나 담비 등의 배설물은 모든 지점을 기록한다. 다만, 앞의 통계분석 그래 프 Figure 3.12를 통해 고라니의 흔적을 다른 종처럼 모두 기록하는 것은 오히려 자 료의 신뢰도를 낮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문에, 이것을 보완하여 수집하는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해서 배설물이 팰릿형인 노루, 고라니, 산양 등 흘리듯 (dropping) 배설하는 종들은 반경 5 m 이내의 흔적은 하나의 지점으로 기록하고 팰 릿의 개수를 메타정보로써 추가적으로 함께 기록하길 추천한다. 이 외의 발자국이 나 서식굴 등도 반경 5m 이내의 것은 하나의 지점으로 기록하길 추천한다. 이런 종 들은 서식지의 양호도에 따라 그 흔적의 개수에 대한 빈도차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Figure 4.4). 포유류 흔적 지점의 기록에는 간단한 메타정보를 함께 기록한다. 예를 들어, 삵의 배설물을 동일한 지점에서 오래된 것과 최근 것으로 2개를 확인한 경우에는 지점을 각각 기록하며, 2개의 좌표로 작성하고 오래된 배설물, 최 근에 배설한 배설물 등의 정보를 기록한다. 이 외에 서식 흔적의 종류 등도 함께 기록한다. 하지만, 이러한 메타정보에 주변 지형이나 특징(산림의 구성 등)도 포함 하여 판단하고 기록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포유류 조사는 능선, 계곡, 산림의 사면 210 등을 이동하면서 기록하기 때문에 이러한 topograph에 해당하는 자료는 야외 조사 이후, 실내에서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른 방법(항공사진, 임상도, 식생 등)으로 확보 하여 사용하면 된다. A total of 8 field sign points (e.g. leopard cat, martes) A total of 2 field sign points (e.g. roe, deer, goral) Figure 4.4. Examples of recording methods of discovered mammal traces. 211 야외 조사결과 자료는 조사경로(survey routes)와 포유류 흔적 좌표를 함께 축적 해야 한다. GPS tool에서 이용할 수 있는 KML, GPX, GDB 형식의 조사경로(survey route)에 는 조사거리와 고도, 시간, 도보속도 등의 정보도 함께 저장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량적 자료의 축적에는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 이 track 데이터를 바탕으로 포유 류 서식에 대한 출현 및 비출현 자료가 생성될 수 있으며, 서식지 적합성 예측 등 의 모델링 분석에는 출현자료만큼 비출현자료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밀한 자료확보 필요시, 동일한 지역을 최소 3회 이상 반복조사한다. 환경부의 전국자연환경조사까지는 도엽을 9개로 격자화 하여 각 격자를 1회 씩만 조사할 수밖에 없는 조건이다. 해당 도엽의 조사일수가 8일~10일이고 (2019년 부터 7일로 변경), 해당 지역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거리와 시간을 포함하면 고 도가 낮거나 진입이 용이한 산림을 대상으로만 1회 조사가 가능하다. 하지만, 야생 포유류의 실제 서식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1회 조사만으로는 해당 야생동물이 잠시 지나가는 것이였는지, 주 서식지인 것인지 판단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수 행한 동일 지역의 반복조사 결과인 Table 3.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야생 포유류의 개체군 밀도 또는 실제 서식지의 범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최소 3회 이상의 반복 조사가 필요하다. 212 4.2.2. 야생 포유류 서식지 이용 지수 (WHUI, Wildmammal Habitat Usage Index) 20세기 이후 지구의 생태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기 시작하며, 생태계 서비 스와 생태계 가치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생태계서비스는 인간이 필요로 하여 만족 하는 생산물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태계의 능력으로 정의하며(de Groot et al., 2010), 그 안에 생태계 가치도 포함된다. 이 개념은 생태계의 경제적 측면을 강조한 것으 로 생물다양성을 가치평가 항목 중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IPBES, 2018). 생물다양 성 가치에는 서식처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나(Leh et al., 2013; Baral et al., 2014), 이 방법들은 인간의 토지이용과 식물재배를 기반으로 하는 경제학적인 상대적 평가가 대부분이다. 게다가 서식지를 평가하는 것은 개발사업과 연관되어 주로 서식지 훼손정도 또는 생물 종의 서식지 수용능력 등을 예측하기 위해서 개발 되었다(노백호 et al., 2011). 이러한 서식지 평가 외에 생물다양성 가치에 종 다양성 을 평가항목으로 추가하여 특정 종의 존재 유무를 가치로써 포함시키기도 한다 (Kontogianni et al., 2012; Jeon et al., 2014). 국내에서는 생태계서비스 (생태가치) 평가 방법에서 문화서비스 항목에 ‘멸종위기야생생물’과 ‘천연기념물’을 평가 세부항목으 로 포함하였다(오우석 et al., 2015). 하지만, 이러한 특정 종의 존재 유무라는 정성적 인 가치만으로 다양한 생물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유지되는 생태계 또는 서식지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부족하다. 때문에, 특정 지역의 가치 평가에는 주로 야생 생물의 서식지 판단이 기준으 로 많이 사용되는데 이것을 위한 서식지 평가법도 영국과 미국 등에서는 이미 개발 되어 사용하고 있다(노백호 et al., 2011). 이 서식환경평가 유형으로는 3가지를 비교 할 수 있는데(Figure 4.5), 이 중에서도 서식지 적합성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는 습지나 연못과 같은 수환경이 포함된 생태계에서 생물 종의 서식환경 질을 나타낸다. 이 HSI는 10개의 중요 서식지 기준을 바탕으로 각 기준에 0.1점부터 1점 213 까지 부여하고 이들의 합계를 10으로 나누어 도출하며, 상세한 수식은 Figure 4.6에 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부여하는 점수는 전문가에 의해 주관적으로 도출된다. 예 를들어, 희귀 도롱뇽 중 하나인 Triturus cristatus 종의 서식을 위한 장소에서 0.43 이 상이라는 점수는 이 종의 서식지로 적합한 것으로 평가한다(Oldham et al., 2000). 하 지만, 이것은 Triturus cristatus 종이 실제 서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HSI 점수가 높다고 해당 종이 서식하고 있는것도 HSI 점수가 낮다고해서 서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HSI는 종의 실제 서식유무를 반영하는 것은 아 니다. 적용모델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Habitat Suitability Conditional Habitat Suitability Mixed 구분 전문가지식 기반모형 통계분석 기반모형 통합적 서식지 모형 평가기간 짧은 개발기간 전제조건 분야별 전문가 확보 자료형태 대상종 분석방법 비고 오랜 개발기간 (현지조사) 오랜 개발기간 생물종의 조사자, 연구자가 분포현황자료 확보 많은 종 전문가 의견, 현지조사, 통계 및 서술형태, 통계/GIS 서술형태 GIS 자료 자료 희귀종 보편종 결정수 접근방식, 회귀분석 퍼지이론 서식지 조사·연구 자료가 많은 종 회귀분석, GIS분석 경험모형 적합성지수모형 Figure 4.5.Type classification of habitat environment evaluation by No et al.(노백호 et al., 2011) 214 HSI = (SI1 + SI2 + SI3+ SI4+ SI5+ SI6+ SI7+ SI8+ SI9+ SI10)1/10 HSI = Habitat Suitability Index; SI = Suitability indices (expressed as values between 0 and 1) in respect of each of the key habitat features, distinguished by subscripts as follows: 1, geographic location (evaluation of location relative to the map of national distribution); 2, pond area (m2); 3, pond permanence (years of drying out per decade); 4, water quality (via rule-base on extent of eutrophication); 5, shade (% of perimeter affected); 6, waterfowl (resident birds using the pond per 1 000 m 2); 7 fish (evaluation of impact using a rule-base); 8, pond density (pond density per km2); 9, terrestrial habitat (% "newtfriendly habitat" within 500 m); 1 0, macrophyte cover (% plant cover). Figure 4.6. Calculation of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Oldham et al., 2000). 본 연구에서는 HSI처럼 서식지를 평가하지만 HSI의 단점을 보완하여 포유류 의 실제 서식을 바탕으로 평가 할 수 있는 지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 지수는 야생 포유류가 해당 지역을 서식지로써 얼마나 빈번하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파악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므로 ‘야생 포유류 서식지 이용 지수 (WHUI, Wildmammal Habitat Usage Index)’라 부른다(Figure 4.7). 이 WHUI는 3구간으로 구분되고 1점부터 3점까지 점수가 부여된다. 각 구간 은 현지의 야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야생 포유류가 서식지로 이용하는 수치를 반영하여 평가된다. WHUI 수식은 Table 4.6과 같으며, 이 수식으로 얻어진 값을 3 구간 중 해당하는 구간의 값으로 평가하면 해당 지역의 야생 포유류 서식지로써 의 중요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WHUI에서 A구간(3점)은 B구간에 비해 야생 포유류가 서식지로 빈번하게 사용하는 곳으로 운문산과 같이 보호 가치가 아주 215 높은 지역이라 판단할 수 있으며, B구간(2점)은 야생 포유류가 일반적인 서식지로 사용하는 지역이며, C구간(1점)은 B구간에 비해 야생 포유류가 서식지로 잘 이용 하지 않는 지역으로 인간의 활동이 너무 많거나 황폐한 곳이라 판단할 수 있다. Table 4.4. Calculation of theWildmammal Habitat Usage Index (WHUI) WHUI = FS / km value 1 = FS/km ≤ 2.2; value 2 = 2.3 ≤ FS/km ≤ 5.5; value 3 = 5.6 ≤ FS/km WHUI = Wildmammal Habitat Usage Index (expressed as values between 1 and 3); FS = number of mammal field signs; km = survey length or track length Figure 4.7. A diagram of the Wildmammal Habitat Usage Index (WHUI). 216 우리나라는 전국에서 토지개발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어 생태계 교란이 지 속적으로 발생하는 조건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보통의 일반적인 야생 포유류 서식 지로 평가할 수 있는 B구간을 전체의 50%로 선정하여 2점을 부여하고, 보호지역으 로써 가치가 큰 A구간을 전체의 상위 25%로 선정하고 3점을 부여했다. B구간인 2 점에 속하는 지역은 추가적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 또는 ‘천연기념물’ 등의 법정보 호종 서식에 따라 보호가치가 올라갈 것이다. 서식지 평가를 위해 사용된 기존의 HSI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WHUI를 비 교하면 Table 4.5과 같다. Table 4.5. Comparison table of HSI and WHUI 적용모델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평가기간 짧은 기간 평가지역 수생태계 육상생태계 대상종 희귀종 보편종 전제조건 분야별 전문가 확보 분야별 전문가 확보 자료형태 전문가 의견, 서술형태 서식 흔적좌표, survey track 자료구분 주관적 객관적 수식 평가 비고 Wildmammal Habitat Usage Index (WHUI) 짧은 기간 (현지조사) HSI = (SI1 + SI2 + SI3+ SI4+ SI5+ SI6+ SI7+ SI8+ SI9+ SI10)1/10 WHUI = FS / km 0.1~1 A, B, C 1에 가까울수록 서식지 적합 높은 점수는 서식지 이용 많음 실제 종의 서식 무관 실제 종의 서식 반영 217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WHUI와 HSI의 가장 큰 차이점 은 대상종과 자료의 객관성 및 실제 종의 서식을 반영하는가로 볼 수 있다. WHUI 는 HSI에서 반영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보편종을 포함하여 서식지를 평가하며, 전문 가의 주관적 견해가 아닌 해당 지역의 서식 흔적수라는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치를 도출한다. 또한, 대상 지역에 실제 서식하는 종의 상태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서식 가능성에 대해 추정하는 HSI와 큰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2018년 포유류 야외 조사결과에 WHUI를 적용해보았다 (Table 4.6). 그 결과, 강원과 경남, 경북은 전북에 비해 야생 포유류의 서식지 이용 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야생 포유류의 서식지 이용이 가장 낮은 조사지역 은 전북의 안천 도엽으로 진안군과 무주군이 걸쳐있는 지역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조사 당시에 산 정상부까지 밭으로 이용하여 인간의 활동이 많았던 곳이었다. 이러 한 결과로도 km당 흔적수(number of field signs / km)로 간단하게 분석한 WHUI의 서 식지 평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4.6. Result of WHUI by survey result from 2018 행정 구역 강원 도엽명 조사거리 (km) 확인된 종 수 WHUI (value) 4.506 8 A (3) 9.429 7 B (2) 진조 경남 웅양 4.155 8 A (3) 경북 대덕 2.804 8 A (3) 안천 5.862 5 C (1) 적상 2.922 6 B (2) 전북 218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선조사 표준방법을 사용하여 정량적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km당 흔적수로 분석하여 확보한 결과물을 근거로 야생 포유류 서식지 이용 지수(WHUI)를 얻는다면 각 조사지역에 대한 객관적인 상대적 비교가 가능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와 같은 야생 포유류의 정량적 조사결과는 생태계서비 스 (생태가치) 평가 방법에서 문화서비스 항목에 법정보호종 등 특정 종의 평가만 이 아닌 서식지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19 참고문헌 [1] Abe, H., 1967. Classification and biology of Japanese Insectivora (Mammalia). 1. Studies on variation and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Hokkaido University 55, 191. [2] Abe, H., 1995. Revision of the Asian moles of the genus Mogera. Journal of the Mammalogical Society of Japan 20, 51. [3] Abramov, A., Baryshnikov, G., 2000. Geographic variation and intraspecific taxonomy of weasel Mustela nivalis (Carnivora, Mustelidae). Zoosystematica Rossica 8, 365-402. [4] Abramov, A., Puzachenko, A., 2013. The taxonomic status of badgers (Mammalia, Mustelidae) from Southwest Asia based on cranial morphometrics, with the redescription of Meles canescens. Zootaxa 3681, 44-58. [5] Abramov, A., Puzachenko, A., Masuda, R., 2018. Cranial Variation in the Siberian Weasel Mustela sibirica (Carnivora, Mustelidae) and its Possible Taxonomic Implications. Zoological Studies 57, 1-14. [6] Abramov, A., Rozhnov, V., Morozov, P.N., 2007. Notes on mammals of the Ngoc Linh Nature Reserve (Vietnam, Kon Tum Province). Russian Journal of Theriology 5, 85-92. [7] Aguilar, A., 2002.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In: Perrin, W.F., Würsig, B.G., Thewissen, J.G.M. (Eds.),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pp. 433-437. [8] Allen, G.M., 1923. New Chinese insectivores. American Museum Novitates 100, 1. [9] Allen, G.M., Granger, W., 1938. Natural History of Central Asia. The Mammals of China and Mongolia. Part I.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ew York. [10] Allen, J.A., 1902. The hair seals (family Phocidae) of the North Pacific Ocean and Bering Se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ew York, pp. 459-514. [11] Allen, J.A., 1903. Report on Mammals collected in N.E. Siberia by the Jesup N. Pacific Expedition, with field-notes by N. G. Buxton.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xix, 101. [12] Allen, J.A., Andrews, R.C., 1913. Mammals collected in Kore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32, 427-436. [13] Ancrenaz, M., Hearn, A.J., Ross, J., et al., 2012. Handbook for wildlife monitoring using camera-traps. BBEC II Secretariat, Sabah, Malaysia [14] Anderson, J., 1878. Anatomical and zoological research; comprising an account of 220 zoological results of two expeditions to western Yunnan in 1868 and 1875. London. [15] Andrews, R.C., 1911. A new porpoise from Japan.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ew York, pp. 31-51. [16] Archer, F.I., Morin, P.A., Hancock-Hanser, B.L., et al., 2013. Mitogenomic Phylogenetics of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spp.): Genetic Evidence for Revision of Subspecies. PLOS ONE 8, e63396. [17] Asher, R.J., Helgen, K.M., 2010. Nomenclature and placental mammal phylogeny. BMC Evolutionary Biology 10, 102. [18] Büechner, E., 1889. Vol. I. Säugethiere. Pt. I. Rodentia, Canivora. Wissenschaftliche Resultate der von N. M. Przewalski nach central-Asien unternommenen Reisen, auf Kosten einer von seiner Kaiserlichen Hoheit dem Grossfürsten Thronfolger Nikolai Alexandrowitsch gespendeten Summe herausgegeben von der Kaiserli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oologischer Theil. St. Petersburg, p. 49. [19] Baker, R.J., Bradley, R.D., 2006. Speciation in Mammals and the Genetic Species Concept. J.Mammal. 87, 643-662. [20] Baral, H., Keenan, R.J., Sharma, S.K., et al., 2014. Spatial assessment and mapping of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priorities in a heavily modified and fragmented production landscape in north-central Victoria, Australia. Ecological Indicators 36, 552-562. [21] Barclay, E.N., 1935. The roe-deer of Kore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9 :v.16, 626-627. [22] Barrett-Hamilton, G.E.H., 1899. Note on the Harvest-mice of the Palaearctic region.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7 3, 344. [23] Barrett-Hamilton, G.E.H., 1900. On geographical and individual variation in Mus sylvaticus and its Allies.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 387. [24] Baykov, 1925. Manchzhur. Tigr. 3. [25] Berkenhout, J., 1769. Outlines of the natural histor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London Printed for P. Elmsly, Successor to Mr. Vaillant. [26] Bianchi, 1916. Annuaire Mus. Zool. Acad. Sci. Petrograd, 21, 28. [27] Bider, J.R., 1968. Animal Activity in Uncontrolled Terrestrial Communities as Determined by a Sand Transect Technique. Ecological Monographs 38, 269-308. [28] Birula, 1918. Otchet deyatel'nosti Ross. Ak. Nauk, 82. [29] Blainville, H.d., 1817. Nouveau dictionnaire d'histoire naturelle. 221 [30] Blainville, H.d., 1838. Sur les cachalots. Ann. fr. étrang. Anat. Physiol. 2, 335-337. [31] Blyth, E., 1861. Report of Curator, Zoological Department, May and June. The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30, 90-98. [32] Bobrinskii, 1926. C.R. Acad. Sci. U.R.S.S. A, 98. [33] Bonhote, J.L., 1899. On a new species of Tamias from Eastern Siberi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7 4, 385. [34] Bonnaterre, 1789. Tabl. Encycl. et Method d. Trois Regnes de la Nature. Cetologie, 5. [35] Borowski, G.H., 1781. Gemeinnüzzige Naturschichte des Tierreichs. G. L. Lange, Berlin and Stralsund. 2, 1-196. [36] Bradley, R.D., Baker, R.J., 2001. A Test of the Genetic Species Concept: Cytochrome-b Sequences and Mammals. J.Mammal. 82, 960-973. [37] Brass, 1904. Nutzbare. Tiere Ostasiens, 4-5. [38] Brass, 1911. Reiche Pelze. [39] Burgin, C.J., Colella, J.P., Kahn, P.L., et al., 2018. How many species of mammals are there? J.Mammal. 99, 1-14. [40] Burnham, P.K., Anderson, R.D., Laake, J., 1980. Estimation of Density from Line Transect Sampling of Biological Populations. [41] Carleton, M.D., Gardner, A.L., Pavlinov, I.Y., et al., 2014. The valid generic name for redbacked voles (Muroidea: Cricetidae: Arvicolinae): restatement of the case for Myodes Pallas, 1811. J.Mammal. 95, 943-959. [42] Carleton, M.D., Musser, G.G., Pavlinov, I.Y., 2003. Myodes Pallas, 1811, is the valid name for the genus of red-backed voles. [43] Chaworth-Musters, J.L., 1933. A note on the synonymy of Cricetulus barabensis Pallas.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10 12, 221. [44] Chen, M.-T., Liang, Y.-J., Kuo, C.-C., et al., 2016. Home Ranges, Movements and Activity Patterns of Leopard Cats ( Prionailurus bengalensis ) and Threats to Them in Taiwan. Mammal Study 41, 77-86. [45] Choi, T.-Y., Kwon, H.-S., Woo, D.-G., et al., 2012.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¹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 322-332. [46] Corbet, G.B., Hill, J.E., 1991. A world list of mammalian species. British Museum (Natural 222 History), London. [47] Coulson, J.C., 2001. To monitor broad changes in the populations of rabbits and deer. In: ECN (Ed.), The UK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Protocols for Standard Measurements at Terrestrial Sites, Lancaster UK. [48] Cunha, H.A., de Castro, R.L., Secchi, E.R., et al., 2015.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Common Dolphins (Delphinus sp.) in the Southwestern Atlantic: Testing the Two Species Hypothesis in Sympatry. PLOS ONE 10, e0140251. [49] Cuvier, F.G., 1812. Rapport fait à la classe des Sciences mathématiques et physiques, sur divers Cétacés pris sur les côtes de France, pricipalement sur ceux qui sont échoués près de Paimpol, le 7 janvier 1812. Annales du Muséum d'Histoire naturelle 19, 1-16. [50] Cuvier, G., 1823. Recherches sur les ossemens fossiles. p. 472. [51] Dall, W.H., 1873. Descriptions of three new species of Cetacea, from the coast of California. Proceedings of th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ser. 1 v. 5 1873-74, 12-14. [52] de Groot, R.S., Alkemade, R., Braat, L., et al., 2010. Challenges in integrating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and values in landscape planning,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Ecological Complexity 7, 260-272. [53] de Winton, W.E., 1899. On Chinese mammals, principally from western Sechuen.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 572. [54] Demeré, T.A., 1986. THE FOSSIL WHALE, BALAENOPTERA DAVIDSONII (COPE 1872), WITH A REVIEW OF OTHER NEOGENE SPECIES OF BALAENOPTERA (CETACEA: MYSTICETI). Marine Mammal Science 2, 277-298. [55] Dobson, G.E., 1890a. IV. Descriptions of new species of Crocidura from the Amur region.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6 5, 31. [56] Dobson, G.E., 1890b. XIX.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Sorex from Saghalien Island.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6 5, 155. [57] Domaniewski, 1926. Ann. Zool. Mus. Polon. 5, 55. [58] Durbin, L.S., Venkataraman, A., Hedges, S., et al., 2004. Dhole (Cuon alpinus). In: SilleroZubiri, C.H., M.; Macdonald, D.W. (Ed.),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pp. 210-218. [59] ECN, 2016. ENC(UK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ECN Central Coordination Unit, Lancaster UK. 223 [60] Ellerman, J.R., Hayman, R.W., Holt, G.W.C., 1940. The families and genera of living rodents With a list of named forms (1758-1936). London :British Museum,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61] Ellerman, J.R., Hayman, R.W., Holt, G.W.C., 1941. The families and genera of living rodents With a list of named forms (1758-1936). London :British Museum,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62] Ellerman, J.R., Morrison-Scott, T.C.S., 1951.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London. [63] Elliot, D.G., 1871. Remarks on various species of Felidae, with a description of a species from North-western Siberia.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871, 758-761. [64] Environment, M.o., 2016a.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public of Korea. [65] Environment, M.o., 2016b.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public of Korea. [66] Environment, M.o.t., 2016c. Biodiversity Center of Japan. Jap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67] Erxleben, J.C.P., 1777. Io. Christ. Polyc. Erxleben Phil. D. ... Systema regni animalis per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varietates : cvm synonymia et historia animalivm : Classis I. Mammalia. Impensis Weygandianis, Lipsiae :. [68] Escorza-Treviño, S., Dizon, A.E., Pastene, L.A., 2004. Molecular Analyses of the Truei and Dalli Morphotypes of Dall'S Porpoise (Phocoenoides dalli). J.Mammal. 85, 347-355. [69] Eversmann, E.F., 1845. Vespertiliones in promontoriis Uralensibus tractibusque confinibus observati. Bull. Soc. impér. nat. Moscou 18, 505. [70] Feng, Z.-J., Zheng, C.-L., Wu, J.-Y., 1983. A new subspecies of Apodemus peninsulae from Qinghai-Xizang (Tibet) Plateau, China. Acta Zootaxonomica Sinica 8, 108. [71] Francl, K.E., Ford, W.M., Castleberry, S.B., 2002. Relative efficiency of three small mammal traps in central Appalachian wetlands. Georgia Journal of Science 60, 194. [72] Funakoshi, K., Kunisaki, T., 2000. On the validity of Tadarida latouchei, with reference to morphological divergence among T. latouchei, T. insignis and T. teniotis (Chiroptera, Molossidae). Mammal Study 25, 115-123. [73] Gentry, A., Clutton-Brock, J., Groves, C.P., 2004. The naming of wild animal species and their domestic derivativ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1, 645-651. [74] Geoffroy, E., 1803. Catalogue des mammiferes du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224 Paris. [75] Gerbe, 1880. Bull. Soc. Zool. France 5, 71. [76] Giglioli, H.H.E.H., Salvadori, T., 1887. Brief Notes on the Fauna of Corea and the adjoining coast of Manchuria.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580. [77] Gill, T., 1865. On two species of Delphinidae, from California, in the Smithsonian Institution.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Sept. 1865, 177178. [78] Gmelin, J.F., Beer, G.E., Gmelin, J.F., 1788. Caroli a Linne.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ipsiae Leipzig : Impensis Georg. Emanuel. Beer. [79] Goodwin, G.G., 1933. Mammals Collected in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by the Morden-Graves North Asiatic Expeidito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Hare from the Amur River. American Museum Novitates 681, 1. [80] Gray, J.E., 1828. Original figures and short systematic descriptions of new and unfigured animals. Spicilegia Zoologica, 1-48. [81] Gray, J.E., 1846. Zoology of the voyage of H.M.S. Erebus and Terror. Volume 1: Mammalia and Birds. [82] Gray, J.E., 1850. Catalogue of the specimens of Mammali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Part 1. Cetacea. [83] Gray, J.E., 1863. Notice of the Chanco, or Golden Wolf (Canis chanco), from Chinese Tartary.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863, 94. [84] Gray, J.E., 1874. Description of the skull of a new species of dolphin (Feresa attenuat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4 :v.14, 238-239. [85] Grubb, P., 2005. Order Artiodactyla. In: Wilson, D.E.,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Volume 1. Third editi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pp. 637-722. [86] Han, S.H., Ohdachi, S., Abe, H., 2000. New records of two Sorex species (Soricidae) from South Korea. Mammal Study 25, 141. [87] Hardwicke, T., 1825. Descriptions of two species of Antelope from India. Transactions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14, 518-524. [88] Harris, R.B., Duckworth, J.W., 2015. Hydropotes inerm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225 [89] Heptner, V.G., 1969. Zoologichesky Zhurnal 48, 1265. [90] Heptner, V.G., Sludskii, A.A., 1988. Mammals of the Soviet Union, 1972.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Washington D.C. [91] Hershkovitz, P., 1966. Catalog of living whales.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Bulletin no.246 (1966), 227. [92] Heude, P.M., 1884. C.R. Acad. Sci. Paris 98, 1017. [93] Heude, P.M., 1888. Mem. H.N. Emp. Chin. 2, 54. [94] Hodgson, B.H., 1835. Synopsis of the Vespertilionidae of Nipal. The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4, 699-700. [95] Hollister, N., 1911. A new musk-deer from Korea.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24, 1-2. [96] Hollister, N., 1912. New mammals from the highlands of Siberia. Smithsonian miscellaneous collections v.60 (1913), 6. [97] Hollister, N., 1913. Two new mammals from the Siberian Altai. Smithsonian Miscellaneous Collections 60, 1. [98] Horton, T., Kroh, A., Ahyong, S., et al., 2018.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WoRMS). WoRMS Editorial Board. [99] Howell, A.B., 1929. Mammals from China in the collection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75, 1. [100] Hutterer, R., 1993. Order Insectivora. In: Wilson, D.E.,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econd Edition. Smith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and London, p. 69. [101] Hutterer, R., 2005. Order Erinaceomorpha, Order Soricomorpha. In: Wilson, D.E.,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Volume 1. Third editi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p. 212. [102] ICZN, 2003. The Bulletin of zoological nomenclature. International Trust for Zoological Nomenclature., London. [103] Imaizumi, Y., 1955. Systematic notes on the Korean and Japanese bats of Pipistrellus savii group. Bull. Natn. Sci. Mus., Tokyo 2, 54-63. [104] Imaizumi, Y., Yoshiyuki, M., 1968. A new species of insectivorous bat of the genus Nyctalus from Japan. Bull. Nat. Sci. Mus. Tokyo 11, 127-134. [105] Imaizumi, Y., Yoshiyuki, M., 1969. Results of the spele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226 1966 XV. Cave-roosting chiropterans from South Korea. Bull. Nat. Sci. Mus. Tokyo 12, 255274. [106]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 1974. The Bulletin of zoological nomenclature. International Trust for Zoological Nomenclature., London. [107] IPBES, 2018. IPBES Guide on the production of assessments. Secretariat of the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Bonn, Germany, p. 44. [108] IUCN, 2017.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 2017.3).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109] Jackson, J.A., Steel, D.J., Beerli, P., et al., 2014. Global diversity and oceanic divergence of humpback whales (Megaptera novaeangliae). Proceedings. Biological sciences 281. [110] Jackson, S., 2012. Gliding mammals of the world. . CSIRO PUBLISHING, Australia. [111] Jansen, P.A., Forrester, T.D., McShea, W.J., 2014. Protocol for camera-trap surveys of mammals at CTFS-ForestGEO sites. p. 15. [112] Jefferson, T.A., Hung, S.K., 2004. Neophocaena phocaenoides. Mammalian Species 746, 1-12. [113] Jefferson, T.A., Wang, J.Y., 2011. Revision of the taxonomy of finless porpoises (genus Neophocaena): The existence of two species. Journal of Marine Animals and Their Ecology 4, 3-16. [114] Jeon, S.W., Kim, J., Jung, H., et al., 2014.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Endangered Mammals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Focused on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 111-122. [115] Jiang, X.-l., Hoffmann, R.S., 2001. A revision of the white-toothed shrews (Crocidura) of southern China. J.Mammal. 82, 1059. [116] Johnson, D.H., Jones, J.K., Jr., 1955a. A new chipmunk from Korea. Proc.Biol.Soc.Wash. 68, 175. [117] Johnson, D.H., Jones, J.K., Jr., 1955b. Three new rodents of the genera Micromys and Apodemus from Korea. Proc.Biol.Soc.Wash. 68, 167. [118] Jones, J.K., Jr., 1956. Comments on the taxonomic status of Apodemus peninsulae, with description of a new sub-species from North China. Publications of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University of Kansas 9, 337. [119] Jones, J.K., Jr., Johnson, D.H., 1955. A new reed vole, genus Microtus, from central Korea. Proc.Biol.Soc.Wash. 68, 193. 227 [120] Jones, J.K., Jr., Johnson, D.H., 1960. Review of the insectivores of Korea. University of Kansas Publications of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9, 549. [121] Jones, J.K., Jr., Johnson, D.H., 1965. Synopsis of the lagomorphs and rodents of Korea. University of Kansas Publications of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16, 357. [122] Jones, K.E., Safi, K., 2011. Ecology and evolution of mammalian biodiversity.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6, 2451-2461. [123] Kaneko, Y., 1990. Identification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Clethrionomys rufocanus and Eothenomys regulus from USSR, northeast China, and Korea in comparison with C. rufocanus from Finland. Journal of the Mammalogical Society of Japan 14, 129. [124] Kaneko, Y., Maeda, K., 2002. A list of scientific names and the types of mammals published by Japanese researchers. Honyurui Kagaku 42, 1-21. [125] Kaneko, Y., Nakata, K., Saitoh, T., et al., 1998. The biology of the vole Clethrionomys rufocanus: a review. Researches on Population Ecology (Kyoto) 40, 21. [126] Kang, J.-H., Kim, Y.-K., Yeon, M.-H., 2013. Applic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for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irds Observed in Namdaecheon River, Muju-gun, Jeollabuk-do,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 467-479. [127] Kastschenko, N., 1905. Observations on mammals from W. Siberia & Turkestan. Tomsk University 27, 25. [128] Kawada, S.-i., Harada, M., Obara, Y., et al., 2001. Karyosystematic analysis of Japanese talpine moles in the genera Euroscaptor and Mogera (Insectivora, Talpidae). Zoological Science (Tokyo) 18, 1003. [129] Kawai, K., Nikaido, M., Harada, M., et al., 2003. The status of the Japanese and East Asian bats of the genus Myotis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sequences. Mol.Phylogenet.Evol. 28, 297-307. [130] Kerr, R., LinneÌ• , C.v., Archer, J., et al., 1792. The animal kingdom, or zoological system, of the celebrated Sir Charles Linnaeus. Class I. Mammalia. A. Strahan and T. Cadell London and W. Creech Edinburgh. [131] Keyserling, A.G.v., Blasius, I.H., 1839. Uebersicht der Gattungs- und Artcharaktere der europaichen Fledermause. Arch. Naturgesch 5, 293-331. [132] Kim, C.-H., Kang, J.-H., Kim, M., 2013. Statu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 725-738. [133] Kim, H.W., Choi, S.-G., Kim, Z.G., et al., 2010. First record of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in Korean waters. Animal Cells and Systems 14, 213-219. 228 [134] Kim, K.J., Ju, J.S., Ham, J.B., et al., 2016. Red Data Book of DPRK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company, DPR Korea. [135] Kim, M.S., Ju, J.S., Oh, S.I., et al., 2015a. Joseondongmoolji.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company, DPR Korea. [136] Kim, Y.-K., Park, S.-G., Kim, T.-W., et al., 2015b. Distribution Statu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Myotis aurascens in Jeju Island. Journal of Life Science 25, 1354-1361. [137] Kim, Y.K., Lee, C.M., Lee, J.B., et al., 2012.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opheline Larval Occurrence in Gimpo,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51, 305-312. [138] Kim, Z.G., Lee, J.U., Baik, C.I., et al., 2000. Whales and Dolhins off Korean Peninsual((한반도 연안)고래류).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국립수산진흥원), Pusan City. [139] Kishida, K., 1924. Monograph of Japanese mammals. Ornithological Society of Japan. [140] Kishida, K., 1929. A synopsis of Corean hamsters. Lansania, Tokyo 1, 1. [141] Kishida, K., Mori, T., 1931. Dobutsugaku zasshi.(Zoological magazine, Tokyo) 43, 377. [142] Kitchener, A.C., Breitenmoser-Würsten, C., Eizirik, E., et al., 2017.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Cat News, 80. [143] Koh, H.-S., Jang, K.-H., Oh, J.-G., et al., 2012a. Lack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 Divergence between Two Subspecies of the Siberian Weasel from Korea: Mustela sibirica coreanu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M. s. quelpartis from Jeju Island.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28, 133-136. [144] Koh, H.S., 1992. Systematic studies on Korean rodents: 6. Analyses of morphometric characters, chromosomal karyotypes and mitochondrial DNA in two species of genus Rattus.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8, 231. [145] Koh, H.S., Eger, J., Oh, J.G., et al., 2013. Genetic distinctiveness of the greater longtailed hamster, Tscherskia triton nestor (Rodentia: Mammalia), from Jeju Island, Korea: cytochrome oxidase I and cytochrome b sequence analyses. Animal Cells and Systems 17, 31. [146] Koh, H.S., Jang, K.H., 2010. Genetic Distinctness of the Korean Hare, Lepus coreanus (Mammalia, Lagomorpha), Revealed by Nuclear Thyroglobulin Gene and mtDNA Control Region Sequences. Biochem.Genet. 48, 706-710. [147] Koh, H.S., Jang, K.H., Han, E.D., et al., 2012b. Lack of genetic divergence between Mogera wogura coreana from Korea and M-w. robusta from Northeastern China and adjacent Russia (Soricomorpha: Mammalia), reexamined from 12S rRNA and cytochrome b sequences. 229 Animal Cells and Systems 16, 408. [148] Koh, H.S., Jang, K.H., In, S.T., et al., 2012c. Genetic Distinctness of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Soricomorpha: Mammalia) from Jeju Island in Korea: Cytochrome Oxidase I and Cytochrome b Sequence Analyses.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28, 215. [149] Koh, H.S., Jang, K.H., Park, N.J., et al., 2009a. Genetic diversity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 (Mammalia, Rodentia) from Korea. Bulletin of the Natural Sciences, Korea 23, 51. [150] Koh, H.S., Jin, Y., Yang, B.G., et al., 2008. Taxonomic status of Siberian flying squirrel from Korea (Pteromys volans aluco Thomas 1907).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24, 169. [151] Koh, H.S., Lee, W.-J., Kocher, T.D., 2000. The genetic relationships of two subspecies of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and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Heredity 85, 30. [152] Koh, H.S., Randi, E., 2001. Genetic distinction of roe deer {Capreolus pygargus Pallas) sampled in Korea. Zeitschrift für Säugetierkunde : im Auftrage der Deutschen Gesellschaft für Säugetierkunde e.V. 66, 371-375. [153] Koh, H.S., Wang, J., Lee, B.K., et al., 2009b. A phylogroup of the Siberian chipmunk from Korea (Tamias sibiricus barberi) revealed from the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gene. Biochem.Genet. 47, 1. [154] Koh, H.S., Yoo, M.H., Lee, B.G., et al., 2004. Molecular DNA systematic analyses of East Asian mammals: Sequence Variation of cytochrome b Gene and Control Region of Mitochondrial DNA of Common Otter, Lutra lutra lutra L. (Mammalia, Carnivora)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8, 231-233. [155] Koh, H.S., Zhang, M., Bayarlkhagva, D., et al., 2010. Concordant Genetic Distinctness of the Phylogroup of the Siberian Chipmunk from the Korean Peninsula (Tamias sibiricus barberi), Reexamined with Nuclear DNA c-myc Gene Exon 2 and mtDNA Control Region Sequences. Biochem.Genet. 48, 696. [156] Koh, H.S., Zhang, M., Wang, J., et al., 2006. Mitochondrial DNA variation in the red squirrel (Sciurus vulgaris mantchuricus) from Korea and northeast China. Acta Theriologica Sinica 26, 1. [157] Kohli, B.A., Speer, K.A., Kilpatrick, C.W., et al., 2014. Multilocus systematics and nonpunctuated evolution of Holarctic Myodini (Rodentia: Arvicolinae). Mol Phylogenet Evol 76, 18-29. [158] Kontogianni, A., Tourkolias, C., Machleras, A., et al., 2012. Service providing units, existence values and the valuation of endangered species: A methodological test. Ecological 230 Economics 79, 97-104. [159] Kowalczyk, R., 2014. NOBANIS – Invasive Alien Species Fact Sheet – Nyctereutes procyonoides. . [160] Kruskop, S.V., Borisenko, A.V., Ivanova, N.V., et al., 2012. Genetic Diversity of Northeastern Palaearctic Bats as Revealed by DNA Barcodes. Acta Chiropterologica 14, 1-14. [161] Kuhl, 1819. Wetterauische Gesellschaft für die Gesammte Naturkunde zu Hanau 4, 202. [162] Kuroda, N., 1922. Notes on the Mammal Fauna of Tsushima and Iki Islands, Japan. J.Mammal. 3, 42-45. [163] Kuroda, N., 1928. The Mammal fauna of Sakhalin. J.Mammal. 9, 222. [164] Kuroda, N., 1932. A description of an apparently new form of chipmunk from south Kuriles, Japan. J.Mammal. 13, 58. [165] Kuroda, N., 1934. Korean Mammals preserved in the collection, of Marquis Yamashina. J.Mammal. 15, 229. [166] Kuroda, N., 1935. Dobutsugaku zasshi (Zoological Magazine). Tokyo :Tokyo Dobutsu Gakkai. [167] Kuroda, N., 1938. A List of the Japanses Mammals. Tokyo. [168] Kuroda, N., 1939. Mammal fauna of Manchouko preserved in the collection of Marquis Yamashina. Bulletin of the Biogeographical Society Tokyo 9, 1. [169] Kuroda, N., 1941. Descriptions of two apparently new forms of mammals from Saghalien and S.W. Hondo, Japan. Bulletin of the Biogeographical Society Tokyo 11, 113. [170] Kuroda, N., Mori, T., 1923. Two new and rare Mammals from Corea Petaurista, Martes. J.Mammal. 4, 27. [171] Kuzyakin, A.P., 1935. Bulletin de la Société impériale des naturalistes de Moscou. Société impériale des naturalistes de Moscou, Moscou :. [172] Lacépède, B.G.E., 1818. Sur les cétacées de mers voisines du Japon. Mem. Mus. d'Hist. Nat., Paris 4, 469, 473. [173] Lau, A.C.C., Asahara, M., Han, S.Y., et al., 2017. Geographic variation of craniodental morphology of the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East Asia. The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science 79, 144-152. [174] Laxmann, E., 1769. Predigers bey der deutschen Gemeinde zu Barnaul auf den Kolywanischen Bergwerken in Sibirien, Sibirische Briefe. Verlegts Johann Christian Dieterich, Goettingen u.a. 231 [175] Laxmann, E., 1788. Sorex caecutiens. Nova acta Academiae scientiarum imperialis petropolitanae tomus 3, 285. [176] Lee, J.-B., Kim, Y.-K., Bae, Y.-S., 2014. Historical Review and Notes on Small Mammals (Mammalia: Erinaceomorpha, Soricomorpha, Rodentia) in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30, 159-175. [177] Lee, J.-B., Kim, Y.-K., Bae, Y.-S., 2019a. The spatial analysis of leopard cat scats and the grid for the Ecological and Natural Map in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178] Lee, J.-B., Kim, Y.-K., Bae, Y.-S., 2019b. A study of methods for monitoring wild mammals in the Unmunsan,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179] Lee, M.Y., Park, S.K., Hong, Y.J., et al., 2008. Mitochondrial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Siberian flying squirrel (Pteromys volans) populations. Animal Cells and Systems 12, 269. [180] Leh, M.D.K., Matlock, M.D., Cummings, E.C., et al., 2013. Quantifying and mapping multiple ecosystem services change in West Africa.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165, 6-18. [181] Lesson, R.P., 1827. Manuel de mammalogie, ou histoire naturelle des mammiferes Paris. [182] Lesson, R.P., 1828. 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des mammifères et des oiseaux décoverts depuis 1788 jusqu'a nos jours. [183] Lilljeborg, 1861. Förh. Skand. Naturf. Ottende Møde, Kjöbenhavn 1860, 602. [184] Lin, W., Frère, C.H., Karczmarski, L., et al., 2014. Phylogeography of the finless porpoise (genus Neophocaena): testing the stepwise divergence hypothesi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Scientific Reports 4, 6572. [185] Linnaeus, C.v., 1766.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13th ed. Vindobonae Vienna : Typis Ioannis Thomae ... [186] Linnaeus, C.v., Salvii, L., 1758.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10th ed. Holmiae : Impensis, Stockholm. [187] Lissovsky, A., 2014. Taxonomic revision of pikas Ochotona (Lagomorpha, Mammalia) at the species level. Mammalia 78, 199-216. [188] Lissovsky, A., Yang, Q., Pilnikov, A., 2008.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the pikas (Ochotona, Lagomorpha) of alpina-hyperborea group in North-East China and adjacent territories. Russian Journal of Theriology 7, 5-16. 232 [189] Liu, Y.-C., Sun, X., Driscoll, C., et al., 2018. Genome-Wide Evolutionary Analysis of Natural History and Adaptation in the World's Tigers. Current Biology 28, 1-10. [190] Lonnberg, E., 1922. Some remarks about Eastern Hedgehogs.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9 9, 620. [191] Ludt, C.J., Schroeder, W., Rottmann, O., et al., 2004. Mitochondrial DNA phylogeography of red deer (Cervus elaphus). Mol.Phylogenet.Evol. 31, 1064-1083. [192] Luksenburg, J.A., Henriquez, A., Sangster, G., 2015. Molecular and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subspecific identity of Bryde's whales in the southern Caribbean. Marine Mammal Science 31, 1568-1579. [193] Lurz, P.W.W., Gurnell, J., Magris, L., 2005. Sciurus vulgaris. Mammalian Species, 1. [194] Müller, O.F., 1776. Zoologiae Danicae prodromus : seu Animalium Daniae et Norvegiae indigenarum ; characteres, nomina, et synonyma imprimis popularium. typis Hallageriis, Havniae :. [195] Maor, R., Dayan, T., Ferguson-Gow, H., et al., 2017. Temporal niche expansion in mammals from a nocturnal ancestor after dinosaur extinction. Nature Ecology & Evolution 1, 1889-1895. [196] Marchant, J., 2016. Chinese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GB Non Native Species Secretariat (NNSS). Defra, the Scottish Government and the Welsh Assembly Government. [197] Martin, C.O., 2009. Mammalian survey techniques for Level II natural resource inventories on Corps of Engineers projects (Part I). In: Center, U.S.A.E.R.a.D. (Ed.), EMMRP Technical Notes Collection (ERDC TN-EMRRP-SI-34), Vicksburg, MS, pp. 1-27. [198] Matschie, 1907. Wiss. Ergebn. Filchner Exped. nach China 10. [199] Mead, J.I., 1989. Nemorhaedus goral. Mammalian Species, 1-5. [200] Meyen, F.J.F., 1833. Beiträge zur Zoologie, gesammelt auf einer Reise um de Erde. Zweite Abhandlung. Säugethiere. IV. Walle. <i>Cetacea</i>. Verhandlungen der Kaiserlichen Leopoldisnisch-Carolinischen Akademie der Naturforscher 16, 548-610. [201] Miller, G.S., 1901. Descriptions of three new Asiatic Shrews. Proc.Biol.Soc.Wash. 14, 157. [202] Miller, G.S., 1911a. Four new Chinese mammals. Proc.Biol.Soc.Wash. 24, 53-55. [203] Miller, G.S.j., 1914. Two new murine rodents from eastern Asia. Proc.Biol.Soc.Wash. 27, 89. [204] Miller, J.G.S., 1911b. A new Roe-deer from China.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233 of Washington. 24, 231-232. [205] Milne-Edwards, A., 1867. Observations sur quelques Mammiferes du nord de la China. Annales des sciences naturelles, Zoologie 8, 374. [206] Milne-Edwards, A., 1871. Descriptions of new species: footnotes. in David, Armand. Nouvelles Archives du Museum d'histoire naturelles. Paris. 7, 91. [207] Molina, G.I., 1782. Saggio sulla storia naturale del Chili. Bologna MDCCLXXXII, Nella Stamperia de S. Tommaso d' Aquino. [208] Monakhov, V.G., 2011. Martes zibellina (Carnivora: Mustelidae). Mammalian Species 43, 75-86. [209] Montagu, G., 1821. Description of a species of Delphinus, which appears to be new. Memoirs of the Wernerian Natural History Society 3, 75-82. [210] Mori, T., 1922. On two forms of the Korean Hedgehog.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9 10, 614. [211] Mori, T., 1927. On two new Mammals from Korea. Journal of the Chosen Natural History Society, 1. [212] Mori, T., 1930. A new species of Microtus from Korea. Journal of Chosen Natural History Society 10, 53. [213] Mori, T., 1933. Journal of Chosen Natural History Society 16, 4. [214] Mori, T., 1937. On some small mammals from the Island Utsuryo, Chosen. Journal of Chosen Natural History Society 22, 40. [215] Mori, T., 1938. On some small mammals from the Isl. Utsuryo, Chosen (II). Journal of Chosen Natural History Society 23, 16. [216] Motokawa, M., Lin, L.-K., Harada, M., et al., 2003. Morphometric geographic variation in the Asian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hantungensis (Mammalia, Insectivora) in East Asia. Zoological Science (Tokyo) 20, 789. [217] Nehring, A., 1889. Ueber Säugethiere von Wladiwostock in Südost-Siberien. In: Sohn, R.F.u. (Ed.), Sitzungsberichte der Gesellschaft Naturforschender reunde zu Berlin. Gesellschaft Naturforschender Freunde zu, Berlin, [Berlin :, p. 205. [218] Nehring, A., 1891. Morgera robusta n. sp. und Über Meles sp, von Wladiwostock in OstSibirien. Sitzungsberichte der Gesellschaft Naturforschender Freunde zu Berlin, 95. [219] Neill, S.O., Sparrow, B., Thurgate, N., et al., 2015. Fauna Survey Protocols - AusPlots Rangelands Vertebrate Fauna Survey Protocols Manual. NERP Project Team with collaboration 234 from the National Fauna Protocols Working Group, p. 92. [220] NEON, 2017. NEON(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s National Ecological Observatory Network).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USA. [221] NIBR, 2017. The Inventory of National Biological Resources ver.201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22] NIER, 2012.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ethod. In: Environment, M.o. (E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p. 486. [223] Nishiwaki, M., Kamiya, T., 1958. A Beaked Whake Mesoploeen Stranded at Oiso Beach,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24, 445-448. [224] Nyambayar, B., Mix, H., Tsytsulina, K., 2015. Moschus moschifer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225] Ognev, S.I., 1927. A Synopsis of the Russian Bats. J.Mammal. 8, 140-157. [226] Ognev, S.I., 1934. Review of the Flying Squirrels (Pteromys) living in U.S.S.R. Bulletin de la Société des naturalistes de Moscou. Section biologique 43, 303. [227] Ognev, S.I., 1937. A new and remarkable species of shrew (Sorex mirabilis sp. nova). Bulletin de la Société des naturalistes de Moscou. Section biologique 46, 268. [228] Ognev, S.I., 1940. Mammals of eastern Europe and northern Asia. Rodents. The Smithsonian institution U.S.A.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Washington D.C. [229] Ognev, S.J., 1921. Contribution a la classification des mammiferes insectivores de la Russie. Annales du Musee Zoologique Petrograd 1921, 311. [230] Oh, D.-H., Moteki, S., Nakanishi, N., et al., 2010. Effects of Human Activities on Home Range Size and Habitat use of the Tsushima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in a Suburban Area on the Tsushima Islands, Japan.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3, 3-13. [231] Oh, H.-S., 2001. Taxonomic status of the Apodemus agrarius chejuensis population of Cheju Island,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external and cranial characters. 基礎科學硏究 14, 87-105. [232] Oh, H.S., Mori, T., 1998. Taxonomic re-examination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and A. a. chejuensis: Evidence from crossbreeding experiments (Mammalia: Rodentia). Journal-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43, 143-151. [233] Ohdachi, S.D., Abe, H., Oh, H.S., et al., 2005. Morphological relationships among populations in the Sorex caecutiens/shinto group (Eulipotyphla, Soricidae) in east Asia,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ubspecies from Cheju Island, Korea. Mammalian Biology 70, 345. 235 [234] Ohdachi, S.D., Gakkai, N.H., Ishibashi, Y., et al., 2009. The Wild Mammals of Japan. Shoukadoh Book Sellers. [235] Okhotina, M.V., 1993. Subspecies taxonomic revision of Far East shrews (Insectivora, Sorex) with the description of new subspecies. Trudy Zoologicheskogo Instituta 243, 58. [236] Oldham, R.S., Keeble, J., Swan, M.J.S., et al., 2000.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habitat for the great crested newt (Triturus cristatus). Herpetological Journal 10, 143-155. [237] Owen, R., 1846. A history of British fossil mammals, and birds. [238] Owen, R., 1866. On some Indian Cetacea collected by Walter Elliot, Esq. Transactions of the Zoological Society, London 6, 30. [239] Pallas, P.S., 1771. Reise durch verschiedene provinzen des Russischen reichs. Descriptiones animalium. Gedruckt bey der Kayserlichen academie der wissenschaften St. Petersburg. [240] Pallas, P.S., 1773. Reise durch verschiedene provinzen des Russischen reichs. Descriptiones animalium. Gedruckt bey der Kayserlichen academie der wissenschaften St. Petersburg. [241] Pallas, P.S., 1778. Novae species qvadrvpedvn e Glirivm ordine, cvm illvstrationibvs variis complvrivm ex hoc ordine animalivm. Erlangae svmtv Wolfgangi Waltheri. [242] Pallas, P.S., 1811. Zoographia Rosso-Asiatica, sistens omnium animalium in extenso Imperio Rossico et adjacentibus maribus observatorum recensionem, domicilia, mores et descriptiones, anatomen atque icones plurimorum. Petropoli. [243] Park, Y.-S., Cha, J.-Y., Kim, N.-S., 2016. Taxonomic Revision of Variation in Skull Morphology of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Pallas, 1771) in South Korea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 39-47. [244] Park, Y.-S., Kim, B.J., Lee, W.-S., et al., 2014. Molecular phylogenetic status of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from Jeju Island in Korea. Chinese Science Bulletin 59, 4283–4288. [245] Patterson, B.D., Norris, R.W., 2016. Towards a uniform nomenclature for ground squirrels: the status of the Holarctic chipmunks. Mammalia 80, 241-251. [246] Pavlinov, I.Y., Borisenko, A.V., Kruskop, S.V., et al., 1995. Mammals of Eurasia: 2. Non-Rodentia. Systematic and geographical handbook. Sbornik Trudov Zoologicheskogo Muzeya MGU 33, 1. [247] Peale, 1848. Mammalogy and Ornithology by John Cassin. In: Dougal, W.H., Stuart, F.D., Wilkes, C. (Eds.), United States Exploring Expedition. During the year 1838, 1839, 1840, 1841, 1842. Printed by C. Sherman, United States, Congress 236 [248] Philadelphia, p. 30. [249] Pennant, T., 1771. History of quadrupeds (Synopsis of quadrupeds). London: Printed for B. & J. White. [250] Perrin, W.F., 1975.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Populations of Dolphins of the Genus Stenella in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Journal of the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32, 1059-1067. [251] Perrin, W.F., 1990. Subspecies of Stenella longirostris (Mammalia: Cetacea: Delphinidae).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03, 453-463. [252] Perrin, W.F., Mead, J.G., Brownell, J.R.L., 2009. Review of the evidence used in the description of currently recognized Cetacean subspecies. NOAA Technical Memorandum NMFS, U.S. DEPARTMENT OF COMMERCE [253]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54]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55] 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256] Perrin, W.F., Würsig, B.G., Thewissen, J.G.M., 2002.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257] Peters, 1880. Mber. Akad. Wiss. 24. [258] Phillips, D.C., Bickham, J., Patton, J., et al., 2009. Systematics of Steller Sea Lions (Eumetopias Jubatus): Subspecies Recognition Based on Concordance of Genetics and Morphometrics. Natural Science Research Laboratory, Museum of Texas Tech University. [259] Pilleri, G., Gihr, M., 1972.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the cetaceans of Pakista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genera Neomeris, Sousa, Delphinus and Tursiops and description of a new Chinese porpoise (Neomeris asiaeorientalis. Pages 107--162 41. [260] Pilleri, G., Gihr, M., 1975. On the taxonomy and ecology of the finless black porpoise, Neophocaena (Cetacea, Delphinidae). Mammalia 39, 657-673. [261] Pisanu, B., Obolenskaya, E., Baudry, E., et al., 2013. Narrow phylogeographic origin of five introduced populations of the Siberian chipmunk Tamias (Eutamias) sibiricus (Laxmann, 1769) (Rodentia: Sciuridae) established in France. Biological Invasions 15, 1201. [262] Plumptre, A.J., 2000. Monitoring mammal populations with line transect techniques in African forests. Journal of Applied Ecology 37, 356-368. [263] Radde, G., 1861. Melange Biol., Bull. Acad. St. Petersb. 3, 684. [264] Rafinesque, C.S., 1814. Précis des découvertes et travaux somiologiques de m.r C. S. 237 Rafinesque-Schmaltz entre 1800 et 1814 ou Choix raisonné de ses principales découvertes en zoologie et en botanique, pour servir d'introduction à ses ouvrages futurs. Royale typographie militaire, aux dépens de l'auteur, Palerme. [265] Randi, E., Mucci, N., Claro-Hergueta, F., et al., 2001. A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phylogeny of the Cervinae: speciation in Cervus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imal Conservation 4, 1-11. [266] Reilly, S.B., Bannister, J.L., Best, P.B., et al., 2008. Eubalaena japonic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8. [267] Rosenbaum, H.C., Brownell, R.L., Brown, M.W., et al., 2000. World-wide genetic differentiation of Eubalaena: questioning the number of right whale species. Mol.Ecol. 9, 17931802. [268] Roskov, Y.A., L.; Orrell, T.; Nicolson, D.; Bailly, N.; Kirk, P.M.; Bourgoin, T.; DeWalt, R.E.; Decock, W.; De Wever, A.; Nieukerken, E. van; Zarucchi, J.; Penev, L. eds., 2017.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7 Annual Checklist. Species 2000: Naturalis, Leiden, the Netherlands. ISSN 2405-884X., Digital resource at www.catalogueoflife.org/annual-checklist/2017. [269] Satunin, C.A., 1907. Ueber neue und wenig bekannte Igel des Zoologischen Museums des Kaiselichen Akademie der Wissernschaften zu St. Pétersburg. Annuaire Musee Zoologique de I’Academie Imperiale des Sciences de Saint Pétersburg 11, 167. [270] Satunin, K.A., 1906. Ein neues Reh vom Tjan-Shan. Zoologische Anzeiger 30, 527. [271] Schlegel, 1857. Handl. dcr Dicrkunde 1, 23. [272] Schmidt, K., Nakanishi, N., Okamura, M., et al., 2003. Movements and use of home range in the Iriomote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riomotensis). Journal of Zoology 261, 273283. [273] Schreber, J.C.D., 1774. Die Säugthiere. Expedition des Schreber'schen säugthier- und des Esper'schen Schmetterlingswerkes ... Erlangen :. [274] Schrenck, L.v., 1858. Reisen und Forschungen im Amur-Lande in den Jahren 1854-1856 im Auftrage der Kaiserl. Band I. Akademie der Wissenschafren zu St. Petersburg. [275] Science, E.O.o.B., 2016. Biodiversity Science. Biodiversity Science, China. [276] Sheremetyeva, I.N., Sheremetyev, I.S., 2008. Skull variation in the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from the Far East: a revis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subspecies. European Journal of Wildlife Research 54, 557-569. [277] Shi, Y., Zhao, S., Han, X., et al., 2017. Revealing the complete mitogenome sequence of Hypsugo alaschanicus based on next generation sequencing. Mitochondrial DNA Part B 2, 575238 576. [278] Sikes, R.S., Animal, C., Use Committee of the American Society of, M., 2016. 2016 Guidelines of th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for the use of wild mammals in research and education. J.Mammal. 97, 663-688. [279] Sillero-Zubiri, C., Hoffmann, M., Macdonald, D.W., et al., 2004. Canids :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n: Sillero-Zubiri, C., Hoffmann, M., Macdonald, D.W. (Eds.). IUCN--The World Conservation Union, Gland, Switzerland :. [280] Silveira, L., Jácomo, A.T.A., Diniz-Filho, J.A.F., 2003. Camera trap, line transect census and track surveys: a comparative evalu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14, 351-355. [281] Skalon, V.N., Rajevsky, 1940. Скалой, Раевский. Науч.-метод, зап(Rock, Raevskii. scientific-method, app). Изд. гл. упр. по заповедникам, зоопаркам и зоосадам(Ed. Chap. Exercies on reserves, zoos and animal park) (in Russian) 7, 198. [282] Smallwood, K.S., Fitzhugh, E.L., 1995. A track count for estimating mountain lion Felis concolor californica population trend. Biological Conservation 71, 251-259. [283] Sohn, H.S., An, D.H., Kim, D.N., 2012. Review of the Korean Vernacular Names of Cetaceans.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5, 513-522. [284] Sokolov, V.E., Prikhod'ko, V.I., 1997. Taxonomy of the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Artiodactyla, Mammalia). Biology Bulletin 24-25, 557-566. [285] Song, K.-J., 2016. Cetacean Strandings in Korean Waters. Pacific Science 70, 35-44. [286] Sowerby, A.d.C., 1917. On a new species of Shrew from Core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8 20, 317. [287] Sowerby, A.d.C., 1921. Notes on the East Asiatic Members of the Species Sciurus vulgaris, Linn, with descriptions of two now Sub-species.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9 7, 249. [288] Spitzenberger, F., Strelkov, P.P., Winkler, H., et al., 2006. A preliminary revision of the genus Plecot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genetic and morphological results. Zoologica Scripta 35, 187-230. [289] Springer, M.S., Stanhope, M.J., Madsen, O., et al., 2004. Molecules consolidate the placental mammal tree.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9, 430-438. [290] Stejneger, L., 1883.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the Commander Islands. No.1. Notes on the Natural History, including Descriptions of new Cetaceans.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v. 6 1883, 58-89. [291] Stroganov, S.U., 1956. Materials on the systematics of Siberian mammals. Tr Biol Inst 239 West Sib Branch Acad Sci USSR 1, 3. [292] Stroganov, S.U., 1962. Zveri Sibiri [Animals of Siberia]. [293] Sundevall, C.J., 1846. om Hypudaeus rufocanus n. sp. Öfversigt af Kongl. Vetenskapsakademiens forhandlingar 3, 122. [294] Swinhoe, R., 1864. Extracts from a letter from, respecting animals intended for the Society's Managerie.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68-170. [295] Swinhoe, R., 1870. On a new deer from China.(Plates VI. and VII.).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89-92. [296] Taxonomy, C.o., 2011.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297] Taxonomy, C.o., 2016.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298] Taxonomy, C.o., 2017. List of marine mammal species and subspecies.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299] Temminck, C.J., 1842. Mammiferes qui habitent le Japon et les iles qui en dependent. In: Siebold, P.F.v. (Ed.). Shokubutsu bunken kanko-kai (Society for publication of botanical works) Tokyo, Fauna Japonica sive descriptio animalium quae, in itinere per Japoniam, jussu et auspiciis, superiorum, qui summum in India Batava imperium suscepto, annis 1823-1830, p. 1. [300] Temminck, C.J., 1844. Mammiferes qui habitent le Japon et les iles qui en dependent. In: Siebold, P.F.v. (Ed.). Shokubutsu bunken kanko-kai (Society for publication of botanical works) Tokyo, Fauna Japonica sive descriptio animalium quae, in itinere per Japoniam, jussu et auspiciis, superiorum, qui summum in India Batava imperium suscepto, annis 1823-1830, p. 1. [301] Temminck, C.J., 1845. Mammiferes qui habitent le Japon et les iles qui en dependent. In: Siebold, P.F.v. (Ed.). Shokubutsu bunken kanko-kai (Society for publication of botanical works) Tokyo, Fauna Japonica sive descriptio animalium quae, in itinere per Japoniam, jussu et auspiciis, superiorum, qui summum in India Batava imperium suscepto, annis 1823-1830, p. 1. [302] TERN, 2018. TERN(Terrestrial Ecosystem Research Network). Australia, The University of Adelaide Press. [303] Tesakov, A.S., Lebedev, V.S., Bannikova, A.A., et al., 2010. Clethrionomys Tilesius, 1850 is the valid generic name for red-backed voles and Myodes Pallas, 1811 is a junior synonym of Lemmus Link, 1795. Russian Journal of Theriology 9, 83. [304] Thibault, K., 2016. TOS protocol and procedure: small mammal sampling. NEON (National Ecological Observation Network), NEON. 240 [305] Thomas, O., 1892a. Diagnosis of a new subspecies of hare from the Core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zoology, botany, and geology. 9(6), 146-147. [306] Thomas, O., 1892b. Diagnosis of a new subspecies of hare from the Core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6 9, 146. [307] Thomas, O., 1898a. On Mammals collected by Mr J. D. La Touche at Kuatun, N.W. Fokien, China.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 769. [308] Thomas, O., 1898b. On Mammals collected by Mr. J. D. La Touche at Kuatun, N.W. Fokieiij China.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 769. [309] Thomas, O., 1902. A new vole from the lower Yang-tse-kiang.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7 10, 167. [310] Thomas, O., 1905. The duke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I. List of mammals obtained by Mr. M.P. Anderson in Japan.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 331. [311] Thomas, O., 1906. The duke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II. List of Small mammals from Korea and Quelpart.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 858. [312] Thomas, O., 1907a. The Duke of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List of small Mammals from the Islands of Saghalien and Hokkaido.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 404. [313] Thomas, O., 1907b. The Duke of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v, 2nd list of Mammals from Korea.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 462. [314] Thomas, O., 1908a. The Duke of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VI. List of Mammals from the Shantung Peninsula, N. China.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1, 5. [315] Thomas, O., 1908b. The Duke of Bedford's zoological exploration in Eastern Asia: XI. On Mammals from the Provinces of Shan-si and Shen-si, northern China.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 963. [316] Thomas, O., 1909. A collection of Mammals from northern and central Mantchuri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8 4, 500. [317] Thomas, O., 1911. A new vole from eastern Asi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8 7, 383. [318] Thomas, O., 1914. On small Mammals from Djarkent, Central Asia.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including zoology, botany, and geology. Ser. 8 13, 563. 241 [319] True, F.W., 1885. On a new species of porpoise, Phocoena dalli, from Alaska.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8, 95-98. [320] Tsytsulina, K., Dick, M.H., Maeda, K., et al., 2012. Systematics and phylogeography of the steppe whiskered bat Myotis aurascens Kuzyakin, 1935 (Chiroptera, Vespertilionidae). Russian Journal of Theriology 11, 1-20. [321] Turov, S.S., 1924. On the fauna of vertebrates north-east coast of Lake Baikal. Proceedings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109. [322] USGS, 2016. USGS. U.S. Geological Survey,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A. [323] Vinogradov, B., Obolensky, S., 1927. Some Rodents from Transbaicalia, East Siberia. J.Mammal. 8, 233. [324] Vinogradov, B.S., 1936. In: Zolotarev, N.T. (Ed.), Mammals of the Iman river basin (Ussuriskii country) according to the materials of the 1934 Expedition of the Far East Division, Akademia Nauk and according to the collections of the Zoological Institute of the Akademia Nauk, USSR. Moscow-Leningrad, p. 81. [325] Vogler, A.P., Monaghan, M.T., 2007. Recent advances in DNA taxonomy. Journal of Zoological Systematics and Evolutionary Research 45, 1-10. [326] Wakana, S., Sakaizumi, M., Tsuchiya, K., et al., 1996.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variations in rDNA and mtDNA in red-backed voles collected in Hokkaido, Japan, and in Korea. Mammal Study 21, 15. [327] Wang, J.Y., Chou, L.S., White, B.N., 1999.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sympatric morphotypes of bottlenose dolphins (genus: Tursiops) in Chinese waters. Molecular Ecology 8, 1603-1612. [328] Wang, J.Y., Chou, L.S., White, B.N., 2000. Differences in the External Morphology of Two Sympatric Species of Bottlenose Dolphins (Genus Tursiops) in the Waters of China. J.Mammal. 81, 1157-1165. [329] Willner, G.R., Feldhamer, G.A., Zucker, E.E., et al., 1980. Ondatra zibethicus. Mammalian Spicies, 1. [330] Wilson, D.E., Reeder, D.A.M.e., 2005a.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31] Wilson, D.E., Reeder, D.M., 2005b.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JHU Press. [332] Wilting, A., Courtiol, A., Christiansen, P., et al., 2015. Planning tiger recovery: Understanding intraspecific variation for effective conservation. Science Advances 1. 242 [333] Won, H.G., 1954. Gwahagwon Hakbo. [334] Won, H.G., 1955. Joseonpoyuryudoseol. Gwahagwon Press. [335] Won, H.G., 1968. Joseonjimseungnyuji. Gwahagwon Press. [336] Won, P.H., 1958. A hand list of Korean mammals. Shin Hung University 1, 427. [337] Won, P.O., Woo, H.C., 1958. A disstributional list of the Korean birds and mammals. Forest Exp. Sta. Inst. Agric Seoul. [338] Woon, B.H., 196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Minister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339] Wu, C., Wu, J., Bunch, T.D., et al., 2005. Molecular phylogenetics and biogeography of Lepus in Eastern Asia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Mol.Phylogenet.Evol. 37, 45-61. [340] Wu, J., Kohno, N., Mano, S., et al., 2015. Phylogeographic and Demographic Analysis of the Asian Black Bear (Ursus thibetanus) Based on Mitochondrial DNA. PLOS ONE 10, e0136398. [341] Yoon, M.-H., 2009. A New Record of Nyctalus furv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from Korea, and the Description of Tadarida teniotis (Chiroptera: Molossidae), a Rarely Collected Bat in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25, 87-93. [342] Yoon, M.-H., 2010. Vertebrate fauna of Korea .Volume 5, Number 1 ,Ba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Republic of Korea. [343] Yoon, M.H., 1990. Taxonomical Study on Four Myoties(Vespertilionidae) Species in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6, 173-191. [344] Yoon, M.H., Han, S.H., Oh, H.S., et al., 2004. The mammals of Korea. Dongbangmedia. [345] Yoon, M.H., Koh, H.S., 1997. Class Mammalia. In: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 (Ed.). List of Animal of Korea (excluding insects), Academy Sugeok, p. 299. [346] Yoshiyuki, M., 1988. Taxonomic status of the least red-toothed shrew (Insectivora, Soricidae) from Korea.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eries A (Zoology) 14, 151. [347] Zhishu, X., Dajun, W., Zhishu, X., et al., 2014. Camera-trapping in wildlife research and conservation in China: review and outlook (in Chinese). Biodiversity Science 22, 685-695. [348] Zimmermann, E.A.W.v., 1780. Geographische geschichte des menschen, und der allgemein verbreiteten vierfüssigen thiere. Leipzig In der Weygandschen buchhandlung. [349] Zimmermann, E.A.W.v., 1783. Geographische geschichte des menschen, und der allgemein verbreiteten vierfüssigen thiere. Geogr. Gcsch. 3, 277. 243 [350] 국립공원관리공단, 덕., 2006. 덕유산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3차년도. 국립공원 관리공단, 한국. [351] 국립공원관리공단, 설., 2009. 설악산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8차년도. 국립공원 관리공단, 한국. [352] 국립환경과학원, 2006. 야생동물 실태조사 지침.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353] 김용기, 2018. 독도의 포유류. In: 김, 웅., 전, 세. (Eds.), 생태로 읽는 독도 이야 기(Nie Eco Special). 국립생태원 출판부,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354] 노백호, 유미나, 임영신, 2011. 개발사업에 따른 멸종위기종 서식지 적합성 평 가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55] 영산강, 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2013. 영산강수계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 4년차 최종보고서.1. 환경부, 한국. [356] 오우석, 최성록, 권혁수, et al., 2015. 지속가능한 국토이용을 위한 생태계서비스 (생태가치) 평가. In: 생태계서비스연구부 (Ed.),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for the sustainable land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Republic of Korea, p. 227. [357] 유형재, 2006. 강릉서 죽은 큰부리고래 발견. 연합뉴스. [358] 정철운, 차진열, 김영채, et al., 2014. 카메라 트래핑을 이용한 육상포유류 모니 터링 효율성 평가 = Monitoring Efficiency Evaluation of Camera Trapping in Terrestrial Mammals.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 65-74. [359] 조, 재., 김, 규., 김, 기., et al., 2016. Analysis of Home Range Change of Female Goral (Naemorhedus caudatus) during the Period of Birth and Management Plan for their Protection in the Natural Habitat in Korea.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0, 857-864. [360] 조재운, 김규철, 권구희, et al., 2014. Activity characteristics of female gorals(Naemorhedus caudatus) introduced into Woraksan National Park.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8, 650-656. [361] 조홍섭, 2009. 고양이 고래 첫 발견. 한겨례신문. [362] 최충일, 2015. 제주서 희귀 부리고래 사체 발견. 중앙일보. [363] 한상훈, 김병직, 김화정, et al., 2011. 국가 생물종 목록집 척추동물. In: 국립생물 자원관 (Ed.), 국가 생물종 목록집 척추동물.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pp. 347-373. 244 [364] 한상훈, 서문홍, 강승구, et al., 2015. 2015년 야생동물 실태조사. 국립생물자원관. [365] 환경부, 2018. 인간과 반달가슴곰의 생태적 공존 추진. In: 생물다양성과 (Ed.), 환경부. 245 ABSTRACT Studies On The Taxonomic Review And Survey Techniques For Mammals In The Korean Peninsula Lee, Jeong-Boon Department of Life Science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 taxonomic study of mammal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cientific name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 developed survey techniques and the wild mammal habitat index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from 2012 to 2018. First, the taxonomical research and synonymy of each species were reviewed and confirmed in this study. The species names are rearranged based on recent studies. In this study, the checklist of Mammals in the Korean Peninsula is arranged to 135 species, 82 genera, 31 families and 6 orders. I followed the Asher and Helgen (2010)’s classification for the higher taxa. I have named the Korean name of Order Eulipotyphla, which includes hedgehogs, shrews, and mol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xa, as ‘진식충목(Jinsikchungmok)’ and the Order Cetartiodactyla, including whales and deer, was named ‘기제목(Gijemok)’. In the Order Rodentia, the genus name of the squirrel was changed from Tamias to Eutamias and the genus name of Myodes regulus and M. rofucanus were changed to the genus Craseomys. In the Order Lagomorpha, the scientific name in the name of '멧토끼 (Mettokki)' is Lepus coreanus Thomas in South Korea and L. mandshuricus Radde in North Korea. In the Order Chiroptera, ‘흰배윗수 염박쥐 (Hinbewitsuyembakjwi)’ was previously Myotis nattereri bombinus Thomas and M. n. amurensis Ognev, but Asian species are listed as M. bombinu Thomas. In the Order Cetartiodactyla, reflecting many studies on subspecies inhabiting each sea area, a total of 12 246 subspecies were identified as subspecies in the waters where the Korean peninsula belongs. In the Order Carnivora, Mustela eversmanii Lesson, which was first collected and recorded in 1996 in North Korea, was added to the list of Korean peninsula. Second, I have developed the Wildmammals Habitat Usage Index (WHUI) and mammalian survey techniques for Korean terrains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collected from 2012 to 2018. I have researched and summarized the mammalian survey methods in monitoring conducted by national institutions in China, Japan,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the United States, Malaysia and Korea and devised research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ammalian research in the future. For this, I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the field survey in three aspects and confirmed the statistical suitability. On the first side, I have confirmed that the length of field survey and the number of mammal trac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three times in the same area and that each field sing point of leopard cat is close to 48 m. On the second side, the Unmunsan, which is managed as a protected area,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length of field survey and the number of wild mammal field sig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quantifying mammalian field surveys. On the third side,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conducted on the non-protected areas also confirmed positive correlations. I also reaffirmed the quantification of mammalian field surveys by confirming the normal distribution of these two data (length of field survey and number of mammal field signs). Finally, I developed and proposed a combination of the above analyses of the mammalian survey technique and the Wildmammals Habitat Usage Index (WHUI) for assessing wild mammal habitats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ndex is awarded according to the three grades to help determine how important the area is as a habitat for wild mammals. As in this study, if the result of the field survey using the proposed standard line survey method, and applying the WHUI to the results as the number of field signs per km, it becomes possible to make a relative comparison for each surveyed area. Quantitative surveys using these standard methods and analysis of habitat use can be used as objective data for ecosystem services. Keywords : synonym, line survey standard method, habitat evaluation, Wildmammals Habitat Usage Index, WHUI 247 Appendix I. Mammal field signs per kilometer of track surveyed from 2012 to 2018 (field signs/km) (bold : 11 species) 트랙 순번 연도 1 2012 2 2012 3 2012 4 2012 5 2012 6 2012 7 2012 8 2012 9 2012 10 2012 11 2012 12 2013 13 2013 14 2013 15 2013 16 2013 17 2013 18 2013 19 2013 격자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대아 신정 음성 청안 음성 청안 음성 청안 음성 청안 음성 청안 음성 청안 음성 청안 음성 청안 총합계 고라니 제외 총합계 0.00 3.39 1.58 1.58 0.00 0.00 1.04 1.04 1.04 0.00 0.00 0.00 4.08 3.96 3.70 0.19 0.00 0.00 0.00 4.72 4.25 4.25 0.00 0.51 0.00 0.00 0.00 3.93 2.91 2.91 2.59 0.00 0.12 0.00 0.00 0.00 9.90 6.60 6.60 0.00 0.00 0.14 0.00 0.00 0.00 0.00 2.48 2.07 1.79 0.2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8.01 1.68 1.68 0.00 0.00 0.00 0.00 0.00 0.38 0.00 0.00 0.00 4.19 2.67 2.67 0.00 0.00 0.00 0.00 0.00 0.41 0.00 0.00 0.00 0.00 2.85 2.85 2.03 0.00 0.6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2.41 1.20 1.20 0.00 0.00 0.64 0.00 0.00 0.00 1.29 0.64 0.00 0.00 0.00 0.00 4.51 3.22 3.22 1.77 0.00 0.00 0.5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4.29 2.53 2.53 0.00 0.20 0.00 0.00 0.20 0.00 0.39 0.00 0.39 0.00 0.00 0.00 0.00 0.00 2.95 1.77 1.57 0.00 0.00 0.00 0.00 0.00 0.16 0.00 0.33 0.00 2.47 0.00 0.00 0.00 0.00 0.00 8.06 3.62 3.45 0.00 0.25 0.00 0.41 0.00 0.16 0.08 0.08 0.65 0.00 0.33 0.08 0.00 0.00 0.00 0.00 5.89 2.53 2.45 0.00 0.00 0.00 0.00 0.66 0.00 0.00 1.31 0.00 0.00 0.00 0.00 0.00 0.66 0.00 0.00 0.00 3.93 2.62 2.62 0.00 0.12 0.00 0.36 0.00 0.48 0.00 0.00 0.00 0.00 0.00 0.00 1.94 0.00 0.00 0.00 0.00 0.00 3.75 2.90 2.9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20 0.00 0.20 0.00 2.40 0.00 0.20 0.00 0.00 0.00 7.00 3.00 3.00 반복 조사 트랙길이 (m) 고라니 고양이 꽃사슴 너구리 두더지 등줄쥐 멧돼지 멧토끼 무산쇠 족제비 1회 4,425.75 1.81 0.00 0.00 0.23 0.00 0.00 0.45 0.00 0.00 0.00 0.90 0.00 0.00 1회 2,875.94 0.00 0.00 0.00 0.35 0.00 0.35 0.00 0.35 0.00 0.00 0.00 0.00 1회 7,835.68 0.13 0.00 0.13 0.13 0.00 0.00 1.02 0.00 0.13 0.13 1.02 1회 10,585.63 0.47 0.00 0.00 0.57 0.00 0.00 0.38 0.38 0.00 0.28 1회 5,849.92 1.03 0.00 0.00 0.51 0.00 0.00 0.00 0.17 0.00 1회 8,481.31 3.30 0.00 0.00 1.06 0.00 0.00 0.24 1.18 1회 7,256.68 0.41 0.00 0.28 0.00 0.00 0.00 0.14 1회 7,738.76 6.33 0.00 0.00 0.00 0.00 0.00 1회 2,623.90 1.52 0.00 0.00 0.76 0.00 1회 2,458.11 0.00 0.00 0.81 0.00 1회 3,321.59 1.20 0.00 0.00 1회 1,552.08 1.29 0.00 1회 3,959.18 1.77 1회 5,083.88 1회 안주 애기 박쥐 오소리 족제비 청설모 하늘 다람쥐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26 0.00 0.00 0.13 1.02 0.19 0.00 0.38 0.00 1.89 0.00 0.00 1.20 0.00 0.34 0.00 0.17 0.00 1.18 0.00 0.00 0.24 0.00 0.00 0.00 0.00 1.38 0.00 0.14 0.39 0.52 0.00 0.26 0.26 0.00 0.00 0.00 1.14 0.00 0.38 0.00 0.00 0.00 1.22 0.00 0.00 0.41 0.00 0.00 0.00 0.00 0.60 0.00 0.00 0.00 0.00 0.00 0.00 0.64 0.00 0.00 0.25 0.00 0.00 0.00 1.18 0.00 0.00 0.39 0.20 0.00 6,079.31 4.44 0.00 0.00 0.49 0.16 1회 12,232.31 3.35 0.00 0.00 0.49 1회 1,526.01 1.31 0.00 0.00 1회 8,266.78 0.85 0.00 1회 5,001.49 4.00 0.00 노루 다람쥐 담비 250 삵 수달 염소 11종 총합 계 트랙 순번 연도 20 2014 21 2014 22 2014 23 2014 24 2014 25 2014 26 2014 27 2014 28 2014 29 2014 30 2014 격자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인천 김포 31 2015 봉당 39 2015 봉당 47 2015 봉당 32 2015 봉당 40 2015 봉당 48 2015 봉당 33 2015 봉당 41 2015 봉당 49 2015 봉당 34 2015 봉당 총합계 고라니 제외 총합계 0.00 4.32 2.16 2.16 0.00 0.00 6.95 0.95 0.95 0.00 0.00 0.00 3.72 1.49 1.49 0.00 0.00 0.00 0.00 4.73 1.70 1.70 0.00 0.48 0.00 0.00 0.00 5.57 1.75 1.75 0.00 0.00 0.48 0.00 0.00 0.00 2.88 1.44 1.20 0.00 0.00 0.00 0.45 0.00 0.00 0.00 4.47 1.12 1.12 0.00 0.00 0.00 0.00 0.96 0.00 0.00 0.00 6.55 1.92 1.92 0.00 0.16 0.00 0.00 0.33 0.33 0.00 0.00 0.00 4.28 1.65 1.65 0.72 0.00 0.00 0.00 0.00 0.00 1.45 0.00 0.00 0.00 7.97 2.17 2.17 0.00 1.97 0.00 0.00 0.00 0.00 0.00 0.99 0.00 0.00 0.00 10.10 4.43 4.43 0.00 0.00 0.00 0.00 2.46 0.00 3.28 0.82 3.28 0.00 0.00 0.00 13.10 11.46 11.46 3.22 0.00 0.00 0.00 0.00 1.61 0.00 4.02 0.00 1.61 0.00 0.00 0.00 12.87 12.06 12.06 0.00 5.96 0.00 0.00 0.00 0.00 3.40 0.00 2.55 0.00 2.55 0.00 0.00 0.00 14.47 14.47 14.47 0.51 0.17 0.17 0.00 0.00 0.00 0.00 1.88 0.00 0.51 0.34 0.34 0.00 0.00 0.00 6.17 3.94 3.94 0.00 0.00 0.17 0.86 0.00 0.00 0.00 0.00 3.60 0.00 0.00 0.17 0.17 0.00 0.00 0.00 5.31 4.97 4.97 0.00 0.00 0.31 0.31 0.31 0.00 0.47 0.00 0.00 5.19 0.00 0.31 0.16 0.31 0.00 0.00 0.00 7.71 7.39 7.39 0.00 0.00 0.00 1.01 0.00 0.00 0.00 0.00 0.00 0.00 1.0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2.02 2.02 2.02 0.00 0.00 0.00 0.00 4.04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4.04 4.04 4.04 0.00 0.00 0.00 0.00 0.00 0.76 0.00 0.00 0.00 0.00 0.00 0.00 0.7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52 1.52 1.52 1.36 0.00 0.00 1.36 0.00 0.00 0.91 1.36 0.00 0.00 0.00 0.00 2.72 0.00 0.00 0.00 0.00 0.00 0.00 0.00 7.72 6.36 6.36 반복 조사 트랙길이 (m) 고라니 고양이 꽃사슴 너구리 두더지 등줄쥐 멧돼지 멧토끼 무산쇠 족제비 1회 2,315.48 2.16 0.00 0.00 0.00 0.00 0.00 0.00 0.43 0.00 0.00 0.86 0.00 0.00 1회 3,165.99 6.00 0.00 0.00 0.00 0.00 0.00 0.00 0.32 0.00 0.00 0.00 0.00 1회 5,371.47 2.23 0.00 0.00 0.19 0.00 0.00 0.00 0.19 0.00 0.00 0.19 1회 5,287.82 3.03 0.00 0.00 0.00 0.00 0.00 0.00 0.19 0.00 0.00 1회 6,288.76 3.82 0.00 0.00 0.00 0.00 0.00 0.00 1.27 0.00 1회 4,161.40 1.44 0.24 0.00 0.00 0.00 0.00 0.00 0.00 1회 4,477.38 3.35 0.00 0.00 0.00 0.00 0.00 0.00 1회 6,264.31 4.63 0.00 0.00 0.00 0.00 0.00 1회 6,073.57 2.63 0.00 0.00 0.16 0.00 1회 2,758.94 5.80 0.00 0.00 0.00 1회 4,060.43 5.66 0.00 0.00 2,433.49 1.64 0.00 2,419.14 0.80 2,332.89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안주 애기 박쥐 오소리 족제비 청설모 하늘 다람쥐 0.00 0.00 0.00 0.86 0.00 0.00 0.00 0.00 0.00 0.32 0.32 0.00 0.00 0.19 0.00 0.00 0.37 0.37 1.13 0.00 0.19 0.00 0.00 0.19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72 0.00 0.00 0.00 0.45 0.00 0.00 0.22 0.00 0.00 0.00 0.48 0.00 0.00 0.48 0.00 0.00 0.00 0.6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49 0.00 0.00 0.00 0.99 0.00 0.00 0.00 0.00 0.00 0.00 1.64 0.00 0.00 1.6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5,839.10 2.23 0.00 0.00 0.00 0.00 5,839.95 0.34 0.00 0.00 0.00 6,359.12 0.31 0.00 0.00 1,598.13 0.00 0.00 1,559.39 0.00 1,613.02 2,202.59 노루 다람쥐 담비 251 삵 수달 염소 11종 총합 계 트랙 순번 연도 격자 42 2015 봉당 50 2015 봉당 35 2015 봉당 43 2015 봉당 51 2015 봉당 36 2015 봉당 44 2015 봉당 52 2015 봉당 37 2015 봉당 45 2015 봉당 53 2015 봉당 38 2015 봉당 46 2015 봉당 54 2015 봉당 59 2016 모서 66 2016 모서 73 2016 모서 60 2016 모서 67 2016 모서 74 2016 모서 61 2016 모서 반복 조사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총합계 고라니 제외 총합계 0.00 10.72 9.53 9.53 0.00 0.00 4.34 4.34 4.34 0.00 0.00 0.00 6.01 4.43 4.43 0.40 0.00 0.00 0.00 2.77 1.98 1.98 0.00 0.00 0.00 0.00 0.00 2.37 1.98 1.98 0.58 0.19 0.19 0.00 0.00 0.00 6.22 5.06 5.06 0.00 0.39 0.19 1.73 0.00 0.00 0.00 7.13 6.74 6.74 2.95 0.00 0.20 0.00 0.39 0.00 0.00 0.00 5.32 4.92 4.92 0.00 2.60 0.00 1.11 0.74 0.00 0.00 0.00 0.00 7.98 5.57 5.57 0.00 0.00 2.48 0.00 1.58 0.45 0.68 0.00 0.00 0.00 9.47 7.21 7.21 0.00 0.00 0.00 3.68 0.00 1.23 0.82 1.64 0.00 0.00 0.00 10.64 9.61 9.61 0.00 0.25 0.00 0.00 2.04 0.00 0.51 0.00 0.25 0.00 0.00 0.00 4.58 3.56 3.56 0.69 0.00 0.00 0.00 0.00 1.25 0.00 0.69 0.42 0.83 0.00 0.00 0.00 5.81 4.01 4.01 0.27 0.95 0.00 0.00 0.00 0.00 1.49 0.00 0.27 0.00 0.54 0.00 0.00 0.00 4.06 3.52 3.52 0.00 0.00 0.55 0.00 0.00 0.00 0.00 0.55 0.00 0.00 0.00 0.00 0.00 0.00 0.00 9.88 1.10 1.10 0.00 0.00 0.00 0.43 0.00 0.00 0.00 0.00 0.86 0.00 1.30 0.00 0.00 0.00 0.00 0.00 17.27 2.59 2.59 0.00 0.00 0.00 0.00 1.78 0.00 0.00 0.00 0.00 0.00 0.00 0.89 0.00 0.00 0.00 0.00 0.00 9.33 2.67 2.67 0.00 0.28 0.00 0.00 0.42 0.14 0.00 0.28 0.00 0.00 0.69 0.00 0.14 0.00 0.42 0.00 0.00 0.00 9.69 2.35 2.35 0.00 0.00 0.28 0.00 0.00 0.00 0.56 0.00 0.00 0.14 0.00 0.98 0.00 2.93 0.28 0.00 0.00 0.00 0.00 9.20 5.16 5.16 1.66 0.00 0.00 0.00 0.00 0.00 0.00 1.11 0.00 0.00 0.00 0.00 0.69 0.00 2.22 0.14 0.28 0.00 0.00 0.00 6.09 4.43 4.43 9.36 0.00 0.00 0.21 0.00 0.00 0.00 0.21 0.00 0.00 0.42 0.00 0.62 0.00 0.21 0.00 0.00 0.83 0.00 0.00 11.86 2.50 2.50 두더지 등줄쥐 멧돼지 멧토끼 무산쇠 족제비 0.00 5.16 0.00 0.00 0.00 0.00 3.97 0.00 0.43 0.43 0.00 0.00 0.00 0.00 0.00 0.63 0.00 1.58 0.00 0.63 0.00 0.00 0.00 0.00 0.40 0.40 0.00 0.00 0.00 0.00 0.00 0.00 0.40 0.4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17 0.39 0.00 0.00 0.00 0.00 0.00 0.00 5,077.18 0.39 0.00 0.00 0.00 0.00 0.00 5,387.95 2.41 0.00 0.00 0.37 0.00 4,435.51 2.25 0.00 0.00 0.23 4,889.27 1.02 0.00 0.00 7,855.29 1.02 0.00 7,228.34 1.80 7,381.51 안주 애기 박쥐 오소리 족제비 청설모 하늘 다람쥐 0.00 0.00 0.00 0.00 0.00 0.00 2.60 0.00 0.87 0.00 0.00 0.00 0.00 1.27 0.00 0.32 0.00 0.00 0.00 0.00 0.79 0.00 0.00 0.00 0.00 0.00 0.00 1.19 0.00 0.00 0.00 0.19 0.19 0.00 2.53 0.00 0.96 0.00 0.19 0.00 0.00 3.28 0.79 0.39 0.00 0.20 0.00 0.00 0.00 0.00 0.74 0.00 0.00 0.00 0.00 0.00 0.00 1.80 0.00 0.00 0.00 0.00 0.00 1.23 1.02 0.00 0.00 0.25 0.00 0.00 0.00 0.25 0.00 0.00 0.00 0.00 0.14 0.00 0.54 0.00 0.00 0.00 0.00 0.00 1,821.34 8.78 0.00 0.00 0.00 0.00 2,316.48 14.68 0.00 0.00 0.00 2,250.00 6.67 0.00 0.00 7,226.42 7.33 0.00 7,176.00 4.04 7,219.92 4,806.89 트랙길이 (m) 고라니 고양이 꽃사슴 너구리 2,517.55 1.19 0.00 0.00 0.40 0.00 0.00 2,305.14 0.00 0.00 0.00 0.00 0.00 3,160.20 1.58 0.00 0.00 0.00 2,524.25 0.79 0.00 0.00 2,530.91 0.40 0.00 5,143.16 1.17 5,189.49 노루 다람쥐 담비 252 삵 수달 염소 11종 총합 계 트랙 순번 연도 격자 68 2016 모서 75 2016 모서 62 2016 모서 69 2016 모서 76 2016 모서 63 2016 모서 70 2016 모서 77 2016 모서 64 2016 모서 71 2016 모서 78 2016 모서 65 2016 모서 72 2016 모서 79 2016 모서 운문 산 운문 산 운문 산 운문 산 반복 조사 총합계 고라니 제외 총합계 0.00 10.59 4.15 4.15 0.00 0.00 6.15 4.02 4.02 0.00 0.00 0.00 17.69 9.88 9.88 0.52 0.00 0.00 0.00 17.84 5.77 5.77 1.10 1.10 0.00 0.00 0.00 25.25 5.49 5.49 0.18 0.55 0.00 0.00 0.00 0.00 5.63 4.72 4.72 0.00 0.54 0.36 0.90 0.00 0.00 0.00 4.13 3.59 3.59 0.36 0.00 0.72 0.00 1.63 0.00 0.00 0.00 3.62 3.62 3.62 0.00 0.73 0.00 1.82 0.73 0.73 0.00 0.00 0.00 25.42 5.08 5.08 0.00 0.00 3.21 0.00 1.43 0.00 0.00 0.00 0.00 0.00 32.09 4.63 4.63 0.35 0.00 0.00 2.07 0.00 1.04 0.00 0.69 0.00 0.00 0.00 10.02 4.15 4.15 0.00 0.00 0.00 0.00 0.23 0.00 1.64 0.00 0.00 0.00 0.00 0.00 3.51 2.11 2.11 0.38 0.00 0.00 0.00 0.00 3.43 0.00 1.72 0.38 0.57 0.00 0.00 0.00 7.82 7.06 7.06 0.00 0.00 0.00 0.00 0.00 0.00 1.38 0.00 0.79 0.00 1.78 0.00 0.00 0.00 4.74 4.54 4.54 0.16 2.42 0.08 0.00 0.16 0.00 0.00 1.09 0.00 0.00 1.33 1.02 0.86 0.00 0.00 7.11 7.11 7.11 0.00 0.29 0.20 0.10 0.00 1.08 0.00 0.00 0.20 0.00 0.10 2.65 2.85 1.38 0.00 0.00 8.94 8.84 8.84 0.17 0.00 0.17 0.68 0.17 0.00 0.51 0.00 0.00 1.69 0.00 4.05 0.34 1.69 0.00 0.00 0.00 9.45 9.45 9.45 0.00 0.00 0.00 0.88 0.58 1.17 0.00 0.29 0.00 0.00 0.88 0.00 0.00 0.29 0.29 0.00 0.00 0.00 4.39 4.39 4.39 두더지 등줄쥐 멧돼지 멧토끼 무산쇠 족제비 0.00 0.00 0.00 0.21 0.00 0.00 0.83 0.24 0.00 0.71 0.00 0.24 0.00 0.00 0.00 0.00 0.52 0.00 0.00 0.00 3.12 0.00 0.00 0.00 0.52 0.00 0.00 0.00 0.00 0.55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36 0.55 0.18 0.54 0.00 0.00 0.00 0.00 0.00 0.00 5,519.52 0.00 0.00 0.00 0.00 0.00 0.18 2,754.21 20.33 0.00 0.00 0.00 0.00 2,804.86 27.45 0.00 0.00 0.00 2,894.75 5.87 0.00 0.00 4,273.44 1.40 0.00 5,244.48 0.76 5,063.09 1회 안주 애기 박쥐 오소리 족제비 청설모 하늘 다람쥐 0.00 1.87 0.21 0.00 0.42 0.00 0.24 0.00 1.66 0.00 0.47 0.24 0.00 0.00 0.00 3.12 2.60 0.52 0.00 0.00 0.00 0.00 3.67 1.05 0.00 0.00 0.00 0.00 0.00 2.74 0.00 0.36 0.18 0.00 2.36 0.00 0.36 0.00 0.00 0.00 0.00 1.44 0.00 0.72 0.00 0.00 0.00 0.00 0.00 0.73 0.00 0.00 0.3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23 0.00 0.00 0.00 0.00 0.00 0.00 0.19 0.00 0.00 0.38 0.20 0.00 0.00 0.40 0.00 0.20 12,795.99 0.00 0.00 0.00 0.00 0.00 1회 10,181.40 0.10 0.00 0.00 0.00 1회 5,924.04 0.00 0.00 0.00 1회 3,420.52 0.00 0.00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3회 (1차) 3회 (2차) 3회 (3차) 트랙길이 (m) 고라니 고양이 꽃사슴 너구리 4,815.09 6.44 0.00 0.00 0.62 0.00 0.00 4,228.85 2.13 0.00 0.00 0.24 0.00 1,922.46 7.80 0.00 0.00 0.00 1,905.94 12.07 0.00 0.00 1,822.09 19.76 0.00 5,503.11 0.91 5,564.11 노루 다람쥐 담비 삵 수달 염소 11종 총합 계 58 2016 55 2016 56 2016 57 2016 84 2017 관기 1회 7,209.54 0.00 0.00 0.00 0.00 0.00 0.00 1.39 0.83 0.00 0.69 0.00 0.00 0.00 0.00 1.39 0.28 3.19 0.00 0.00 0.00 7.77 7.77 7.77 85 2017 석성 1회 1,518.27 22.39 0.00 0.00 1.32 0.00 0.00 0.00 1.32 0.00 0.00 0.00 0.00 0.66 0.00 1.32 0.00 0.00 0.00 0.00 0.00 27.00 4.61 4.61 86 2017 석성 1회 1,787.43 6.71 0.00 0.00 0.00 0.00 0.00 0.00 1.12 0.00 0.00 3.92 0.00 0.5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2.31 5.59 5.59 253 총합계 고라니 제외 총합계 0.00 7.74 0.67 0.34 0.00 0.00 11.54 3.85 3.85 0.00 0.00 0.00 3.13 1.91 1.91 1.02 0.00 0.00 0.00 4.32 2.03 1.78 0.00 0.86 0.00 0.00 0.00 2.30 1.44 1.44 0.00 0.38 0.77 0.00 0.00 0.00 20.29 3.45 3.45 0.00 0.00 0.00 0.42 0.00 0.00 0.00 3.38 2.75 2.75 5.06 0.00 0.20 2.73 0.00 2.13 0.00 0.00 12.05 12.05 11.74 0.00 0.81 0.00 0.91 1.82 4.35 0.20 0.00 0.00 8.81 8.81 8.81 0.25 0.00 0.25 0.00 1.52 0.51 4.05 0.00 0.00 0.00 8.10 7.59 7.59 0.00 0.00 0.00 0.52 0.00 0.13 0.66 0.66 0.00 0.00 0.00 3.81 3.81 3.67 0.00 0.00 0.00 0.00 0.72 0.00 0.00 0.00 2.90 0.00 0.00 0.00 22.45 3.62 3.62 0.72 0.00 0.24 0.48 0.00 4.58 0.00 0.00 0.00 1.20 0.00 0.00 0.00 20.47 7.95 7.95 0.00 0.00 0.00 0.00 0.00 0.00 1.61 0.80 0.00 0.00 0.00 0.00 0.00 0.00 6.03 4.02 3.22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84 0.00 0.00 0.00 23.45 2.51 2.51 0.00 0.00 0.00 0.36 0.00 0.00 0.00 0.00 0.72 0.00 0.36 0.00 3.96 0.00 0.00 0.00 6.47 5.40 5.40 0.00 0.00 0.00 0.00 0.94 0.00 0.19 0.00 0.00 1.13 0.00 0.19 0.00 0.38 0.00 0.00 0.00 7.53 2.82 2.82 0.00 2.06 0.00 0.00 0.00 1.38 0.00 0.69 0.00 0.00 4.81 0.00 2.75 0.69 0.00 0.00 0.00 0.00 46.76 12.38 12.38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32 0.00 2.27 0.00 0.32 0.00 0.00 0.00 19.43 2.91 2.91 2.62 0.00 0.00 0.00 0.00 0.00 0.00 3.15 0.00 0.52 0.00 0.00 1.57 0.00 0.52 0.00 2.62 0.00 0.00 0.00 11.02 8.40 8.40 2.54 0.00 0.00 0.00 0.00 0.00 0.00 2.03 0.00 0.00 0.00 0.00 0.00 0.00 1.02 0.00 3.56 0.00 0.00 0.00 9.15 6.60 6.60 트랙 순번 연도 격자 반복 조사 트랙길이 (m) 고라니 고양이 꽃사슴 너구리 두더지 등줄쥐 멧돼지 멧토끼 무산쇠 족제비 87 2017 석성 1회 2,972.90 7.06 0.34 0.00 0.00 0.00 0.00 0.00 0.34 0.00 0.00 0.00 0.00 0.00 88 2017 석성 1회 2,080.30 7.69 0.00 0.00 0.00 0.00 0.00 0.00 0.96 0.00 0.00 0.00 0.00 89 2017 외산 1회 5,750.66 1.22 0.00 0.00 0.17 0.00 0.70 0.00 0.00 0.00 0.00 0.00 90 2017 외산 1회 3,936.84 2.29 0.25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91 2017 외산 1회 3,476.26 0.86 0.00 0.00 0.00 0.00 0.29 0.00 0.00 0.00 92 2017 외산 1회 2,612.17 16.84 0.00 0.00 0.00 0.00 0.00 0.00 1.91 93 2017 외산 1회 4,733.62 0.63 0.00 0.00 0.00 0.00 0.00 0.00 82 2017 1회 9,878.10 0.00 0.00 0.00 0.00 0.30 0.20 83 2017 1회 9,880.05 0.00 0.00 0.00 0.00 0.00 81 2017 1회 3,951.22 0.51 0.00 0.00 0.00 80 2017 1회 7,619.29 0.00 0.00 0.00 94 2017 웅천 1회 1,380.90 18.83 0.00 95 2017 웅천 1회 4,152.81 12.52 96 2017 웅천 1회 2,487.43 97 2017 웅천 1회 98 2017 웅천 99 2017 100 안주 애기 박쥐 오소리 족제비 청설모 하늘 다람쥐 0.00 0.00 0.00 0.00 0.00 0.00 0.48 0.00 0.00 0.00 2.40 0.00 0.00 1.04 0.00 0.00 0.00 0.00 0.00 0.00 0.25 0.00 0.51 0.00 0.00 0.00 0.00 0.29 0.00 0.00 0.00 0.00 0.00 0.00 0.38 0.00 0.63 0.00 0.00 0.21 0.00 1.48 0.71 0.20 0.00 0.51 0.00 0.00 0.20 0.30 0.10 0.00 0.10 0.00 0.00 0.00 0.76 0.00 0.00 0.25 0.00 0.13 0.00 1.7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72 0.00 0.00 0.00 2.01 0.00 0.00 1.61 0.00 0.00 1,193.97 20.94 0.00 0.00 1.68 0.00 1회 2,780.08 1.08 0.00 0.00 0.00 판교 1회 5,309.77 4.71 0.00 0.00 2017 판교 1회 1,454.25 34.38 0.00 101 2017 판교 1회 3,088.20 16.51 102 2017 판교 1회 1,904.80 103 2017 판교 1회 1,968.23 운문 산 운문 산 운문 산 운문 산 노루 다람쥐 담비 254 삵 수달 염소 11종 총합 계 총합계 고라니 제외 총합계 0.00 7.98 2.13 2.13 0.00 0.00 14.52 5.53 5.53 0.00 0.00 0.00 14.96 1.36 0.68 0.00 0.00 0.00 0.00 25.07 2.87 2.87 0.48 0.96 0.00 0.00 0.00 20.54 2.87 2.87 0.00 0.00 0.00 0.00 0.00 0.00 20.92 1.49 1.49 3.61 0.00 0.00 0.00 0.00 0.00 0.00 7.22 5.15 1.55 0.36 0.00 3.21 0.00 4.64 0.00 0.00 0.00 10.34 9.99 9.99 0.00 0.00 0.00 0.17 0.00 0.17 0.00 0.00 0.00 3.24 1.19 1.19 0.00 0.00 0.00 0.00 5.81 0.00 0.65 0.00 0.00 1.29 22.59 13.56 9.68 0.38 1.15 0.00 1.53 0.00 2.30 0.00 1.92 0.00 0.00 0.00 23.02 12.66 12.66 0.00 0.34 0.00 0.00 0.00 0.00 1.71 0.00 1.03 0.00 0.00 0.00 8.55 4.79 4.45 0.00 0.00 0.00 2.16 0.00 0.93 0.00 0.00 0.00 0.00 0.00 0.62 0.00 4.02 4.02 3.40 0.28 2.27 0.00 0.28 0.00 0.00 0.57 0.00 0.00 0.00 0.28 0.00 0.00 0.00 5.10 4.25 4.25 0.63 0.31 1.88 0.00 1.57 0.00 0.00 0.31 0.00 0.00 0.00 0.31 0.00 0.00 0.00 8.79 5.96 5.02 0.00 0.00 0.00 3.03 0.00 2.27 0.00 0.00 3.03 0.00 0.00 0.00 0.00 0.00 0.00 0.00 23.50 8.34 8.34 0.00 0.00 0.00 1.88 0.00 1.13 0.00 0.00 1.13 0.00 0.00 0.00 0.00 0.00 0.00 0.00 5.26 4.13 4.13 트랙 순번 연도 격자 반복 조사 트랙길이 (m) 고라니 고양이 꽃사슴 너구리 두더지 등줄쥐 멧돼지 멧토끼 무산쇠 족제비 104 2017 판교 1회 1,879.85 5.85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05 2017 홍산 1회 1,446.47 8.99 0.00 0.00 0.69 0.00 0.00 0.00 2.77 0.00 0.00 0.00 0.00 106 2017 홍산 1회 1,470.75 13.60 0.68 0.00 0.00 0.00 0.00 0.00 0.68 0.00 0.00 0.00 107 2017 홍산 1회 1,396.11 22.20 0.00 0.00 0.00 0.00 0.00 0.00 1.43 0.00 0.00 108 2017 홍산 1회 2,093.72 17.67 0.00 0.00 0.00 0.00 0.00 0.00 0.48 0.00 109 2017 홍산 1회 1,338.56 19.42 0.00 0.00 0.00 0.00 0.00 0.00 1.49 110 2017 홍산 1회 1,939.97 2.06 0.00 0.00 0.00 0.00 0.00 0.00 111 2018 대덕 1회 2,803.93 0.36 0.00 0.00 0.00 0.00 0.00 112 2018 안천 1회 5,862.17 2.05 0.00 0.00 0.00 0.00 113 2018 웅양 1회 1,549.16 9.04 0.00 0.00 0.00 114 2018 웅양 1회 2,606.22 10.36 0.00 0.00 115 2018 적상 1회 2,922.28 3.76 0.00 116 2018 진조 1회 3,234.01 0.00 117 2018 진조 1회 3,530.65 118 2018 진조 1회 119 2018 진조 120 2018 진조 안주 애기 박쥐 오소리 족제비 청설모 하늘 다람쥐 0.00 0.53 0.00 1.60 0.00 0.00 0.00 0.00 1.38 0.00 0.69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72 0.00 0.72 0.00 0.00 0.00 0.00 0.96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52 0.00 1.03 0.00 0.00 0.00 0.36 0.36 0.00 0.36 0.71 0.00 0.00 0.17 0.68 0.00 0.00 0.00 2.58 0.00 0.00 1.94 0.00 1.29 0.00 0.00 0.00 0.38 4.99 0.00 0.00 0.00 0.34 0.00 1.37 0.00 0.00 0.00 0.31 0.00 0.00 0.00 0.85 0.00 0.00 0.00 0.00 0.57 3,186.74 2.82 0.00 0.00 0.00 0.94 1회 1,319.34 15.16 0.00 0.00 0.00 1회 2,663.91 1.13 0.00 0.00 0.00 노루 다람쥐 담비 255 삵 수달 염소 11종 총합 계 Appendix II. List of mammal field sign coordinates from 2012 to 201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888968 127.2833889 2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16366 127.2768781 3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50973 127.2753158 4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39655 127.2735745 5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427221 127.2808996 6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337252 127.2802421 7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861748 127.2841641 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776726 127.2892177 9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16965 127.2781865 1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25545 127.2761577 1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35522 127.2758808 1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41836 127.2758588 1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42798 127.2755928 1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2516 127.2739067 1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8239658 127.2735635 16 두더지 굴 대아신정 2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769349 127.2573718 17 다람쥐 목견 대아신정 2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401439 127.2624809 18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2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6137437 127.2555768 19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443335 127.3481434 20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4223151 127.3457514 21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833226 127.3477957 22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402797 127.3496497 23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265891 127.3493666 24 족제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743537 127.3457511 25 삵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773652 127.3481145 26 삵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032879 127.3479601 27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4894887 127.3508792 28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4800482 127.3501102 29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4275416 127.3457758 30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292973 127.3492126 31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702723 127.3466472 32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682284 127.3492963 33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741794 127.3491991 34 등줄쥐 사체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91807 127.3473561 35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417384 127.3485413 36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653977 127.3469222 37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41823 127.3487298 38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40289 127.3487956 39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207939 127.3497735 40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160477 127.3492622 41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180291 127.3493074 25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42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554129 127.3499112 43 꽃사슴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409958 127.3498162 4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5344166 127.3492918 45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6217536 127.3364156 46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6240569 127.3378355 47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622059 127.335163 48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6222118 127.3329127 49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628456 127.3319841 50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3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6230312 127.3326137 51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127403 127.3274097 52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106123 127.3277997 53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0566869 127.3328197 54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780524 127.331225 55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788879 127.3303392 56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698625 127.327522 57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840678 127.3320582 58 삵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466565 127.3157052 59 삵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727193 127.3285201 60 삵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0326175 127.3330422 61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1115437 127.3273145 62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118397 127.3271733 63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763008 127.3293744 64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708309 127.3283642 6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704039 127.3275001 6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551086 127.3232183 6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569737 127.3242381 68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875988 127.3030915 69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760014 127.3019567 70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933028 127.3214278 71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83877 127.3146378 72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666169 127.3217716 73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077007 127.3208392 74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022969 127.320704 75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095061 127.3207291 76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474183 127.3218525 77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350872 127.3212602 78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233771 127.3210339 79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154569 127.3206318 80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1952397 127.3217316 81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1786849 127.3240405 82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410074 127.2993946 83 삵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56607 127.3220002 84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843642 127.3027024 257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85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410082 127.2993613 86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480469 127.316574 87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944464 127.3102201 88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516501 127.3166419 89 두더지 굴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1891024 127.3220615 90 두더지 굴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1872033 127.3223045 91 두더지 굴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2509337 127.3218317 92 두더지 굴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325452 127.2990146 93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954939 127.3080373 94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799621 127.3021466 95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790623 127.3020908 96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421035 127.3163943 97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4032006 127.3062338 98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921853 127.3034811 99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491892 127.3001734 10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4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93484707 127.3000734 101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492966 127.2917561 102 삵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735563 127.2932122 103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500951 127.2922769 104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492046 127.2918335 105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921048 127.2939167 10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689638 127.2930554 107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495059 127.29056 108 삵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500493 127.2904495 109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515057 127.289852 110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567409 127.2916557 111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533285 127.291145 112 두더지 굴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913601 127.2823099 113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805318 127.2858422 114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558849 127.2876386 115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959004 127.3506395 116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678039 127.3529526 117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600334 127.3536246 118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56692 127.3538557 119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848797 127.3515095 120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79909 127.3519834 12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918312 127.3511028 12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8321273 127.3445201 12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893062 127.351157 12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877695 127.3513114 12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842466 127.3515867 12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818989 127.3517407 12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79908 127.3520167 25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2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769304 127.3521371 129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1 대아 35.87751211 127.3523689 130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660303 127.2897844 131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255407 127.2907551 132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481145 127.2906005 133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471244 127.2905448 13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69097 127.2896859 13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659402 127.2897844 13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587183 127.29028 13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131771 127.291437 13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5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240089 127.2907434 139 청설모 목견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975916 127.3609259 140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24809 127.356189 141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947183 127.3605703 142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131445 127.3574793 143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655725 127.3587415 144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391514 127.3592278 145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378843 127.3594043 146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317926 127.3611839 147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313175 127.3555275 148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166485 127.3612878 149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418771 127.3550228 150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383524 127.3553535 151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022519 127.3605063 152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645744 127.3602587 153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507944 127.3599536 154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3881 127.3598817 155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303301 127.3601547 156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961325 127.3602047 157 오소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935248 127.3600042 158 삵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334805 127.3555285 159 삵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690033 127.3572369 160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341073 127.354786 161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74397 127.3513982 162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252134 127.3538191 163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51908 127.3512533 164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19502 127.3511191 165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20758 127.3499016 166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222521 127.3533861 167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220725 127.3533638 168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2077 127.3603829 169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229688 127.3535303 17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704407 127.3573925 259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71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596136 127.3603894 172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15955 127.3509197 173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22364 127.3505768 174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7443 127.3481883 175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72685 127.347989 176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662874 127.3602374 177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130109 127.3519652 178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738433 127.3581357 179 두더지 굴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100752 127.3475475 180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355573 127.3553965 181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592744 127.3583844 182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02579 127.3581832 183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7010337 127.3586254 184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951415 127.3597632 185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798768 127.3608857 186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721385 127.3604725 187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221629 127.3533528 188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596136 127.3603894 189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738476 127.3579918 19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15877 127.3525752 19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029307 127.3483966 19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3926835 127.3474624 19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586416 127.3584506 19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549524 127.3582496 19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22865 127.361357 19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923542 127.3599705 19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759983 127.3584023 19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690033 127.3572369 199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647849 127.3566483 20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949603 127.3597964 20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586755 127.3560035 20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554445 127.3555482 20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540058 127.3554369 20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524756 127.3553698 20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450881 127.355278 20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386301 127.3598706 20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6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6146366 127.3605461 208 삵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3299329 127.3086985 209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693931 127.3112425 210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641092 127.3099456 21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687751 127.3107442 212 족제비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4262279 127.314071 213 멧토끼 목견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624344 127.3265683 26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14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319641 127.3235336 215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575169 127.325116 216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3460124 127.3107522 217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070692 127.3209331 218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123747 127.321378 219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319647 127.3235115 220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64884 127.3259715 221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349521 127.3109971 222 꽃사슴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394253 127.3242451 223 꽃사슴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531026 127.3250478 22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320548 127.3235115 22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7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5633396 127.3264248 226 두더지 굴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8781155 127.361076 22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8975728 127.3614056 228 삵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885829 127.3616038 229 삵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251231 127.3619844 230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984354 127.3649295 231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793688 127.3639884 232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3291331 127.3660835 233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387883 127.3601096 234 두더지 굴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931138 127.365071 235 두더지 굴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69129 127.3654473 236 두더지 굴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754484 127.3608122 237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576276 127.3600075 238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841439 127.35973 239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821446 127.3602823 24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482122 127.3627264 24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333093 127.3598509 24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396121 127.3630507 24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3226492 127.3659145 24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3001515 127.3648086 24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93024 127.3650599 24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859923 127.365123 24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738198 127.3653056 24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701207 127.3654367 249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606929 127.3642704 25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58021 127.3632178 25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526246 127.3628502 25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242448 127.3625274 25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18838 127.3625028 25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138688 127.36291 25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093589 127.3630297 25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2045767 127.3632156 261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5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892986 127.3617812 25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798572 127.3610577 259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7257 127.3606228 26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300147 127.3611568 26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272954 127.3616756 26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554202 127.3631698 26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246708 127.3620396 26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229487 127.3623597 26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799697 127.3606796 26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216583 127.3633106 26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14249 127.3639379 26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102795 127.3640689 269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085671 127.3640681 27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059569 127.3639563 27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959571 127.3638189 27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939747 127.363807 27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878425 127.3639259 27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816219 127.3639894 27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79422 127.3609116 27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767576 127.3639098 27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662382 127.3617575 27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750442 127.3639422 279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6594 127.3639933 280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647747 127.3637826 281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636064 127.3636714 28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596507 127.3633488 28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588399 127.3633373 28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578492 127.3633148 28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57219 127.3632923 286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0566796 127.3632478 28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8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361112 127.3625845 288 청설모 식흔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247527 127.3001655 289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411088 127.2984234 290 두더지 굴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696357 127.2965198 291 두더지 굴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614102 127.2974905 292 두더지 굴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429982 127.2985569 293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278396 127.2992594 294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01948 127.3002787 295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014089 127.3002121 296 너구리 배설물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559136 127.2900748 29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543022 127.2896205 29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9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81555488 127.2902517 299 꽃사슴 배설물 대아신정 10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756565 127.2976646 26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00 족제비 배설물 대아신정 10 1 회방문 2012 357023 301 멧돼지 배설물 대아신정 10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69319 127.2914782 신정 35.79394896 127.2838455 302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10 1 회방문 2012 303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10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420332 127.2829946 357023 신정 35.79400178 127.2843767 304 담비 배설물 대아신정 10 1 회방문 305 꽃사슴 배설물 대아신정 10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9530329 127.2866159 2012 357023 신정 35.79422344 127.2859151 306 두더지 굴 대아신정 11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6007071 127.3022354 307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308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1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6758242 127.2932732 11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6052229 127.3018611 309 멧토끼 배설물 310 멧토끼 배설물 대아신정 11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7312462 127.2860276 대아신정 11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7280897 127.2861149 311 두더지 굴 대아신정 11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7149935 127.2872825 312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1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7114709 127.2876019 313 고라니 배설물 대아신정 11 1 회방문 2012 357023 신정 35.77095762 127.2876897 314 족제비 배설물 음성청안 1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4421103 127.634354 315 오소리 식흔 음성청안 1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4599202 127.633817 316 오소리 식흔 음성청안 1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4216099 127.634375 317 멧토끼 배설물 음성청안 1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4064898 127.635126 318 두더지 굴 음성청안 1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4675301 127.634225 31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1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40595 127.635105 32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1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4124904 127.63474 321 멧토끼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890001 127.70658 322 멧토끼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871703 127.722437 323 두더지 굴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863204 127.706687 324 두더지 굴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534901 127.710249 325 두더지 굴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597104 127.715592 326 두더지 굴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737601 127.720335 327 두더지 굴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769796 127.720506 328 두더지 굴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7762 127.721236 329 두더지 굴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857797 127.721601 330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587397 127.713919 33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936101 127.705979 33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5692 127.709606 33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656104 127.719648 334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7044 127.719884 33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784799 127.721107 33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865299 127.721601 33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2 1 회방문 2013 367032 음성 36.93886799 127.723532 338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103003 127.665982 339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0708 127.660897 340 삵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802604 127.662807 341 삵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920596 127.662013 342 멧토끼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312199 127.666647 263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43 344 두더지 굴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857296 127.662227 노루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799402 127.664866 345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229603 127.666476 346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899097 127.662141 347 고라니 발자국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257498 127.667334 34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315401 127.664909 34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154502 127.659867 35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203804 127.66609 35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2779 127.666605 35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3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311101 127.666883 353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09097 127.727394 354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413 127.738638 355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31603 127.737994 356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662001 127.721879 357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21997 127.734711 358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177096 127.721043 359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456 127.731192 360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199602 127.72042 361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7694 127.729239 362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347701 127.717609 363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758697 127.728488 364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5129 127.715871 365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7823 127.727995 366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320799 127.718725 367 오소리 굴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627699 127.715228 368 삵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420602 127.719755 369 삵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594398 127.715571 370 멧토끼 목견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592196 127.721622 371 노루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592196 127.721601 372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312199 127.718747 373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04797 127.736106 374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247898 127.719991 37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943102 127.715528 37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093297 127.716279 37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120203 127.716343 37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16599 127.736835 37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157703 127.717073 38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07999 127.735763 38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168399 127.717288 38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20899 127.734518 38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240299 127.717845 384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47704 127.733617 38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384099 127.71939 264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8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75599 127.726686 38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419504 127.719691 38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610502 127.721729 38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846598 127.731814 39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185696 127.721965 39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140601 127.723231 39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184598 127.721944 39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222099 127.719862 394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336897 127.717888 39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4778998 127.728038 39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8594 127.715142 39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420602 127.720571 39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880899 127.715356 39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496701 127.721364 40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5815504 127.714927 401 고라니 발자국 음성청안 4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6423804 127.720184 402 족제비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23403 127.682354 403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58401 127.714906 404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846801 127.718961 405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61201 127.703447 406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271596 127.682333 407 무산쇠족제비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349 127.685101 408 삵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64796 127.714884 409 삵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40603 127.690229 410 삵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556003 127.716837 411 삵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85902 127.703598 412 삵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57303 127.715142 413 삵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837104 127.692289 414 삵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315601 127.689521 415 삵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2952 127.689757 416 멧토끼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2952 127.720163 417 멧돼지 식흔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537697 127.717009 418 멧돼지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136502 127.682354 419 두더지 굴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031304 127.682076 420 두더지 굴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270599 127.691689 421 두더지 굴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65204 127.697074 422 두더지 굴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395003 127.681818 423 두더지 굴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68099 127.71467 424 다람쥐 식흔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110803 127.682998 425 다람쥐 목견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103301 127.682827 426 다람쥐 목견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1558 127.68553 427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5828 127.716472 428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306102 127.6845 265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429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274899 127.682354 430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55803 127.689114 431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97704 127.698212 432 너구리 식흔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267402 127.68244 433 고라니 발자국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1462 127.682633 434 고라니 발자국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304898 127.692461 435 고라니 목견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372498 127.719004 43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288796 127.720163 43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87801 127.691324 43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193301 127.720592 43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459 127.689714 44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028102 127.720013 44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34404 127.688556 44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2191 127.690959 44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39496 127.718554 444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11798 127.688427 44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04296 127.718318 44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580701 127.688105 44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515297 127.717931 44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564599 127.688084 44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799 127.717674 45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63799 127.68611 45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42299 127.717609 45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01496 127.68553 45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104302 127.682269 454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388697 127.716858 45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520603 127.71379 45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322103 127.684801 45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941198 127.682118 45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62701 127.712052 45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81602 127.706494 46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23403 127.705464 46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591396 127.702053 46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36499 127.7001 46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287698 127.683964 464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409998 127.71806 46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857497 127.693105 46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80898 127.71246 46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44903 127.690423 46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598898 127.688255 46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527099 127.687826 47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4208 127.715721 47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617196 127.703061 26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47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2703001 127.718425 47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5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3106397 127.720034 474 청설모 식흔 음성청안 6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1665498 127.660532 475 멧토끼 배설물 음성청안 6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1563599 127.664094 476 멧토끼 배설물 음성청안 6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16688 127.66315 477 두더지 굴 음성청안 6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1324396 127.661927 47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6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1551797 127.663686 47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6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81667702 127.660618 480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8246 127.691839 481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9051 127.690315 482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036997 127.688727 483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710802 127.687118 484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780598 127.688084 485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214098 127.68362 486 오소리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326701 127.684522 487 오소리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980104 127.689371 488 오소리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095 127.688169 489 오소리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397503 127.685208 490 오소리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455497 127.68553 491 오소리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816003 127.688406 492 오소리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877099 127.688727 493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759204 127.693319 494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249504 127.685509 495 오소리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761202 127.687805 496 두더지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9046597 127.690959 497 두더지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320297 127.684457 498 두더지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966198 127.689114 499 두더지 굴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263401 127.683814 500 다람쥐 목견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9048902 127.690895 501 다람쥐 목견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96238 127.687805 502 다람쥐 목견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9122797 127.6895 503 너구리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9025198 127.68965 504 고라니 발자국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9047704 127.691002 50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816003 127.691367 50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851397 127.698061 50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794503 127.688234 50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859996 127.690938 50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429698 127.685444 51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7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142198 127.696924 511 청설모 식흔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4286 127.722223 512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510303 127.715678 513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334203 127.724111 514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294498 127.724841 267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515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264499 127.725034 516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003796 127.726557 517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909399 127.727072 518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778499 127.726707 519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749498 127.726042 520 오소리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592899 127.723382 521 오소리 굴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629402 127.714198 522 오소리 굴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4148 127.716601 523 오소리 굴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55 127.714992 524 삵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502802 127.722373 525 멧토끼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402901 127.721858 52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609 127.714262 52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995197 127.7266 52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867498 127.727952 52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760202 127.725549 53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6851 127.723961 53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570301 127.72321 53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467296 127.721279 53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364299 127.719541 534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565004 127.71482 53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369697 127.719476 536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313902 127.721558 537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3525 127.721643 538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404996 127.721944 539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354604 127.723832 540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279502 127.724969 541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245204 127.72512 542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194803 127.725291 543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1411 127.725463 544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7382597 127.719347 545 고라니 배설물 음성청안 8 1 회방문 2013 367034 청안 36.78098202 127.725785 546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74078 126.4062667 547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54766 126.4062238 54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44037 126.4063525 549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0434 126.4063096 55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936749 126.4063954 55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919582 126.4064169 55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872375 126.4070392 553 두더지 굴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886323 126.4069963 554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880959 126.4073825 555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903489 126.4080691 55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86952 126.4694166 55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91244 126.4701033 26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55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82661 126.4703178 55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15069 126.4702964 56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980737 126.4703608 56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00049 126.4715195 56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985028 126.4717341 56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94855 126.4719915 56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919582 126.4724636 56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76616 126.4721417 566 족제비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791909 126.4734292 56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689985 126.4715838 56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69535 126.4713049 56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682475 126.4712191 57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677111 126.4712834 571 청설모 목견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691058 126.4665842 57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693204 126.4666915 573 두더지 굴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3830533 126.4665628 57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082661 126.46667 57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152398 126.4666271 57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181366 126.4666486 57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2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4217844 126.4665413 57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536708 126.4148498 57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497011 126.4151931 580 고라니 발자국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441221 126.4156008 58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355391 126.4163518 58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324277 126.4169526 58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282434 126.4200211 584 두더지 굴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088243 126.4230895 58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095753 126.4237332 586 두더지 굴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089315 126.4250422 587 두더지 굴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580696 126.4322734 588 두더지 굴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1624684 126.432724 58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244811 126.4351273 590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239447 126.4342904 59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245884 126.4337754 59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25554 126.4321446 593 두더지 굴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24803 126.4318872 59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293091 126.4311147 59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63901 126.4290547 596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56391 126.4260507 59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429347 126.4249778 59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72484 126.4247203 599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52099 126.4234114 60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39225 126.4233899 269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60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41371 126.4228964 60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28496 126.4226389 603 두더지 굴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37079 126.4225531 604 두더지 굴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56391 126.4222312 60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375703 126.4220166 60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45295 126.4215875 60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466898 126.4213944 60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489429 126.4209223 609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496939 126.4202142 61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498012 126.4201284 611 두더지 굴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487283 126.4189482 61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5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72494793 126.4188194 613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852353 126.4539027 61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733263 126.4540315 61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70966 126.4541173 61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693566 126.4539027 61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622756 126.4533019 61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622756 126.4528513 61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579841 126.4524007 62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335223 126.4511561 62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275142 126.4511132 62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25583 126.4513063 62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143177 126.4507699 624 두더지 굴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7894268 126.4607906 62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7885685 126.4608979 626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7785907 126.4633656 62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7995119 126.4670134 62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046618 126.4673781 62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064857 126.4676356 630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26334 126.4717126 631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38243 126.4765835 632 두더지 굴 인천김포 7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8461823 126.4770985 63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5773177 126.4515853 634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5840769 126.4510918 635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596415 126.4513922 63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5968442 126.4512849 63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001701 126.4507055 638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047835 126.4501905 63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069293 126.4499331 640 고라니 발자국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308546 126.449461 64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36219 126.449182 64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391158 126.4480448 643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08324 126.447959 27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64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13689 126.4477229 64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08324 126.4473796 64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26563 126.4469719 647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39438 126.4470148 648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57677 126.4468432 649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180901 126.4492893 65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543508 126.4442039 65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621828 126.4441824 65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661525 126.443882 65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673326 126.443646 654 두더지 굴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718388 126.4433456 65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731262 126.4431739 65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759157 126.4430237 65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769886 126.4429379 658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772032 126.4429593 65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883612 126.4413071 66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899705 126.4407492 66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873956 126.4403629 662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736627 126.4369726 663 두더지 굴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612172 126.4376378 664 멧토끼 관찰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90936 126.4393973 665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11543 126.4408135 66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407251 126.4407277 66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387939 126.4408565 66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368628 126.4409638 669 두더지 굴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6086459 126.4420152 67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5990973 126.4442468 67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5909433 126.4448047 67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588583 126.4451265 67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8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5848279 126.4455771 67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2591004 126.3903022 675 두더지 굴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2597442 126.3903022 676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2770176 126.388607 677 두더지 굴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2786269 126.3885641 67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2833476 126.3887143 67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2943983 126.3887572 68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072729 126.3887787 681 족제비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139248 126.3889933 682 두더지 굴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18109 126.3890576 683 너구리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266921 126.3889933 684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305545 126.3897014 68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442874 126.3895512 686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465405 126.3891006 271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68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463259 126.388886 68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526559 126.3887143 68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640285 126.3887143 690 두더지 굴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751864 126.3886285 69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2 강화 37.63917089 126.3879204 692 고라니 발자국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581421 126.3966751 693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2007356 126.4011598 694 삵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2147903 126.3999367 695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222837 126.3968682 69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2307763 126.3948298 69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2302399 126.3933921 698 족제비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230669 126.3930273 69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9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2356043 126.3907099 70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863589 126.4535809 701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94191 126.4524221 70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961222 126.4494181 703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977315 126.4486885 70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517048 126.4475083 70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510611 126.4482379 70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507392 126.4486456 70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510611 126.4488387 70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481643 126.4492464 70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482716 126.4500189 71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446238 126.4508128 71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433363 126.4512205 71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416197 126.451478 71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404395 126.4516711 71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400104 126.4519501 715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78646 126.4524436 71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75427 126.4525509 717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5397 126.4528084 718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29818 126.4534736 719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291742 126.4537096 72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12127 126.4545894 721 고라니 발자국 인천김포 10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21783 126.4548039 722 너구리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567473 126.4910889 72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523485 126.4907885 724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87229 126.4894581 725 두더지 굴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80792 126.4894795 726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87229 126.4893508 72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79719 126.4892435 728 너구리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78646 126.4889002 72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360407 126.4886427 27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730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085749 126.495595 731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002064 126.49611 732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002064 126.4963675 733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01172 126.4967966 73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0997772 126.4970326 735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056781 126.4983845 736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047125 126.4993715 737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64 신도 37.61052489 126.4995647 73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048198 126.5013886 73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100769 126.5031695 740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110425 126.5032768 741 두더지 굴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190891 126.505208 742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218786 126.5056157 74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220932 126.5056586 74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231661 126.5062165 745 두더지 굴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32822 126.5065384 74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341095 126.5066886 74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350751 126.506753 74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360407 126.5069032 74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366844 126.5070105 750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377573 126.5071821 75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392593 126.5070748 75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455894 126.507268 753 고라니 발자국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468768 126.5073538 754 두더지 굴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479497 126.5075469 75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485934 126.5076757 75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494517 126.5074825 75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514902 126.5076327 75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552453 126.50774 75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548162 126.5076971 76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627108 126.5079331 76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627108 126.5079331 76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11 1 회방문 2014 376073 영종 37.61603951 126.5076757 763 삵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421692 126.5706325 764 두더지 굴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3791909 126.5649033 765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3625612 126.5675855 766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3957133 126.5704179 76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070859 126.5747094 768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14847 126.5732074 769 족제비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12701 126.5720272 770 족제비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18066 126.5709114 77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13774 126.5707612 77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098754 126.5700102 273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77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93168 126.56883 77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80293 126.5688515 77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7171 126.5689588 77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49179 126.5691519 77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20212 126.5696454 778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06264 126.5697098 77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03045 126.5699458 78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16993 126.5700531 78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292946 126.5707827 782 너구리 배설물 인천김포 3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245739 126.5705037 783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41669 126.5971756 784 삵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17171 126.5972829 785 고라니 털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211407 126.5975404 786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671674 126.5939999 78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687767 126.593678 788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700642 126.5936995 789 족제비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731755 126.5935493 790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834752 126.5935707 79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839044 126.5935922 79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874449 126.5922618 793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874449 126.592176 79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847627 126.5904808 79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869084 126.5897942 796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839044 126.5878415 797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785399 126.5879059 798 두더지 굴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734974 126.5876913 79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605155 126.5874338 800 고라니 목견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487138 126.5881419 80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416327 126.5878415 802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4397016 126.5880561 803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3903489 126.5929484 804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3917437 126.5930772 80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3928165 126.5933347 806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3929238 126.593442 80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4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3951769 126.593957 808 고양이 목견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69498229 126.5431452 80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69567966 126.5399694 810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69594789 126.5399265 811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69683838 126.5388107 812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0023942 126.5373516 813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6987803 126.5382958 814 청설모 식흔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69938111 126.5408707 815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69971371 126.5426302 274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816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817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00454 126.5439606 통진 37.69999266 126.5455055 818 멧토끼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819 고라니 배설물 인천김포 6 1 회방문 2014 376071 통진 37.70077586 126.550355 376071 통진 37.69716024 126.5488315 820 삵 배설물 봉당 1 3차 821 삵 배설물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66266 127.5258046 2015 357153 봉당 35.1151221 127.5259819 822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36397 127.5276239 823 청설모 식흔 봉당 824 두더지 굴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25809 127.5316026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15614 127.5321306 825 두더지 굴 826 두더지 굴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27774 127.5300784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31333 127.5287762 827 두더지 828 오소리 굴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42833 127.5265953 배설물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49082 127.5261589 829 두더지 830 청설모 굴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51106 127.5260122 식흔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59391 127.5262356 831 청설모 832 두더지 목견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62634 127.52627 굴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68884 127.5255547 833 834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69513 127.5254794 두더지 굴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71238 127.5251451 835 삵 배설물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71565 127.525002 836 삵 배설물 봉당 1 3차 2015 357153 봉당 35.116894 127.5248263 837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68006 127.5256585 838 너구리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39397 127.527125 839 두더지 굴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13977 127.5322777 840 두더지 굴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18942 127.5320402 841 두더지 굴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21566 127.5319638 842 청설모 식흔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27502 127.5305901 843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31442 127.5288487 844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429 127.5266606 845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47789 127.5262398 846 삵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50427 127.5260353 847 오소리 터널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67014 127.5256752 848 청설모 식흔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68289 127.5256053 849 고라니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69384 127.525506 850 너구리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70367 127.5252894 851 삵 배설물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71154 127.5250092 852 두더지 굴 봉당 1 2차 2015 357153 봉당 35.1168774 127.5248781 853 청설모 식흔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26314 127.5315521 854 족제비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28548 127.531149 855 청설모 목견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27709 127.5305216 856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27923 127.5299516 857 청설모 식흔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28718 127.5294986 858 삵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28676 127.529476 275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859 고라니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357153 860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2941 127.5292645 봉당 35.1139847 127.5271422 861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862 두더지 굴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48186 127.5262367 357153 봉당 35.1151792 127.5260075 863 오소리 배설물 봉당 1 1차 864 삵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53553 127.5260105 2015 357153 봉당 35.1159475 127.5262827 865 고라니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64776 127.5261939 866 두더지 굴 봉당 867 청설모 식흔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67245 127.5257121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70837 127.5252823 868 삵 배설물 869 삵 배설물 봉당 1 1차 2015 357153 봉당 35.1171507 127.5250361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95452 127.5482254 870 삵 871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95672 127.5489756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89313 127.5513882 872 873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8953 127.5514115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88812 127.5514396 874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78302 127.552765 875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60875 127.5533681 876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60904 127.553375 877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58765 127.5534718 878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34742 127.5563477 879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0793 127.5557057 880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09698 127.5549987 881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09588 127.5549834 882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09772 127.5548748 883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10194 127.5542555 884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0996349 127.5530018 885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0996358 127.5529841 886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01147 127.5519977 887 두더지 굴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0995039 127.5513852 888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03948 127.5495981 889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0998604 127.5492122 890 두더지 굴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0993914 127.5488013 891 족제비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04039 127.545386 892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22618 127.5421392 893 두더지 굴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39199 127.5438538 894 두더지 굴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53533 127.5446778 895 청설모 식흔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67461 127.5458604 896 삵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74703 127.5462069 897 담비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78419 127.5464638 898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9038 127.546445 899 두더지 굴 봉당 2 2차 2015 357153 봉당 35.1095242 127.5466458 900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96319 127.5486019 901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951 127.5489947 27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902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93974 127.549332 903 오소리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89954 127.5505036 904 청설모 식흔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89056 127.5512125 905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88626 127.5514102 906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78392 127.552757 907 고라니 발자국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78183 127.552814 908 다람쥐 목견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51356 127.554758 909 다람쥐 목견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4683 127.555259 910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34342 127.5557509 911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33479 127.5565131 912 족제비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08178 127.5561838 913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09117 127.5549625 914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09912 127.5543316 915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0993582 127.5533236 916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05431 127.5467237 917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07137 127.5467062 918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0429 127.545573 919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27444 127.5425042 920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28372 127.5426324 921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33075 127.5429814 922 족제비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3345 127.5430197 923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35603 127.5431141 924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39494 127.5438127 925 오소리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58402 127.5450782 926 청설모 식흔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62246 127.5454541 927 오소리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68211 127.5458252 928 담비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77872 127.5463956 929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83538 127.5467573 930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89076 127.5465584 931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88949 127.546704 932 두더지 굴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90451 127.5469268 933 삵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93667 127.5465659 934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94902 127.5465721 935 다람쥐 목견 봉당 2 1차 2015 357153 봉당 35.1094432 127.5470532 936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91736 127.5501416 937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91101 127.5504758 938 두더지 굴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962 127.5509099 939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949 127.551428 940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9342 127.5514025 941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8444 127.5514346 942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852 127.5514599 943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60951 127.5533553 944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60682 127.5533591 277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945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60752 127.5533971 946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37561 127.5548135 947 오소리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3331 127.5562634 948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599 127.5574461 949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6285 127.5574127 950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6508 127.5573988 951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6201 127.5572864 952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6198 127.5572869 953 삵 발자국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3716 127.5569773 954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7586 127.55558 955 다람쥐 목견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7014 127.5555139 956 멧돼지 발자국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8176 127.5551248 957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9812 127.5549869 958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9752 127.5548804 959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10269 127.5543264 960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10133 127.5541932 961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5677 127.5540619 962 고라니 발자국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0999743 127.5521906 963 오소리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3278 127.5519799 964 고라니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4081 127.5496934 965 멧돼지 식흔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0994681 127.5486802 966 멧돼지 발자국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7369 127.5467308 967 삵 발자국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7374 127.5467374 968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04651 127.5457262 969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38939 127.543697 970 족제비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51453 127.5445301 971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54614 127.5446298 972 두더지 굴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55441 127.544677 973 담비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59408 127.5452336 974 청설모 식흔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61731 127.545438 975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61858 127.545449 976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62619 127.545552 977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66041 127.5457956 978 청설모 식흔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68345 127.5458705 979 담비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79088 127.5464604 980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3329 127.5468061 981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3137 127.54678 982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375 127.5467635 983 삵 배설물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87135 127.546463 984 다람쥐 목견 봉당 2 3차 2015 357153 봉당 35.1079744 127.5485869 985 다람쥐 목견 봉당 3 2차 2015 357153 봉당 35.1071836 127.601701 986 다람쥐 목견 봉당 3 2차 2015 357153 봉당 35.1082949 127.6019936 987 다람쥐 목견 봉당 3 1차 2015 357153 봉당 35.1086032 127.6021021 27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988 삵 배설물 봉당 3 1차 2015 357153 봉당 35.1097565 127.6020821 989 다람쥐 목견 봉당 3 3차 2015 357153 봉당 35.1097955 127.602004 990 삵 배설물 봉당 3 3차 2015 357153 봉당 35.1096144 127.6021518 991 고라니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5511 127.5168644 992 고라니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54781 127.5169796 993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54777 127.5169769 994 고라니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57835 127.5176063 995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57961 127.5201884 996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49669 127.5225799 997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53878 127.5216594 998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54263 127.521646 999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60757 127.521068 1000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6197 127.5208504 1001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66471 127.5201002 1002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70334 127.5197042 1003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70769 127.5195639 1004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71091 127.519522 1005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7293 127.5191616 1006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72989 127.5191623 1007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86274 127.5179925 1008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86717 127.5179794 1009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87208 127.5179494 1010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89093 127.5177951 1011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91826 127.5173568 1012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93228 127.5171337 1013 너구리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93827 127.5170909 1014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9614 127.5165447 1015 두더지 굴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97316 127.5161179 1016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91204 127.5160815 1017 삵 배설물 봉당 4 2차 2015 357153 봉당 35.0788843 127.5156637 1018 삵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61022 127.5160771 1019 너구리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60574 127.5161998 1020 고라니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55016 127.5170092 1021 담비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58174 127.52014 1022 고라니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54163 127.5216809 1023 너구리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57694 127.5213902 1024 담비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59873 127.5212197 1025 두더지 굴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61984 127.5209001 1026 삵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62366 127.5208541 1027 두더지 굴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66946 127.5200642 1028 삵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73417 127.5191809 1029 삵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87179 127.5179814 1030 삵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88142 127.5178845 279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031 너구리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94304 127.5170064 1032 삵 배설물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95958 127.5168259 1033 두더지 굴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96922 127.5163048 1034 고라니 발자국 봉당 4 1차 2015 357153 봉당 35.0797522 127.5160614 1035 삵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54845 127.5169512 1036 오소리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57971 127.5213796 1037 삵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73265 127.5191493 1038 담비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82353 127.5184514 1039 삵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92004 127.5173662 1040 삵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92097 127.5173414 1041 오소리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94608 127.5169651 1042 두더지 굴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97285 127.5161978 1043 삵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91227 127.5160558 1044 삵 배설물 봉당 4 3차 2015 357153 봉당 35.0789227 127.5156448 1045 삵 배설물 봉당 5 2차 2015 357153 봉당 35.0520475 127.5583199 1046 고라니 배설물 봉당 5 2차 2015 357153 봉당 35.0536533 127.5538168 1047 담비 배설물 봉당 5 2차 2015 357153 봉당 35.0545091 127.5513146 1048 고라니 배설물 봉당 5 2차 2015 357153 봉당 35.0536802 127.5528691 1049 청설모 식흔 봉당 5 2차 2015 357153 봉당 35.0529974 127.5543206 1050 삵 배설물 봉당 5 2차 2015 357153 봉당 35.0529424 127.5544314 1051 두더지 굴 봉당 5 2차 2015 357153 봉당 35.0525043 127.5565739 1052 삵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081 127.5565832 1053 고라니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4516 127.5556858 1054 다람쥐 목견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879 127.5505358 1055 삵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36574 127.5537278 1056 두더지 굴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40624 127.5541278 1057 다람쥐 목견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40092 127.554269 1058 고라니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39536 127.5545328 1059 고라니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34847 127.554875 1060 오소리 터널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8823 127.5558774 1061 멧돼지 발자국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8431 127.5559654 1062 두더지 굴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5777 127.5562959 1063 멧돼지 발자국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4858 127.5566445 1064 두더지 굴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5142 127.5567274 1065 고라니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2755 127.5575038 1066 고라니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2018 127.5576128 1067 삵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0768 127.5580928 1068 두더지 굴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19608 127.5586575 1069 두더지 굴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0009 127.5588554 1070 삵 배설물 봉당 5 1차 2015 357153 봉당 35.0518179 127.5590218 1071 담비 배설물 봉당 5 3차 2015 357153 봉당 35.0536116 127.5536159 1072 삵 배설물 봉당 5 3차 2015 357153 봉당 35.0535169 127.5537174 1073 삵 배설물 봉당 5 3차 2015 357153 봉당 35.0521291 127.5565412 28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074 고라니 배설물 봉당 5 3차 2015 357153 봉당 35.0519418 127.5585587 1075 두더지 굴 봉당 5 3차 2015 357153 봉당 35.0519252 127.5585734 1076 삵 배설물 봉당 5 3차 2015 357153 봉당 35.0514254 127.5601924 1077 두더지 굴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481147 127.6140371 1078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499361 127.6128645 1079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16104 127.6133364 1080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2026 127.6137174 1081 오소리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26283 127.6137949 1082 두더지 굴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28323 127.613664 1083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45177 127.6133473 1084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52569 127.6133812 1085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57987 127.6132961 1086 족제비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59969 127.6132386 1087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59969 127.6132385 1088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63788 127.6126234 1089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6157 127.6123125 1090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61638 127.6122935 1091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62654 127.6123976 1092 두더지 굴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73127 127.612239 1093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73426 127.612183 1094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75912 127.6120177 1095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77284 127.6119196 1096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9083 127.6117188 1097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609787 127.6105166 1098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648656 127.6062 1099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648722 127.6062142 1100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617491 127.6105019 1101 두더지 굴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609167 127.6106695 1102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2488 127.6136147 1103 고라니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251 127.6136165 1104 멧돼지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2421 127.6136399 1105 두더지 굴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2263 127.61364 1106 고라니 발자국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89991 127.614147 1107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3762 127.616657 1108 오소리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4052 127.6167144 1109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4064 127.61707 1110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4066 127.6170695 1111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94144 127.6171112 1112 삵 배설물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87992 127.6185324 1113 청설모 식흔 봉당 6 2차 2015 357153 봉당 35.0584005 127.6188998 1114 두더지 굴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482367 127.6140143 1115 오소리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483143 127.613973 1116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484598 127.6139343 281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117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485793 127.6138336 1118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487333 127.6137326 1119 족제비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494744 127.6131472 1120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4481 127.6137749 1121 오소리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26713 127.6138273 1122 두더지 굴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61332 127.6131965 1123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61737 127.6122817 1124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99464 127.6116577 1125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640137 127.6075443 1126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63582 127.6083273 1127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631752 127.6093995 1128 청설모 목견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628338 127.6098855 1129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627875 127.6099347 1130 두더지 굴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608743 127.6106196 1131 두더지 굴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603545 127.610903 1132 두더지 굴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9393 127.6128051 1133 고라니 발자국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91988 127.6135679 1134 멧돼지 식흔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91777 127.6136096 1135 멧토끼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92095 127.6136192 1136 오소리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83395 127.614603 1137 두더지 굴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7182 127.6157835 1138 고라니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74789 127.6160666 1139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77307 127.6163625 1140 고라니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77685 127.6163592 1141 고라니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77059 127.6165687 1142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75742 127.6165462 1143 고라니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59784 127.6189191 1144 삵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59471 127.61899 1145 고라니 배설물 봉당 6 1차 2015 357153 봉당 35.0557673 127.6194914 1146 담비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495427 127.6130883 1147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18381 127.6135315 1148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20399 127.6137066 1149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24788 127.6137711 1150 청설모 식흔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38847 127.6133211 1151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45457 127.6134181 1152 담비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5224 127.6134492 1153 담비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59673 127.6132914 1154 청설모 식흔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61739 127.612334 1155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61738 127.6123339 1156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63577 127.6124968 1157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648234 127.6061278 1158 담비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647124 127.6065255 1159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618681 127.6105042 28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160 오소리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1161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603117 127.6109072 봉당 35.0600186 127.6115557 1162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932 127.6117529 1163 고라니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2563 127.6127824 1164 두더지 굴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3902 127.6127663 1165 멧돼지 목욕터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1707 127.6136171 1166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6614 127.6149332 1167 두더지 굴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3535 127.6156078 1168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2271 127.6160282 1169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4242 127.6154196 1170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3863 127.6170836 1171 고라니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4074 127.6170757 1172 삵 배설물 봉당 6 3차 2015 357153 봉당 35.0593653 127.6170953 1173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72393 127.5628833 1174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73512 127.5626002 1175 너구리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88957 127.5580371 1176 두더지 굴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79852 127.5580486 1177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81382 127.5580522 1178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83145 127.5580588 1179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0184 127.557992 1180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0615 127.5579782 1181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22081 127.5596933 1182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37142 127.5598847 1183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56102 127.5601253 1184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65331 127.5592563 1185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5366 127.560413 1186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49886 127.5609469 1187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48176 127.5614039 1188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38173 127.5660664 1189 두더지 굴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37056 127.566153 1190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36857 127.566292 1191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36815 127.566308 1192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34774 127.5668546 1193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26414 127.5681838 1194 두더지 굴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21092 127.5687417 1195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15904 127.5689188 1196 두더지 굴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14644 127.5689589 1197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9426 127.5693941 1198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9028 127.5698335 1199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852 127.5698775 1200 고라니 발자국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7326 127.5701202 1201 청설모 식흔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6283 127.5702084 1202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2056 127.5707136 283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203 청설모 식흔 봉당 7 2차 2015 357153 1204 두더지 굴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815 127.5710515 봉당 35.0194756 127.5713622 1205 두더지 굴 봉당 7 2차 2015 1206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0616 127.5716723 357153 봉당 35.0189231 127.5718336 1207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2차 1208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74198 127.5732128 2015 357153 봉당 35.0173888 127.5732381 1209 삵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73584 127.573266 1210 삵 배설물 봉당 1211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72315 127.573393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61895 127.574635 1212 두더지 굴 1213 두더지 굴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59083 127.575139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5126 127.5751499 1214 청설모 1215 삵 식흔 봉당 7 2차 2015 357153 봉당 35.0150426 127.5750956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80565 127.5607768 1216 고라니 1217 두더지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8018 127.5607256 굴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80508 127.5580746 1218 1219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81061 127.5580909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81819 127.5580997 1220 1221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0011 127.5580252 너구리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0088 127.5580027 1222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6522 127.55804 1223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00344 127.5582219 1224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4986 127.5597834 1225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3303 127.5597889 1226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3329 127.5598312 1227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52817 127.5604288 1228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57984 127.5599338 1229 너구리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65419 127.5591926 1230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58962 127.5598248 1231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53174 127.5603966 1232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52021 127.5604815 1233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49619 127.5609452 1234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48293 127.5615304 1235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46759 127.5622313 1236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46037 127.5623856 1237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45132 127.5630225 1238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41834 127.5650741 1239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36055 127.5662541 1240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36634 127.5661141 1241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34193 127.5671036 1242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6918 127.5680172 1243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5372 127.5683101 1244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15044 127.5689147 1245 두더지 굴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10612 127.5691946 284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246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1247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0944 127.5693188 봉당 35.0208254 127.5698728 1248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1249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08249 127.5698738 357153 봉당 35.0207605 127.569979 1250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1차 1251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203959 127.5704486 2015 357153 봉당 35.0198175 127.5710352 1252 두더지 굴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7709 127.5727918 1253 삵 배설물 봉당 1254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73503 127.5732886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72556 127.5733997 1255 삵 배설물 1256 두더지 굴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68051 127.5739009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5976 127.5751283 1257 삵 1258 삵 배설물 봉당 7 1차 2015 357153 봉당 35.0151551 127.5750977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64237 127.5621006 1259 1260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6084 127.5595797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57842 127.5589968 1261 담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57985 127.5581148 1262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6547 127.5582703 1263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74852 127.5579008 1264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75982 127.5578877 1265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78326 127.5579623 1266 담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83403 127.5581174 1267 담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90626 127.5579924 1268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10564 127.559039 1269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14501 127.5592697 1270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28474 127.5596967 1271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65507 127.559187 1272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56318 127.5600936 1273 담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56299 127.5600856 1274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53116 127.5603779 1275 청설모 식흔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52384 127.5604731 1276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52482 127.5604634 1277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49414 127.5609544 1278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48859 127.561384 1279 청설모 식흔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48561 127.5614888 1280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46771 127.5622587 1281 담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46084 127.5624214 1282 청설모 식흔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45893 127.5624282 1283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44157 127.5638178 1284 청설모 식흔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4226 127.5646276 1285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37095 127.5660774 1286 고라니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36284 127.5662599 1287 청설모 식흔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34004 127.5671254 1288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3366 127.5671901 285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289 1290 두더지 굴 봉당 7 3차 2015 357153 청설모 식흔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302 127.5677671 봉당 35.0223598 127.5684523 1291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1292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2131 127.5686864 봉당 35.0219445 127.5687707 1293 청설모 식흔 봉당 7 3차 2015 1294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16966 127.568868 357153 봉당 35.0214394 127.568956 1295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09404 127.5692773 1296 오소리 배설물 봉당 7 1297 족제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04166 127.5704312 3차 2015 357153 봉당 35.0203838 127.5704622 1298 삵 배설물 봉당 1299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0262 127.5705675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02242 127.5706463 1300 오소리 배설물 1301 담비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201642 127.5707292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96436 127.5711896 1302 족제비 1303 두더지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95015 127.5713562 굴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94225 127.5713538 1304 1305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8911 127.5718296 두더지 굴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76738 127.5727969 1306 1307 두더지 굴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755 127.5729165 삵 배설물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68797 127.5737353 1308 두더지 굴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59604 127.5751349 1309 청설모 식흔 봉당 7 3차 2015 357153 봉당 35.0152563 127.5751968 1310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1766 127.6059529 1311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10171 127.6063639 1312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13872 127.605182 1313 족제비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1842 127.6031524 1314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22939 127.6033057 1315 청설모 식흔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1721 127.6029687 1316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16274 127.6017881 1317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161 127.6011621 1318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20717 127.6002989 1319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23577 127.5995823 1320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26938 127.5981849 1321 두더지 굴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53739 127.5987136 1322 족제비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59474 127.598489 1323 두더지 굴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65455 127.5985822 1324 두더지 굴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79718 127.5987559 1325 청설모 식흔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986 127.5979511 1326 청설모 식흔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99847 127.5979241 1327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08349 127.5971501 1328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09534 127.5970584 1329 청설모 식흔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11618 127.5968431 1330 청설모 식흔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12583 127.5967763 1331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19858 127.5964317 28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332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23424 127.5963669 1333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23852 127.5963527 1334 두더지 굴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2707 127.5959006 1335 두더지 굴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25689 127.595848 1336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304754 127.5957317 1337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6019 127.5972202 1338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5687 127.5975738 1339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56715 127.5976269 1340 다람쥐 목견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34795 127.6000903 1341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3186 127.6005562 1342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27852 127.602906 1343 고라니 소리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7581 127.6031522 1344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7558 127.6031527 1345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2094 127.6037299 1346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7962 127.6036873 1347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8836 127.6036686 1348 고라니 발자국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1852 127.6036305 1349 삵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09113 127.6047001 1350 족제비 배설물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210585 127.6048059 1351 청설모 식흔 봉당 8 2차 2015 357153 봉당 35.019586 127.6061015 1352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12577 127.6034807 1353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3742 127.6041205 1354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3742 127.6041186 1355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2731 127.6036808 1356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16586 127.6027772 1357 너구리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15496 127.6013264 1358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1345 127.6001338 1359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3224 127.5997223 1360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3812 127.5994728 1361 청설모 식흔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4116 127.5992613 1362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26405 127.598183 1363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7166 127.5990003 1364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92427 127.5983356 1365 청설모 식흔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965 127.5979716 1366 너구리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31276 127.5967702 1367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314567 127.5966202 1368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317798 127.5964639 1369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321413 127.5964998 1370 두더지 굴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327261 127.5959209 1371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304844 127.5957191 1372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62837 127.5969778 1373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55875 127.5981545 1374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50416 127.598911 287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375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33595 127.6004758 1376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12995 127.6035267 1377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3541 127.6031625 1378 멧돼지 발자국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2428 127.6031875 1379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187111 127.6030574 1380 멧돼지 발자국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1864 127.6037364 1381 두더지 굴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1813 127.6037307 1382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7653 127.6036932 1383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07895 127.6046064 1384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11036 127.6048488 1385 삵 배설물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14144 127.6052574 1386 고라니 발자국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206971 127.6063313 1387 고라니 발자국 봉당 8 1차 2015 357153 봉당 35.0196356 127.6051544 1388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199478 127.6038077 1389 두더지 굴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22083 127.6033898 1390 청설모 식흔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16829 127.6027445 1391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17351 127.6020551 1392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15347 127.6013612 1393 청설모 식흔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19018 127.6006658 1394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22517 127.5997981 1395 청설모 식흔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23567 127.5995693 1396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23622 127.5994154 1397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25327 127.5982968 1398 두더지 굴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32943 127.5984982 1399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36992 127.5986907 1400 담비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62407 127.5983152 1401 두더지 굴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71007 127.5989841 1402 두더지 굴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76851 127.5989636 1403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77321 127.5989414 1404 청설모 식흔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99118 127.597935 1405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308293 127.5971686 1406 담비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30941 127.5970866 1407 오소리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313355 127.5968119 1408 고라니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318837 127.5964302 1409 두더지 굴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326153 127.5958584 1410 두더지 굴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32593 127.5958416 1411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29219 127.6007221 1412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186901 127.6028764 1413 두더지 굴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01178 127.6037046 1414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12941 127.605157 1415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202914 127.6059676 1416 고라니 발자국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188433 127.606632 1417 삵 배설물 봉당 8 3차 2015 357153 봉당 35.0188241 127.606593 28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418 오소리 굴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741025 127.9306194 1419 두더지 굴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736358 127.9317956 1420 오소리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736806 127.9332941 1421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73465 127.934262 1422 두더지 굴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729859 127.934618 1423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99781 127.9352953 1424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98365 127.9353585 1425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92736 127.9356292 1426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7858 127.9364161 1427 두더지 굴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74643 127.9365146 1428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72832 127.9365413 1429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59839 127.9367806 1430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58261 127.9369507 1431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39371 127.9380669 1432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30698 127.9374509 1433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29014 127.9371899 1434 두더지 굴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24651 127.9364423 1435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21516 127.9355753 1436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20581 127.9350073 1437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20697 127.9348164 1438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3차 2016 367124 모서 36.3619815 127.9347126 1439 오소리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36659 127.9318272 1440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36539 127.931931 1441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34204 127.9342573 1442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28737 127.9346583 1443 삵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27913 127.9346889 1444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27815 127.934694 1445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21845 127.9345352 1446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19615 127.9345612 1447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1495 127.9348263 1448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709997 127.935178 1449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96533 127.9353854 1450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91184 127.9356457 1451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86733 127.9359843 1452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8601 127.9360001 1453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8446 127.9360209 1454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76762 127.9365039 1455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75615 127.936529 1456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68024 127.9365762 1457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66777 127.936608 1458 삵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66186 127.9366282 1459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65672 127.9366381 1460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64633 127.9366819 289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461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63051 127.9367361 1462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53904 127.9373354 1463 두더지 굴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50151 127.9376516 1464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44684 127.9380842 1465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44232 127.9381004 1466 오소리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43243 127.938144 1467 오소리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31905 127.9376366 1468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9299 127.936991 1469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9004 127.9367771 1470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5037 127.9363031 1471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2678 127.9357139 1472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2 127.9355836 1473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1445 127.9354448 1474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1156 127.9348857 1475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0977 127.9347708 1476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0877 127.9346825 1477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20347 127.9345289 1478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2차 2016 367124 모서 36.3619184 127.9343249 1479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74732 127.9335894 1480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79133 127.934095 1481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8128 127.9343233 1482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98856 127.9353035 1483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85482 127.9359831 1484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84818 127.9360076 1485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82343 127.9361403 1486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72232 127.9365375 1487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70555 127.9365647 1488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67306 127.936557 1489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66396 127.9366013 1490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6496 127.9366647 1491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60164 127.9367395 1492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5418 127.9373768 1493 두더지 굴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49967 127.9376348 1494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35828 127.9380465 1495 고라니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29789 127.9368489 1496 삵 배설물 모서 1 1차 2016 367124 모서 36.3621039 127.9348649 1497 두더지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0817 127.9175027 1498 두더지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08448 127.9177439 149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08447 127.917744 150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3507 127.911515 1501 두더지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4937 127.9136999 1502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5396 127.9140102 1503 두더지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25125 127.9146473 29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504 1505 두더지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45284 127.9173109 청설모 식흔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61935 127.9126984 1506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53847 127.9095413 1507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57086 127.9081527 1508 삵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52673 127.9071809 1509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563 127.9061211 151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5576 127.905288 151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638 127.9044227 1512 두더지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6824 127.9029635 1513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79068 127.8992911 1514 청설모 식흔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478636 127.8990504 1515 오소리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08889 127.89546 1516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08609 127.8954726 1517 오소리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08444 127.8954951 1518 족제비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09446 127.8953149 1519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51662 127.8918448 1520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62229 127.891295 1521 두더지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9851 127.8920793 1522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600652 127.8940758 1523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9908 127.8945694 1524 두더지 굴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91522 127.8949741 152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77781 127.896821 1526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76915 127.8968945 1527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7016 127.8981626 1528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64645 127.8986467 1529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56275 127.901017 153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56179 127.9010801 1531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52214 127.9017238 1532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46728 127.9051943 1533 삵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8034 127.9078226 1534 삵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82 127.907756 153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7111 127.9083156 1536 삵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3537 127.9092634 1537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3666 127.9092648 1538 삵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344 127.9093082 153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3885 127.9109435 1540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3차 2016 367124 모서 36.3533174 127.9111374 1541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0359 127.91574 1542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0387 127.9157315 1543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0424 127.9157252 1544 삵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2771 127.9145666 1545 삵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2771 127.9145665 1546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1807 127.9142526 291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547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1014 127.9140668 1548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0469 127.913505 154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0698 127.9134064 1550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0904 127.9130831 1551 삵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0884 127.9130807 1552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1405 127.9128373 1553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8141 127.9105983 1554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6667 127.9103939 1555 두더지 굴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6454 127.9101863 1556 삵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2122 127.9088562 1557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1424 127.9088814 1558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6019 127.9061651 155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6628 127.9059884 1560 두더지 굴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7616 127.9059179 1561 멧토끼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8713 127.905621 1562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486 127.9041759 1563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8312 127.9029006 1564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72387 127.9017729 1565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73625 127.9012364 1566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78592 127.899269 1567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79063 127.8990306 1568 삵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481073 127.8986633 1569 족제비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09934 127.8952522 157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57485 127.8917146 157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80828 127.8911962 1572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97995 127.8918649 1573 두더지 굴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9949 127.8924304 1574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98734 127.8945373 1575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80076 127.8964979 1576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75574 127.897116 1577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69957 127.898145 1578 족제비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62667 127.8990535 1579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60704 127.899908 1580 너구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55989 127.9010405 158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55713 127.9011397 1582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48963 127.9041136 1583 너구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47359 127.904597 1584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47321 127.904656 158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46238 127.9054072 1586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45855 127.9054827 1587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44797 127.9056168 1588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7901 127.9079416 158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7026 127.908351 29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59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5987 127.9086977 159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4309 127.9091041 1592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4065 127.9091652 1593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3689 127.9092377 1594 삵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3915 127.9092734 1595 삵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3604 127.9092916 1596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2932 127.9094036 1597 오소리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294 127.9095346 1598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5148 127.9124793 159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4881 127.913582 160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5534 127.9140306 160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36552 127.9143944 1602 두더지 굴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20827 127.9150009 1603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7018 127.9152545 1604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0119 127.9169834 160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07771 127.9175901 1606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2차 2016 367124 모서 36.3508226 127.9178677 1607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463 127.9172307 1608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3452 127.9162972 160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7477 127.9159194 161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0576 127.9156163 161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392 127.9151334 1612 삵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782 127.9146086 1613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739 127.9145731 1614 청설모 식흔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1827 127.9143302 161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1657 127.9142507 1616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1173 127.9139743 1617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0303 127.9136747 1618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0743 127.9134742 161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1236 127.9129403 1620 청설모 식흔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243 127.9127522 162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146 127.9127087 1622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189 127.9125689 1623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371 127.9124734 1624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43 127.9123387 162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2354 127.9122598 1626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139 127.9121608 1627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8024 127.9105586 1628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7715 127.9105062 162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7335 127.9104883 163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718 127.9104619 163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716 127.9104422 1632 담비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176 127.9091348 293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633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1634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205 127.9089828 모서 36.3458091 127.9058715 1635 고라니 발자국 모서 2 1차 2016 1636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8966 127.9056662 367124 모서 36.3467146 127.9036753 1637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1638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83 127.903275 2016 367124 모서 36.3468405 127.9032458 163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854 127.9031419 1640 고라니 배설물 모서 1641 삵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8598 127.9029326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9029 127.9025806 1642 고라니 보금자리 1643 담비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72575 127.9021051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72515 127.9020318 1644 오소리 1645 담비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73767 127.9013197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76154 127.9002276 1646 1647 고라니 보금자리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79859 127.898945 청설모 식흔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8205 127.8985033 1648 멧돼지 목욕터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87942 127.8976499 164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93258 127.8969749 1650 고라니 울음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93329 127.8969501 165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498407 127.8966555 1652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17587 127.8946736 1653 두더지 굴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601209 127.8942872 1654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86285 127.8957236 165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84208 127.8961898 1656 삵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83968 127.8962291 1657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6059 127.8994994 1658 고라니 울음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60232 127.900254 1659 너구리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51859 127.9017626 166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51937 127.901782 1661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51322 127.9022937 1662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49342 127.9038487 1663 너구리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49417 127.9040375 1664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47146 127.9046229 166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39579 127.9065025 1666 삵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38442 127.9076396 1667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37138 127.908315 1668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36048 127.9086827 1669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34609 127.9090418 1670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33802 127.9092502 1671 삵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33715 127.909285 1672 멧돼지 비빔목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3403 127.9101002 1673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21507 127.9147495 1674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12266 127.9160845 1675 고라니 배설물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08213 127.9176758 294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676 고라니 발자국 모서 2 1차 2016 367124 모서 36.3505603 127.9181646 1677 다람쥐 목견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12811 127.9776969 1678 멧돼지 목욕터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94661 127.979215 1679 두더지 굴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86573 127.9791323 1680 너구리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74798 127.9797143 1681 청설모 식흔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75163 127.9796685 1682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85583 127.9801118 1683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93142 127.9807599 1684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94025 127.9808368 1685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95656 127.981094 1686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99257 127.9810643 1687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976 127.9817901 1688 청설모 식흔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98347 127.9822845 1689 두더지 굴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399813 127.9825951 1690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00858 127.9827214 1691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93325 127.9791255 1692 너구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74902 127.9796648 1693 삵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75715 127.9796702 169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79549 127.979676 1695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83887 127.979974 169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89222 127.9804684 1697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93065 127.9807499 1698 삵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93415 127.9807452 1699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96438 127.9812992 1700 너구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96455 127.981301 1701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396743 127.9813807 1702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02915 127.9829943 1703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08377 127.9835502 170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12681 127.9836733 1705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20764 127.9843103 170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221 127.9843413 1707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22764 127.9843066 1708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31163 127.9845386 1709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42355 127.9848988 1710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42917 127.9849211 1711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47616 127.9849371 1712 하늘다람쥐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49189 127.9850459 1713 하늘다람쥐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3192 127.9850316 171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59671 127.9850043 1715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3782 127.9846372 171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66199 127.9848472 1717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79166 127.9853784 1718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09459 127.9857225 295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719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09268 127.9836275 1720 고라니 목견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24483 127.9842651 1721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3602 127.9847184 1722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43104 127.9849333 1723 하늘다람쥐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50004 127.9850084 1724 고라니 목견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5813 127.9850221 1725 고라니 목견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75696 127.985365 1726 두더지 굴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514277 127.9846182 1727 고라니 목견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80468 127.9807475 1728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79192 127.9805524 1729 삵 목견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78872 127.9803764 1730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3차 2016 367124 모서 36.3475522 127.9799769 1731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0611 127.9856839 1732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1734 127.9856018 1733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2001 127.985464 173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3296 127.9851877 1735 삵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4222 127.9847164 1736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4243 127.9846647 1737 삵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6122 127.9838358 1738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6779 127.9837174 1739 멧돼지 식흔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8781 127.9833553 1740 족제비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8437 127.9833383 1741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18065 127.9833139 1742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504454 127.9825239 1743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99534 127.9823764 174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9897 127.9823995 1745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97949 127.9823864 174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97042 127.9823121 1747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91865 127.981949 1748 너구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89216 127.9817776 1749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8888 127.9817887 1750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84932 127.9814364 1751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79633 127.9805629 1752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724 127.9792497 1753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2차 2016 367124 모서 36.3470812 127.9791345 1754 하늘다람쥐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09425 127.9780933 1755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89611 127.9789009 175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84441 127.9792876 1757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83312 127.9793726 1758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82124 127.979422 1759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75626 127.9797153 1760 오소리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83257 127.9799042 1761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3858 127.9807728 29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762 너구리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4505 127.9807894 1763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06364 127.9807504 176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0374 127.9808243 1765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02846 127.9808764 176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01049 127.980994 1767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8565 127.9812834 1768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7146 127.981349 1769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7463 127.9816516 1770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7558 127.9817583 1771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7784 127.9819695 1772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8004 127.9821273 1773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398451 127.9823287 177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01819 127.9827293 1775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03745 127.9830639 177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04204 127.9831194 1777 고라니 울음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12593 127.9837004 1778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13043 127.9837129 1779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14342 127.9837598 1780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17519 127.9840141 1781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19574 127.9842276 1782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26836 127.984461 1783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31287 127.9845892 178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3262 127.9845648 1785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3539 127.984682 178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44098 127.984972 1787 삵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44859 127.9849843 1788 삵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44854 127.9849836 1789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45358 127.9850134 1790 하늘다람쥐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47226 127.984981 1791 하늘다람쥐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49768 127.9850368 1792 고라니 목견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0798 127.9849766 1793 하늘다람쥐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3555 127.9850508 179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707 127.9850125 1795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7666 127.9850062 179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5877 127.9850197 1797 멧토끼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61382 127.9849457 1798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510413 127.9857138 1799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511953 127.9853816 1800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514372 127.9849205 1801 삵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514237 127.9846946 1802 멧토끼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513554 127.983773 1803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510392 127.9828085 1804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505195 127.9825228 297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805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1806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50135 127.9823887 모서 36.3488349 127.9817188 1807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1808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91322 127.9818928 367124 모서 36.3492392 127.9819396 1809 고라니 배설물 모서 3 1차 1810 두더지 굴 모서 3 1차 2016 367124 모서 36.3497497 127.9823656 2016 367124 모서 36.3495537 127.9836824 1811 족제비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9132 127.9406506 1812 족제비 배설물 모서 1813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67474 127.9401862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111138 127.9394388 1814 오소리 배설물 1815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10946 127.9396468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10725 127.9399785 1816 고라니 1817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9418 127.941033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87681 127.9408602 1818 1819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87179 127.9408472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82028 127.9405079 1820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81511 127.9404696 1821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80144 127.9403699 1822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75224 127.940217 1823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70766 127.9401918 182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6714 127.9402011 1825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66453 127.9402342 1826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65102 127.940257 1827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63561 127.9403334 1828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61845 127.9404481 1829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8423 127.9406937 1830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6634 127.9407868 1831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5409 127.9408154 1832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5338 127.9408231 1833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4768 127.9408184 183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1496 127.9407864 1835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8337 127.9406689 1836 너구리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8338 127.9406692 1837 청설모 식흔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6752 127.9405965 1838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08067 127.9399394 1839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2838 127.9403796 1840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62258 127.9403557 1841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10296 127.940936 1842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97059 127.9409967 1843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88626 127.9408677 184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87321 127.9408448 1845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85306 127.9407655 1846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82862 127.9405749 1847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79014 127.9403216 29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848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75382 127.9402003 1849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71928 127.9401791 1850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66434 127.9402259 1851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64868 127.9402587 1852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8484 127.940662 1853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0191 127.9407157 1854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763 127.9406449 1855 청설모 식흔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7038 127.9405867 1856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456 127.9404226 1857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1993 127.9402877 1858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1337 127.9402589 1859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3063 127.940199 1860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4244 127.9403965 1861 족제비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3384 127.9404044 1862 담비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1585 127.9403472 1863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9815 127.9403675 186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7956 127.9403718 1865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2986227 127.9394866 1866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2985876 127.9394996 1867 족제비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298534 127.9394796 1868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2982693 127.939457 1869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2981581 127.9394292 1870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2979488 127.9395228 1871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2차 2016 367124 모서 36.2968397 127.9390598 1872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2816 127.9403514 1873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3704 127.940275 187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6521 127.9404262 1875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4791 127.9404261 1876 청설모 식흔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4607 127.9404235 1877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4 127.9404235 1878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2042 127.9404058 1879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6778 127.940408 1880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5745 127.9404246 1881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4651 127.9405034 1882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3008821 127.9399725 1883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2991361 127.9395942 188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2984673 127.9394776 1885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2980749 127.9394216 1886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297977 127.9394728 1887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2978253 127.93953 1888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2976257 127.9395343 1889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2969999 127.93944 1890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3차 2016 367124 모서 36.2968708 127.9389133 299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891 족제비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4151 127.9404245 1892 청설모 식흔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7711 127.9406439 1893 멧토끼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110695 127.9394378 189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110239 127.9395578 1895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109524 127.939629 1896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102889 127.941022 1897 족제비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96397 127.9410127 1898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88338 127.9408671 1899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88155 127.9408711 1900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8041 127.9403937 1901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74242 127.9402476 1902 족제비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72685 127.9402174 1903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71639 127.9402052 190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66551 127.9402292 1905 멧토끼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65945 127.9402517 1906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65289 127.9402688 1907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7851 127.9407021 1908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5214 127.9405037 1909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5479 127.9402614 1910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9653 127.9403016 1911 족제비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8029 127.9403515 1912 족제비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3533 127.9404265 1913 담비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1437 127.9403945 191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0712 127.9401649 1915 멧토끼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8089 127.9400397 1916 멧토끼 목견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6721 127.9399228 1917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299899 127.9396569 1918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2982141 127.9394666 1919 오소리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2981672 127.9394492 1920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2976086 127.9396004 1921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2972516 127.9395312 1922 멧토끼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2969198 127.9395366 1923 멧토끼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2968377 127.939492 1924 고라니 배설물 모서 4 1차 2016 367124 모서 36.2966586 127.9393872 1925 두더지 굴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289363 127.9193078 1926 다람쥐 목견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289648 127.9175375 1927 두더지 굴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290203 127.9177426 1928 오소리 배설물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01292 127.9134268 1929 삵 배설물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3664 127.9196783 1930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496 127.9223699 1931 오소리 배설물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8742 127.9273903 1932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3573 127.9291249 1933 삵 배설물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6024 127.9297893 30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934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2408 127.9308333 1935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6258 127.9312016 1936 두더지 굴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2087 127.9314965 1937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577 127.9317416 1938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3462 127.9318753 1939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300143 127.9325934 1940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2988972 127.9326668 1941 오소리 배설물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297918 127.933779 1942 오소리 배설물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2975527 127.9347262 1943 청설모 식흔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2966039 127.9360131 1944 두더지 사체 모서 5 3차 2016 367124 모서 36.2946854 127.9384971 1945 삵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53933 127.9142542 1946 삵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56744 127.9141478 1947 고라니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4927 127.9133788 1948 삵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7161 127.9141378 1949 삵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814 127.9147213 1950 청설모 식흔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7233 127.9169872 1951 삵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6795 127.9260474 1952 삵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6794 127.9260481 1953 삵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6942 127.9265295 1954 오소리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8833 127.9274559 1955 두더지 굴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5688 127.9299229 1956 청설모 식흔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6681 127.931241 1957 족제비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7959 127.9316818 1958 청설모 식흔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7948 127.9316821 1959 청설모 식흔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6012 127.931754 1960 청설모 식흔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4053 127.9318569 1961 두더지 굴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9759 127.9325152 1962 오소리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78627 127.9337124 1963 족제비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78046 127.9340007 1964 오소리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74772 127.9347396 1965 삵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74218 127.9349115 1966 고라니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67175 127.9360122 1967 고라니 배설물 모서 5 2차 2016 367124 모서 36.2950652 127.9376224 1968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2998 127.9146099 1969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4235 127.914513 1970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44612 127.9146238 1971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54957 127.9142124 1972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5553 127.9142204 1973 고라니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57515 127.9142004 1974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58888 127.914131 1975 족제비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65698 127.9139421 1976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71944 127.9137728 301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1977 멧돼지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86144 127.9134158 1978 멧돼지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87615 127.913336 1979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6846 127.9141245 1980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8298 127.9147663 1981 고라니 울음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5066 127.9152132 1982 담비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5853 127.9153363 1983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2812 127.9192988 1984 담비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4977 127.9243069 1985 다람쥐 목견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4659 127.9244335 1986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7054 127.9266766 1987 멧토끼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845 127.9274018 1988 고라니 식흔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6234 127.9285208 1989 담비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7932 127.9296446 1990 다람쥐 식흔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272 127.9307536 1991 고라니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8618 127.9316295 1992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81995 127.932931 1993 족제비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78426 127.9339813 1994 족제비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77711 127.9342598 1995 오소리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77134 127.9343494 1996 삵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71594 127.9355499 1997 두더지 굴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57411 127.9372887 1998 고라니 배설물 모서 5 1차 2016 367124 모서 36.2951836 127.9376255 1999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74676 127.9841738 200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78089 127.9843451 200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84483 127.9832522 2002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86 127.9831519 200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89605 127.9830787 200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0148 127.9829908 200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2062 127.9828013 200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3053 127.9826861 200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3526 127.9824894 200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4473 127.9823983 200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6607 127.9824641 201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8612 127.9824708 201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2999531 127.982518 201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01963 127.9826557 201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05039 127.9826193 201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05821 127.982595 201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07762 127.9826798 201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08905 127.9827044 201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0917 127.9826917 201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2284 127.9826448 201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4197 127.98266 30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02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7701 127.9827793 202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0689 127.9828773 202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0766 127.9835547 202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5075 127.9839098 202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7294 127.9842368 202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8213 127.984505 202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7967 127.9848345 202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8117 127.9850744 202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1413 127.9853738 202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2426 127.985479 2030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3919 127.9855753 2031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4327 127.9856309 203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5468 127.9857616 203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6342 127.9858327 203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844 127.9860312 203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2741 127.986362 2036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9206 127.9875086 203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6272 127.9894105 203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62179 127.9895139 203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61529 127.9901669 204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894 127.990316 2041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8269 127.9903154 2042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7664 127.9903593 204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6487 127.9903863 204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5811 127.9903202 204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396 127.9902418 204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52144 127.9901322 204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7385 127.9899659 2048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5425 127.9899662 204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3664 127.9899626 205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1387 127.9899698 205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086 127.9899824 205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40313 127.9900044 2053 삵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2985836 127.9832012 2054 삵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2987413 127.983163 205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2992838 127.9825599 205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2994242 127.9823631 2057 청설모 식흔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2999715 127.9824978 205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06015 127.9825841 205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0555 127.9826497 206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2686 127.9826237 206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2568 127.9853854 2062 청설모 식흔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62494 127.9884143 303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063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63388 127.9892308 2064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7739 127.9903823 206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7324 127.9903946 2066 고라니 식흔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5097 127.9901128 2067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5866 127.9899338 206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3529 127.9899522 206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41337 127.9899764 207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9247 127.99 207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7854 127.9900273 207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5125 127.9902394 207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33647 127.9903462 207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8897 127.9905479 207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4944 127.9906623 2076 삵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6966 127.9914156 2077 삵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6926 127.9914034 2078 삵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23233 127.989277 2079 멧돼지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12091 127.9884148 208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09491 127.9882192 2081 삵 배설물 모서 6 3차 2016 367124 모서 36.3009487 127.9882195 208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7772 127.9900491 208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6742 127.9901192 208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5396 127.9902428 208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3842 127.9903404 208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3281 127.9903631 208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254 127.9904118 208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30752 127.9904953 208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929 127.990566 209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8423 127.9906014 209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6365 127.9906154 209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5384 127.9906646 209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663 127.9914546 2094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6739 127.9914654 2095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6996 127.9914676 2096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7329 127.9914683 209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7758 127.9913599 209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0229 127.9911703 209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0789 127.9911429 210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1632 127.9910645 210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2535 127.9909512 210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3173 127.9908774 210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4265 127.9907176 210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3124 127.9903606 210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3212 127.990268 304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10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2494 127.9900894 210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2603 127.9896933 210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2919 127.9894656 210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3701 127.9892318 2110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3632 127.9890589 211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184 127.988662 211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20215 127.9886432 211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7884 127.9887118 211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3375 127.9886105 211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10122 127.9884851 211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09032 127.9882912 2117 삵 배설물 모서 6 2차 2016 367124 모서 36.3008426 127.9881854 211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82556 127.984208 211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84022 127.9840798 212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79528 127.9836713 212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90175 127.9829565 212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91466 127.9828504 212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92843 127.9826942 212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95304 127.982429 212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96369 127.982455 212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2998949 127.9824508 212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4066 127.982605 2128 족제비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4367 127.9826051 212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5762 127.9825754 213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6563 127.9825946 213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7771 127.982661 213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8835 127.9827136 213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0853 127.9826929 213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2554 127.9826428 213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7604 127.9827499 2136 담비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1035 127.9829426 213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4986 127.9832033 213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0815 127.9835468 2139 멧돼지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2726 127.9837181 214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8074 127.9844966 2141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8816 127.9846868 2142 담비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7687 127.9850163 214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9299 127.9853102 214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1805 127.9853917 214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3293 127.9854976 2146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4181 127.9855758 214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5499 127.9857337 2148 청설모 식흔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5985 127.9858057 305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14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6347 127.9858452 215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8564 127.9859936 215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2568 127.9861777 215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532 127.9867209 215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9646 127.987395 2154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9307 127.9875023 2155 청설모 식흔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63299 127.9886267 215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63707 127.9890559 215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62353 127.9895385 215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61955 127.990206 215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818 127.9903537 2160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7984 127.9903507 2161 족제비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8058 127.9903497 216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201 127.9901649 216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50812 127.9901442 216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7818 127.9900095 2165 오소리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5958 127.9899448 216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5525 127.9899607 216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2782 127.9899684 216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40918 127.9899696 216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8841 127.9899921 217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5976 127.9902252 217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4552 127.990319 217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2981 127.9903752 2173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1579 127.9904612 217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30495 127.9905042 217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88 127.9905503 2176 삵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8583 127.9905694 217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6987 127.9906204 2178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6323 127.9906474 2179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4819 127.9906866 2180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3583 127.990841 2181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4838 127.9906112 2182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4436 127.9905181 2183 삵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3712 127.9890954 2184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21024 127.9886198 2185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8508 127.9886294 2186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11897 127.9883776 2187 고라니 배설물 모서 6 1차 2016 367124 모서 36.3009032 127.9882918 2188 다람쥐 목견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53086 127.9073902 2189 삵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36555 127.9071206 2190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27301 127.9083128 2191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20799 127.9159677 30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192 너구리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28358 127.9175551 2193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29015 127.9177504 2194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29625 127.9186439 2195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2839 127.9195286 2196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29433 127.9198008 2197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30663 127.9199966 2198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8033 127.9225174 2199 삵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80827 127.9225661 2200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82003 127.9227754 2201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82015 127.9227776 2202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93874 127.9251488 2203 삵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820829 127.9271154 2204 너구리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823023 127.9275243 2205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802854 127.9256856 2206 삵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79109 127.9244123 2207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801169 127.9186756 2208 청설모 식흔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80216 127.9185446 2209 삵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803195 127.9159996 2210 삵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802288 127.914625 2211 삵 배설물 모서 7 3차 2016 367124 모서 36.2803526 127.9139288 2212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43188 127.906374 2213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43109 127.9063877 2214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18479 127.9129011 2215 청설모 식흔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20629 127.9158054 2216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2112 127.9160066 2217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26919 127.9172473 2218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281 127.9174983 2219 청설모 식흔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28938 127.9177415 2220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29916 127.9186485 2221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28634 127.9195009 2222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31129 127.9199621 2223 족제비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34678 127.920235 2224 담비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3468 127.9202357 2225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44972 127.9206137 2226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47828 127.9207607 2227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5103 127.9209377 2228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54543 127.9211503 2229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55124 127.9211509 2230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55226 127.9211427 2231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56574 127.9212077 2232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11752 127.9264206 2233 담비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26657 127.9279599 2234 너구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22739 127.9274761 307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2235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19197 127.926951 2236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03085 127.9256715 2237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02589 127.9256396 2238 족제비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88165 127.922803 2239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88422 127.9227607 2240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96349 127.9208373 2241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97838 127.9200965 2242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98786 127.9198316 2243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98645 127.9197943 2244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9859 127.9197882 2245 청설모 식흔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98561 127.9194217 2246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03891 127.9180425 2247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0547 127.9175321 2248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08234 127.9164223 2249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07826 127.916478 2250 삵 배설물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799296 127.9129942 2251 두더지 굴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04138 127.9114261 2252 두더지 굴 모서 7 2차 2016 367124 모서 36.2816318 127.9085764 2253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18859 127.9137975 2254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21313 127.9161488 2255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2738 127.9173822 2256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29358 127.9185999 2257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42132 127.9205251 2258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54222 127.921143 2259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55306 127.9211279 2260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63979 127.9215667 2261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66794 127.921744 2262 삵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80645 127.9225058 2263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81324 127.9265592 2264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816934 127.9267648 2265 너구리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823289 127.9275245 2266 고라니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87946 127.9269926 2267 오소리 배설물 모서 7 1차 2016 367124 모서 36.2782024 127.9304745 2268 다람쥐 목견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2428 128.9822252 2269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13473 128.9848428 2270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0444 128.9859592 227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82303 128.9859527 2272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75773 128.980394 2273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75772 128.9803939 2274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69577 128.9804751 2275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66834 128.9805517 2276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5069 128.9799058 2277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5009 128.9798046 308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278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42872 128.9795144 2279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10272 128.9774437 228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03886 128.9770605 2281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96758 128.9766732 2282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89011 128.9760344 2283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75988 128.9749785 228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68216 128.9747798 2285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59819 128.9744365 2286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30849 128.973144 2287 두더지 터널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29979 128.9732895 2288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11748 128.9751464 2289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07206 128.9755598 229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086037 128.9790245 2291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08242 128.9799057 229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082969 128.9801513 2293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080347 128.9809433 2294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079118 128.9840536 229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083784 128.9863563 2296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07527 128.9895953 2297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17755 128.9908946 2298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37597 128.9947611 2299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68693 128.9987404 2300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69766 128.9993022 2301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182434 129.0009933 230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08632 129.0024147 2303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10513 129.0023214 2304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18286 129.0018763 230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18344 129.001861 2306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28443 129.0013081 2307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33145 129.0004999 2308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36598 129.000057 2309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37568 128.9998372 2310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54283 128.9976471 231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71882 128.9960768 231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72915 128.9959407 2313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79494 128.9956175 2314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81926 128.9955894 2315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88279 128.9953018 231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4759 128.9950258 231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05568 128.9950211 2318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12262 128.994627 2319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24071 128.994733 2320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24378 128.9947275 309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321 2322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2592 128.9947774 운문산 35.6326055 128.9947749 232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2324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39339 128.9947808 358082 운문산 35.6342092 128.9947271 232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326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5003 128.9946678 2016 358082 운문산 35.635191 128.9938537 2327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53146 128.9937879 2328 청설모 식흔 운문산 2329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57628 128.9931676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5495 128.9927294 2330 담비 배설물 2331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5891 128.992708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7342 128.9926593 2332 청설모 2333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884 128.9925132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72785 128.991996 2334 2335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75845 128.9915498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79362 128.991102 2336 2337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05468 128.987069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0868 128.9864711 2338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08685 128.9864707 2339 청설모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71416 128.9739197 2340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63936 128.9742488 2341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6218 128.9742268 2342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932 128.9748211 2343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8814 128.975052 2344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7746 128.9752207 2345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8095 128.975199 2346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4346 128.9755286 2347 담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379 128.975587 2348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1632 128.9756873 2349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0488 128.975636 2350 멧돼지 목욕터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9976 128.975825 2351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3562 128.9767994 2352 다람쥐 식흔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5334 128.9782871 2353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573 128.9788862 2354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7276 128.9794137 2355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6745 128.9794792 235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0308 128.9812355 235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5496 128.9817976 2358 삵 배설물 운문산 1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4163 128.9819699 2359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5568 128.9599195 2360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3625 128.959395 2361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3618 128.9594417 2362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361 128.9595061 2363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3456 128.9595808 31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364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32858 128.9595185 2365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29098 128.9592681 2366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26066 128.9592718 2367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22185 128.959284 2368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8155 128.959324 2369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6704 128.9589011 2370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0911 128.9586887 2371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98199 128.9580704 2372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81586 128.9573176 2373 고라니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81712 128.9571458 2374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7997 128.9569394 2375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7031 128.9580968 2376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2497 128.9582283 237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7032 128.9583752 2378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2351 128.9583492 2379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5615 128.9589343 2380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84883 128.9608217 2381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1724 128.960659 2382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76834 128.9603845 2383 다람쥐 목견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7465 128.9596849 2384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51525 128.9566232 2385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48 128.955871 2386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44524 128.9540891 2387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43336 128.9532394 2388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46758 128.9517149 2389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47804 128.950351 2390 청설모 목견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49004 128.9498111 2391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47876 128.9476039 2392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0281 128.9461918 2393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04982 128.9462247 2394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98127 128.9455872 2395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92402 128.944908 2396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77638 128.943795 2397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60407 128.9435779 2398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966 128.9434314 2399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6881 128.9433563 2400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9929 128.9429295 240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4964 128.9427764 240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4997 128.9427587 240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2001 128.9427252 2404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1159 128.9426887 240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756 128.9424163 240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7559 128.9424162 311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407 삵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5378 128.9421806 2408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2268 128.9421276 2409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15702 128.9420918 2410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04449 128.9412429 2411 담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03991 128.9412143 241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9263 128.9408767 241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798 128.9408458 241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7885 128.9408512 241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7683 128.9408548 241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3451 128.9407545 2417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83826 128.9403666 2418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79882 128.940447 2419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76402 128.9404972 2420 삵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8175 128.940547 242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8174 128.9405467 2422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4487 128.9405927 2423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6783 128.9410739 242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6107 128.9411139 2425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3232 128.9411979 242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2972 128.941033 2427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28055 128.9412098 2428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04764 128.9459159 2429 담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04926 128.9459651 2430 청설모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05192 128.9462476 2431 다람쥐 목견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7878 128.9472426 2432 두더지 터널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77754 128.949697 243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0329 128.9543396 243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033 128.9543392 2435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1069 128.9547598 2436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168 128.95485 2437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2065 128.9547688 2438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2202 128.9549162 2439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5539 128.9553304 244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0168 128.9554903 244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01691 128.9554935 244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18402 128.9567094 244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3414 128.9584429 244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34353 128.9585782 2445 멧돼지 식흔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0655 128.9597558 244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6391 128.9601742 244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7222 128.9602903 2448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7643 128.9603246 2449 다람쥐 목견 운문산 2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93629 128.9579376 31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2450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21005 128.962841 2451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6672 128.9628277 2452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508 128.962916 2453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4327 128.9629757 2454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1804 128.9630007 2455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0793 128.9629989 2456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510724 128.9630013 2457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95964 128.9630648 2458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87787 128.9628798 2459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82998 128.9630268 2460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82656 128.9630481 2461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76761 128.9631858 2462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69072 128.9635587 2463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6008 128.9639338 2464 다람쥐 목견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4149 128.9641723 2465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9212 128.9647421 2466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6261 128.9648746 2467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9033 128.9649212 2468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5431 128.9650232 2469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5712 128.9660054 2470 담비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3007 128.9668041 2471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2348 128.9672627 2472 멧돼지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201 128.9675196 2473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0193 128.9682014 2474 담비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0417 128.9682274 2475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15676 128.9688763 2476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0415 128.9705546 2477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8924 128.9707463 2478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6648 128.9708784 2479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0898 128.9714992 2480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90237 128.9716 2481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89001 128.9717061 2482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88525 128.9717664 2483 너구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88322 128.9717944 2484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78689 128.972004 2485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7808 128.9720341 2486 청설모 식흔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74341 128.9722634 2487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8762 128.972658 2488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56162 128.9731527 2489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40578 128.973624 2490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37849 128.9733778 2491 담비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37143 128.9732856 2492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36269 128.9731434 313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493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32109 128.9726183 2494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2875 128.9722409 2495 담비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15717 128.9715583 2496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1422 128.9716083 2497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292576 128.9704992 2498 삵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51596 128.9751064 2499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54377 128.9752239 2500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57054 128.9754721 2501 두더지 터널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55619 128.9757202 2502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51274 128.9779447 250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361031 128.9793139 2504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07 128.9815526 2505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3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0547 128.9807415 2506 청설모 식흔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70506 128.9740088 2507 두더지 터널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64224 128.9750924 2508 두더지 터널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61827 128.9753417 2509 멧돼지 식흔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3501 128.9760282 2510 다람쥐 목견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15933 128.986511 2511 삵 배설물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23191 128.9870104 2512 삵 배설물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0599 128.9880194 2513 담비 배설물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31302 128.9881249 2514 두더지 터널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49998 128.9895051 2515 다람쥐 목견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55773 128.9903205 2516 두더지 터널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14369 128.9899458 251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10183 128.9918721 2518 삵 배설물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1102 128.992336 2519 다람쥐 목견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10949 128.9922357 2520 담비 배설물 운문산 4 1 회방문 2016 358082 운문산 35.6468056 128.9746283 2521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24636 126.9449308 2522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24353 126.9444378 2523 오소리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21481 126.9441367 2524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1725 126.9412044 2525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0608 126.9410686 2526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79089 126.9408564 2527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73328 126.9399428 2528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73303 126.9399319 2529 두더지 굴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7065 126.9400058 2530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70572 126.94001 2531 오소리 식흔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67756 126.9401386 2532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67239 126.9401997 2533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64953 126.9404097 2534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61872 126.9406189 2535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61836 126.9406231 314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2536 2537 두더지 굴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60725 126.940715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60733 126.9407153 2538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60492 126.94074 2539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59758 126.9408131 2540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57328 126.9411717 2541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56139 126.9413603 2542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55878 126.94143 2543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54233 126.9417989 2544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25964 126.942835 2545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25681 126.9426119 2546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24383 126.9426075 2547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2285 126.9425861 2548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13586 126.9422453 2549 너구리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11419 126.9423075 2550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114 126.9420561 2551 삵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114 126.9420561 2552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114 126.9420561 2553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114 126.9420561 2554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114 126.9420561 2555 너구리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9989 126.9420614 2556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7742 126.9418303 2557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6467 126.9417022 2558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5844 126.9416419 2559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5703 126.9415175 2560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4008 126.9413253 2561 고라니 배설물 석성 1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2436 126.9412333 2562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7678 126.9767047 2563 삵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1664 126.9768789 2564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5233 126.9767872 2565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5914 126.9767764 2566 두더지 굴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9306 126.9767694 2567 두더지 굴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10678 126.9779306 2568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08008 126.9790483 2569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06564 126.9790828 2570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06531 126.9792297 2571 멧토끼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401333 126.9801597 2572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9239 126.9806656 2573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8314 126.9807828 2574 멧토끼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7689 126.9807244 2575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7067 126.9809006 2576 멧토끼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4575 126.9810033 2577 멧토끼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4736 126.9809689 2578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4781 126.9809222 315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579 멧토끼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267 126.9812811 2580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025 126.9812669 2581 고라니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89025 126.9814867 2582 멧토끼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442 126.9816886 2583 멧토끼 배설물 석성 2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2390056 126.9817139 2584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30819 126.9672064 2585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27839 126.9670169 2586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26828 126.9669508 2587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27222 126.9668781 2588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25283 126.9666506 2589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3539 126.9659833 2590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3397 126.9660722 2591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3769 126.9662069 2592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1753 126.9662933 2593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1781 126.9662903 2594 두더지 굴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09356 126.9663908 2595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79335 126.9682806 2596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789444 126.9691411 2597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789456 126.9693525 2598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786906 126.9694892 2599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786967 126.9694992 2600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786481 126.9695658 2601 고라니 발자국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769192 126.9706564 2602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0875 126.9697358 2603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1897 126.9696364 2604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3419 126.9693333 2605 고라니 배설물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4344 126.9690047 2606 고양이 발자국 석성 3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817461 126.9681419 2607 청설모 식흔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26253 126.8808036 2608 청설모 식흔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24794 126.8812447 2609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23342 126.8815197 2610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22067 126.8818367 2611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21769 126.88197 2612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2015 126.8823 2613 삵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20008 126.8822953 2614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19686 126.88231 2615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10767 126.8827017 2616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10253 126.8828806 2617 두더지 굴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8711 126.8831131 2618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8528 126.8831336 2619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7647 126.8837269 2620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7658 126.8849689 2621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7736 126.8851447 31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622 2623 두더지 굴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7436 126.8854792 청설모 식흔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397983 126.8862547 2624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399917 126.8862164 2625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0278 126.8862189 2626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1128 126.8861864 2627 청설모 식흔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399056 126.8863417 2628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399164 126.8863561 2629 고라니 배설물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3993 126.8863742 2630 청설모 식흔 석성 4 1 회방문 2017 366162 석성 36.1409725 126.8884892 2631 고라니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38831 126.6516075 2632 고라니 목견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36033 126.6515478 2633 고라니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29139 126.6484889 2634 고라니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197136 126.6449842 2635 고라니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196669 126.6447764 2636 고라니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191789 126.6444919 2637 삵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188831 126.6435158 2638 고라니 목견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188669 126.6430942 2639 다람쥐 목견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188872 126.6430614 2640 다람쥐 목견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00392 126.6403558 2641 다람쥐 목견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15444 126.6393086 2642 삵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36478 126.63831 2643 다람쥐 목견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50117 126.6394661 2644 너구리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80306 126.6423722 2645 삵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82606 126.6431292 2646 삵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85375 126.6445294 2647 삵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84664 126.6460475 2648 삵 배설물 외산 1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284528 126.6460606 2649 고양이 목견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16006 126.7451911 2650 청설모 식흔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84889 126.7454142 2651 오소리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93008 126.7446272 2652 오소리 굴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96364 126.7441572 2653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102106 126.7437467 2654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118622 126.7406022 2655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88669 126.7384739 2656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75756 126.7366778 2657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74581 126.7365514 2658 삵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73711 126.7364531 2659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72294 126.7363733 2660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55 126.7380975 2661 청설모 식흔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45903 126.7395561 2662 청설모 식흔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45794 126.7398217 2663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40658 126.7410008 2664 청설모 식흔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40678 126.7410011 317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665 고라니 배설물 외산 2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3040825 126.7421994 2666 다람쥐 목견 외산 3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816964 126.6637083 2667 청설모 목견 외산 3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81419 126.6636444 2668 삵 배설물 외산 3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72367 126.6574994 2669 고라니 배설물 외산 3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75647 126.6576911 2670 청설모 식흔 외산 3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90478 126.6570072 2671 청설모 식흔 외산 3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804453 126.6573639 2672 고라니 배설물 외산 3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822531 126.6589831 2673 고라니 배설물 외산 3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833631 126.6642664 2674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65389 126.7244258 2675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66675 126.7243606 2676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67678 126.7243236 2677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0572 126.7243225 2678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0933 126.7243431 2679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4186 126.7248219 2680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3878 126.7248525 2681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3417 126.7248769 2682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9186 126.7251814 2683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95575 126.7268064 2684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96039 126.7268956 2685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99261 126.7270908 2686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0575 126.7271872 2687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0572 126.7271875 2688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0569 126.7271892 2689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2525 126.7271036 2690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2386 126.7270819 2691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2597 126.7269569 2692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4403 126.7267792 2693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445 126.7267522 2694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5458 126.7267028 2695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23192 126.7272697 2696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23736 126.7273789 2697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26064 126.7280633 2698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25928 126.7280158 2699 족제비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16525 126.7276286 2700 두더지 굴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16508 126.72763 2701 두더지 굴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11661 126.7276347 2702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9181 126.7277397 2703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7203 126.7278442 2704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7002 126.7281803 2705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99689 126.7281589 2706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97375 126.7281125 2707 두더지 굴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96364 126.7280983 31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2708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962 126.7281161 2709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89081 126.7276517 2710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83417 126.7274678 2711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80819 126.727295 2712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80603 126.7272897 2713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9947 126.7272794 2714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9753 126.7272906 2715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5994 126.7272303 2716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3919 126.727075 2717 두더지 굴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2075 126.7269139 2718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69981 126.726645 2719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6885 126.7264994 2720 청설모 식흔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56772 126.7260111 2721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48392 126.7258675 2722 청설모 식흔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49161 126.7257294 2723 고라니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42917 126.7245717 2724 삵 배설물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41847 126.7243031 2725 두더지 굴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42019 126.7241767 2726 고라니 목견 외산 4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42003 126.7241114 2727 삵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57083 126.6952592 2728 삵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68136 126.6960506 2729 청설모 식흔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3556 126.6962894 2730 멧토끼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73906 126.696505 2731 청설모 목견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81689 126.6959431 2732 고라니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43494 126.6937306 2733 삵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544958 126.6902156 2734 고라니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536683 126.6902389 2735 삵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543447 126.6903114 2736 삵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575647 126.69008 2737 삵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57855 126.6903339 2738 고라니 발자국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591264 126.6910892 2739 두더지 굴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59525 126.6911633 2740 삵 배설물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597633 126.691515 2741 두더지 굴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01231 126.6917892 2742 두더지 굴 외산 5 1 회방문 2017 366114 외산 36.2615058 126.6925164 2743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71042 128.9739642 2744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41 128.9751567 2745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58175 128.9757747 2746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56756 128.9758725 2747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49719 128.9755936 2748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40322 128.977045 2749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40153 128.9770889 2750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37744 128.9795722 319 위도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751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35028 128.9807933 2752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32686 128.9809344 2753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32378 128.9810242 2754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9697 128.9812525 2755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92 128.9836744 2756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8428 128.9839253 2757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4578 128.9847222 2758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9778 128.9851578 2759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795 128.9854219 2760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0633 128.9854172 2761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1458 128.9853969 2762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1453 128.9854406 2763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1228 128.9854614 2764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0736 128.9854722 2765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6161 128.9856442 2766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6133 128.9856236 2767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0978 128.9861844 2768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99881 128.986325 2769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95111 128.9861167 2770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92769 128.9861722 2771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91986 128.9861722 2772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4453 128.9859789 2773 담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22 128.9861153 277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1947 128.9861228 2775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61178 128.9849911 277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60139 128.9849422 2777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56894 128.9848231 2778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9858 128.98464 2779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9006 128.9846492 2780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9092 128.9846217 2781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3767 128.9843908 278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34672 128.9839433 2783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26381 128.9839614 2784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19233 128.9834172 2785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17364 128.9832508 278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13994 128.9830008 278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13697 128.9829236 2788 다람쥐 식흔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12778 128.9828972 2789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8203 128.9824711 2790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3183 128.9820617 2791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2444 128.9820461 2792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1675 128.9820406 2793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0019 128.9818539 32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794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93992 128.9813069 2795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93986 128.9813069 2796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93983 128.9813019 2797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94008 128.9813042 2798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89189 128.9811444 2799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82225 128.9806017 2800 담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81008 128.980505 280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7105 128.9804442 2802 담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69708 128.980505 2803 담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67144 128.9804625 2804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53811 128.9799475 2805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52931 128.9799314 2806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52622 128.9799239 2807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52411 128.9799189 2808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50731 128.9798769 2809 담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50061 128.9798583 281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48728 128.9798486 2811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42108 128.9794525 2812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42231 128.9794072 281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41908 128.9793978 2814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6917 128.9791986 2815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3189 128.9790222 281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2769 128.9790317 2817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3069 128.9789803 2818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3075 128.9789772 2819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0761 128.9787864 2820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0758 128.9787861 2821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0758 128.9787861 2822 다람쥐 목견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29503 128.9786639 282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29156 128.9786394 282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16981 128.9780322 2825 담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10494 128.9774508 2826 두더지 굴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04689 128.9771492 282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77869 128.9750492 2828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2131 128.9743444 2829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1689 128.9743719 283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1622 128.9743531 2831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38692 128.9732931 2832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38697 128.9732931 2833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38744 128.9732758 2834 두더지 굴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34636 128.9725533 2835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1861 128.9702364 2836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0336 128.9685269 321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83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3953 128.9665767 2838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5281 128.9659581 2839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3353 128.9653389 284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2397 128.9630222 2841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1797 128.9621917 2842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2308 128.9620972 2843 삵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494 128.9611433 284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63 128.9601764 284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6639 128.9611939 284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6578 128.9616556 284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7047 128.9619533 2848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6367 128.9629975 2849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69025 128.9633033 2850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79069 128.9649008 2851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80494 128.9652153 285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80747 128.9665783 2853 담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80861 128.9666078 285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80803 128.9666467 285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80792 128.9666653 2856 노루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93136 128.9669794 2857 노루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95494 128.9671094 2858 노루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195703 128.9671183 2859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10206 128.9677744 286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3215 128.9712678 2861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5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50867 128.978635 286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44233 128.9595542 2863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28842 128.9593278 2864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2315 128.9592997 2865 두더지 굴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18414 128.9591289 2866 삵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6469 128.9583428 2867 삵 배설물 오래된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6464 128.9583428 2868 담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5322 128.9574872 2869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38525 128.9582742 2870 멧돼지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2867 128.9599169 2871 오소리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20969 128.95474 2872 오소리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7522 128.9527308 2873 다람쥐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6161 128.9526675 2874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94275 128.95176 2875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91783 128.9513906 2876 오소리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91164 128.9513503 2877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84772 128.9496678 2878 다람쥐 목견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84967 128.9494875 32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879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2880 담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88511 128.9486581 운문산 35.6288519 128.9486542 288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288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96753 128.9473261 358082 운문산 35.6297069 128.9473058 2883 삵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884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1828 128.9469364 2017 358082 운문산 35.6303983 128.9464072 288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2886 담비 배설물 오래된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4528 128.94597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4461 128.9459617 2887 족제비 배설물 2888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28575 128.9411906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37347 128.9411517 2889 족제비 289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0458 128.9412831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2467 128.9412542 2891 289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5756 128.9411353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57069 128.9407114 2893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587 128.9407458 2894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61014 128.9406122 2895 오소리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67214 128.9405586 2896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0431 128.9405231 2897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4294 128.9404817 2898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7778 128.9404872 2899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8633 128.940475 2900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1536 128.9404158 2901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2114 128.9404075 2902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2597 128.9403986 2903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4519 128.9403497 2904 삵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5047 128.9403378 2905 삵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8653 128.9404364 2906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94042 128.9407481 2907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99203 128.9408539 2908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0069 128.9408725 2909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0869 128.9409103 2910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3894 128.9411606 2911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3492 128.941965 2912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3956 128.9419847 2913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4606 128.9420225 2914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5381 128.9420453 2915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6917 128.9420753 2916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7603 128.942085 2917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1314 128.9420714 2918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2361 128.9420894 2919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3903 128.9421375 2920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4422 128.9421678 323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921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6628 128.9422886 2922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7944 128.9423886 2923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9089 128.9424711 2924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38814 128.9429069 2925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40878 128.9430081 2926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47117 128.9433728 2927 삵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0436 128.9436092 2928 오소리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6744 128.9435747 2929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7778 128.9435819 293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77297 128.9437692 293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83619 128.9442561 2932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87817 128.944555 2933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88881 128.9446214 2934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91411 128.9448744 2935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92011 128.9448936 293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94525 128.9450242 2937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97486 128.9455094 2938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7942 128.9462397 2939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9044 128.9462222 2940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9617 128.9461986 2941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39736 128.9472142 2942 삵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52092 128.9486497 2943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517 128.9490994 2944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49475 128.9496306 2945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45572 128.9526183 2946 청설모 식흔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48136 128.9549311 2947 하늘다람쥐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54644 128.9575003 2948 삵 배설물 운문산 6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58858 128.9600778 2949 오소리 굴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38081 128.9617694 2950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2955 128.9619825 2951 담비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27975 128.9620806 2952 담비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26528 128.96214 2953 삵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23581 128.9624108 2954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18111 128.9627531 2955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13525 128.9629703 2956 담비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10989 128.9629494 2957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8003 128.9630286 2958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7461 128.9630792 2959 오소리 굴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1303 128.9633417 296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96694 128.9631594 2961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95328 128.9630108 2962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85767 128.9629675 2963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80939 128.9630656 324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2964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78961 128.9631386 2965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7008 128.9636661 296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5217 128.9637172 2967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3042 128.9638028 2968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58575 128.9640231 2969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54833 128.9641358 2970 고라니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48478 128.9647914 2971 멧토끼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38639 128.9649306 2972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30511 128.9652403 2973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2814 128.9668508 2974 고라니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6017 128.9691008 2975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16403 128.9692978 2976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8156 128.9718125 2977 청설모 식흔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6706 128.9718778 2978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68689 128.9726856 2979 멧돼지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6536 128.9713697 2980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7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8983 128.9753064 2981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02106 128.9581862 2982 노루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84188 128.9571457 2983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82166 128.9570313 2984 삵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1991 128.9541055 2985 오소리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20767 128.9540864 298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5836 128.9530082 2987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3992 128.9522876 2988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82102 128.9522901 2989 청설모 식흔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959 128.9521845 2990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6032 128.9521161 2991 삵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5644 128.9521094 2992 청설모 식흔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72349 128.9519974 2993 삵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59671 128.9512693 2994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8337 128.9497031 2995 청설모 식흔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7222 128.9495458 2996 삵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46625 128.9495046 2997 청설모 식흔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39573 128.9475647 2998 청설모 식흔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32434 128.9462614 2999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4463 128.9459136 3000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02908 128.9467629 3001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271238 128.9501782 3002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15306 128.9565536 3003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57169 128.9606351 3004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357746 128.9606438 3005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6708 128.9599311 3006 족제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08191 128.959801 325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007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49297 128.9583795 3008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465317 128.9575578 3009 담비 배설물 운문산 8 1 회방문 2017 358082 운문산 35.6510008 128.9580948 3010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69414 126.5809119 3011 삵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76781 126.580905 3012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82469 126.5800094 3013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81658 126.5798056 3014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81631 126.5797789 3015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81475 126.5795447 3016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81431 126.579425 3017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81794 126.5786797 3018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81028 126.5785678 3019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77972 126.5781528 3020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77169 126.5781244 3021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73572 126.5781708 3022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72153 126.5781031 3023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71761 126.5780953 3024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69525 126.5779772 3025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68794 126.5779719 3026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65983 126.5779342 3027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65694 126.5779089 3028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63356 126.5777119 3029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61178 126.5776231 3030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57214 126.5775078 3031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55583 126.5774078 3032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50814 126.5769131 3033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49417 126.5769036 3034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36808 126.5768394 3035 청설모 식흔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31197 126.5776619 3036 청설모 목견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29614 126.5779292 3037 청설모 식흔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29792 126.5780628 3038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34633 126.5785625 3039 고라니 배설물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343 126.5785078 3040 청설모 사체 웅천 1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232575 126.5788408 3041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047 126.6000558 3042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017 126.60006 3043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3078 126.5999419 3044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3072 126.5999411 3045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33 126.5998583 3046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3886 126.5997397 3047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5231 126.5995453 3048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5478 126.5994797 3049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5425 126.5994644 32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050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4919 126.5988797 3051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4561 126.5988028 3052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4217 126.5987281 3053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4058 126.5986764 3054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875 126.5985547 3055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719 126.5984608 3056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214 126.5983344 3057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1856 126.5981794 3058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1317 126.5968031 3059 멧토끼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1906 126.5965692 3060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1783 126.5965461 3061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1903 126.5965639 3062 멧토끼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89422 126.5935197 3063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428 126.5929436 3064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933 126.59277 3065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3264 126.5926619 3066 청설모 식흔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07133 126.5965122 3067 청설모 식흔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08164 126.5974681 3068 청설모 식흔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09175 126.5975894 3069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16475 126.5983786 3070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26994 126.5997519 3071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30269 126.6002353 3072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30611 126.6003017 3073 너구리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37286 126.6011 3074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37631 126.6011231 3075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38364 126.6011297 3076 너구리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39403 126.6011483 3077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42639 126.6012892 3078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45333 126.6014447 3079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53139 126.6015017 3080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64711 126.6014992 3081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71372 126.6015603 3082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73253 126.6015881 3083 청설모 식흔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75494 126.6019703 3084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88719 126.60272 3085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895 126.6027033 3086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00436 126.6029072 3087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07094 126.6030461 3088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16283 126.6030042 3089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16283 126.6030042 3090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1392 126.6029914 3091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1906 126.6032017 3092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2678 126.6034186 327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093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2756 126.6034281 3094 두더지 굴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3864 126.6035553 3095 청설모 식흔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5017 126.60364 3096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6508 126.6036806 3097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6606 126.6036817 3098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28053 126.6037178 3099 두더지 굴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30261 126.6037908 3100 두더지 굴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35981 126.6039836 3101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38831 126.6039656 3102 멧돼지 식흔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44317 126.6039914 3103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47875 126.6041456 3104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56892 126.6044817 3105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61678 126.6045908 3106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61703 126.6045939 3107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61797 126.6045911 3108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63422 126.6045039 3109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73186 126.6045233 3110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76817 126.6042581 3111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7775 126.6039919 3112 너구리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77747 126.6039728 3113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86272 126.6021189 3114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86872 126.6020647 3115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86947 126.6020558 3116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0836 126.6016497 3117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0853 126.6016267 3118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1317 126.6015603 3119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147 126.6013358 3120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6 126.6011422 3121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6 126.6011422 3122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275 126.6008575 3123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1953 126.6005164 3124 삵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18 126.6004675 3125 고라니 배설물 웅천 2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2092094 126.6003664 3126 너구리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897358 126.5704719 3127 고라니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897883 126.5704431 3128 너구리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04853 126.5703658 3129 고라니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05203 126.5703367 3130 고라니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07856 126.5701086 3131 너구리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10119 126.5695669 3132 고라니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15056 126.5686425 3133 고라니 발자국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06869 126.5689211 3134 삵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901956 126.56957 3135 수달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897811 126.5698458 32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3136 삵 발자국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889122 126.5711464 3137 수달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889003 126.5710167 3138 삵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889133 126.5710086 3139 삵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888911 126.5712547 3140 너구리 배설물 웅천 3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875692 126.5708814 3141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33233 126.5683853 3142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31636 126.5683972 3143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30906 126.5684433 3144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28911 126.5683828 3145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24042 126.5678389 3146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20183 126.5676358 3147 너구리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96 126.5677278 3148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9478 126.5677783 3149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955 126.56779 3150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8744 126.5678217 3151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8522 126.5678342 3152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599333 126.5671947 3153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594517 126.5677128 3154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593747 126.567905 3155 청설모 식흔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591356 126.5680581 3156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589889 126.5681836 3157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4283 126.5679517 3158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1644 126.5678897 3159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0689 126.5678892 3160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3322 126.567905 3161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0789 126.5680292 3162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0481 126.5680242 3163 너구리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10117 126.5680181 3164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07558 126.5680003 3165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03117 126.5677122 3166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602433 126.5676614 3167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595414 126.5666844 3168 고라니 배설물 웅천 4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599306 126.5671131 3169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407456 126.6112144 3170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412483 126.6121525 3171 삵 배설물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440103 126.6153258 3172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446556 126.6162167 3173 두더지 굴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426353 126.6176728 3174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426131 126.617655 3175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424786 126.6176364 3176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416239 126.61769 3177 오소리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4092 126.6180264 3178 삵 배설물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2172 126.6173203 329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179 3180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1975 126.6168483 고라니 배설물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25 126.6160044 3181 3182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2833 126.6158944 고라니 배설물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4861 126.6146242 3183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69872 126.6116256 3184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0989 126.6112394 3185 청설모 식흔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1836 126.6109725 3186 고라니 배설물 웅천 5 1 회방문 2017 366151 웅천 36.1375669 126.6099942 3187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10461 126.6907247 3188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10064 126.6908439 3189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6183 126.6910269 3190 멧돼지 식흔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10375 126.6918361 3191 두더지 굴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6144 126.6913678 3192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5758 126.6912525 3193 오소리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5806 126.6911678 3194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5772 126.69115 3195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7344 126.6911083 3196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9169 126.6910164 3197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9536 126.6909847 3198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8917 126.6897428 3199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8597 126.6891811 3200 두더지 굴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08625 126.6891458 3201 두더지 굴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15278 126.6872297 3202 청설모 식흔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159 126.6870264 3203 청설모 식흔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15594 126.686145 3204 두더지 굴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15572 126.6861339 3205 두더지 굴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13611 126.6862147 3206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22172 126.6832828 3207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26644 126.682325 3208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2494 126.6822203 3209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2572 126.6822236 3210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5844 126.6821136 3211 삵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9044 126.6823481 3212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1036 126.6825008 3213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2119 126.6828692 3214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3228 126.6829744 3215 삵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9945 126.6841472 3216 삵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2767 126.6843753 3217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11019 126.6849642 3218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17297 126.6891342 3219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17533 126.6891222 3220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16397 126.6900706 3221 고라니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9486 126.6899672 33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222 삵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8564 126.6902553 3223 삵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98908 126.6889931 3224 삵 배설물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8653 126.6902847 3225 고라니 발자국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8392 126.6908186 3226 고라니 발자국 판교 1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87894 126.6897789 3227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2575 126.7386969 3228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26039 126.7385964 3229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29358 126.7383506 3230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29489 126.7382742 3231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1061 126.7380231 3232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2258 126.7377283 3233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3703 126.7373361 3234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4328 126.7372061 3235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4361 126.7370675 3236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5475 126.7368486 3237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5472 126.7368403 3238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6994 126.7365061 3239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6997 126.7365058 3240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7439 126.7364172 3241 멧돼지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8758 126.7362806 3242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9086 126.7362219 3243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39086 126.7362192 3244 삵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2558 126.7357694 3245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3583 126.7358619 3246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3411 126.7358908 3247 삵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3206 126.73585 3248 삵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3275 126.7358525 3249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2928 126.7355186 3250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5392 126.7350156 3251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7094 126.7344667 3252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72 126.7344347 3253 두더지 굴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7669 126.7343175 3254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8019 126.7342558 3255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8672 126.7341797 3256 오소리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4935 126.73411 3257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2642 126.7337 3258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3853 126.7336011 3259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4458 126.7335653 3260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5303 126.73354 3261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7564 126.7334869 3262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58219 126.7334931 3263 너구리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1392 126.7335258 3264 오소리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1394 126.7335058 331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265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2794 126.7335131 3266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4539 126.73357 3267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6069 126.7335492 3268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7158 126.7335481 3269 너구리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7711 126.7335567 3270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68278 126.7335614 3271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0061 126.7335756 3272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1964 126.7336217 3273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3644 126.7337108 3274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3672 126.7337022 3275 오소리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4286 126.7337031 3276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5006 126.7336672 3277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6522 126.7336569 3278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77117 126.7336481 3279 오소리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84706 126.7338158 3280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85464 126.7339386 3281 삵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87731 126.7342131 3282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90211 126.7342064 3283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89331 126.7342775 3284 너구리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90267 126.7343706 3285 고라니 목견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94511 126.7342925 3286 삵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96144 126.7343222 3287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97603 126.7343547 3288 삵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299617 126.7343267 3289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0181 126.7343725 3290 두더지 굴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0281 126.7343814 3291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0969 126.7344178 3292 고라니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2381 126.7345153 3293 삵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3744 126.7344978 3294 족제비 배설물 판교 2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2306981 126.7345036 3295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68511 126.6581264 3296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67994 126.6584278 3297 오소리 굴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68311 126.6586686 3298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67681 126.6589408 3299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6655 126.6591922 3300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57303 126.6593292 3301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56303 126.6592633 3302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49097 126.6589461 3303 오소리 굴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47769 126.6589753 3304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46208 126.6590922 3305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44903 126.6591053 3306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45353 126.6588339 3307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4075 126.6588397 33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308 오소리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40431 126.6588644 3309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36556 126.6589664 3310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34581 126.6589492 3311 오소리 굴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6969 126.6586122 3312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3319 126.6584686 3313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5089 126.6582736 3314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4578 126.6578983 3315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5122 126.6580686 3316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5511 126.6580958 3317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8031 126.6582039 3318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9556 126.65821 3319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0569 126.658235 3320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356 126.6582475 3321 오소리 굴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8425 126.6577842 3322 오소리 굴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7717 126.6576558 3323 삵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8356 126.6573728 3324 오소리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8761 126.6571533 3325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9242 126.6570633 3326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9892 126.6569525 3327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0206 126.6568531 3328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0222 126.656805 3329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0414 126.6567378 3330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0797 126.6566156 3331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206 126.6564442 3332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617 126.6563458 3333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767 126.6561683 3334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725 126.6561644 3335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678 126.6560308 3336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825 126.6554542 3337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953 126.6555433 3338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589 126.6556922 3339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961 126.6556622 3340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2667 126.6555442 3341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3653 126.6553992 3342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4911 126.6552831 3343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5622 126.6552767 3344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1242 126.6552353 3345 청설모 식흔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1644 126.6551786 3346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4617 126.6549594 3347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6672 126.6547483 3348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7642 126.6546867 3349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8197 126.6546228 3350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49917 126.6567314 333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351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50492 126.6567403 3352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72267 126.658375 3353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7215 126.6579286 3354 고라니 배설물 판교 3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72297 126.6577706 3355 고라니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77158 126.7015131 3356 삵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79372 126.7029794 3357 삵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7955 126.7029836 3358 두더지 굴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88975 126.70325 3359 두더지 굴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4917 126.7024825 3360 오소리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7044 126.7021725 3361 청설모 식흔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8889 126.701765 3362 두더지 굴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9572 126.7016039 3363 고라니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0753 126.70099 3364 고라니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9581 126.7007833 3365 두더지 굴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8714 126.7000364 3366 두더지 굴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0528 126.6998372 3367 청설모 식흔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9383 126.6996481 3368 청설모 식흔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7817 126.6994442 3369 멧돼지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7239 126.6993592 3370 청설모 식흔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5708 126.6991911 3371 두더지 굴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5706 126.6991908 3372 청설모 식흔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5758 126.6991892 3373 고라니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5608 126.6990853 3374 삵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4575 126.6988464 3375 고라니 배설물 판교 4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793442 126.6982239 3376 두더지 굴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1872 126.7356669 3377 두더지 굴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2214 126.7355139 3378 오소리 굴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1186 126.7351158 3379 고라니 배설물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2089 126.7347456 3380 오소리 배설물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2055 126.7347419 3381 두더지 굴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9953 126.7347456 3382 청설모 식흔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8122 126.7346569 3383 고라니 배설물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4781 126.7344117 3384 청설모 식흔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3864 126.7343628 3385 청설모 식흔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2806 126.7342911 3386 고라니 배설물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11156 126.7340961 3387 고라니 배설물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9922 126.7334736 3388 청설모 식흔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8269 126.7331578 3389 두더지 굴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8242 126.7331494 3390 청설모 식흔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5694 126.7328272 3391 청설모 식흔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4467 126.7328128 3392 고라니 배설물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03306 126.7328753 3393 청설모 목견 판교 5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832264 126.730145 334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394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77144 126.6375142 3395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54997 126.63619 3396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58431 126.6366897 3397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60925 126.6372492 3398 오소리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62614 126.6374772 3399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64656 126.6375192 3400 청설모 식흔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71128 126.6378497 3401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84539 126.6380431 3402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93697 126.6383422 3403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95053 126.6384731 3404 청설모 식흔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95208 126.6384975 3405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599819 126.6387842 3406 청설모 식흔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612789 126.6386472 3407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613247 126.6384475 3408 고라니 배설물 판교 6 1 회방문 2017 366152 판교 36.1612836 126.6384119 3409 너구리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91981 126.7710439 3410 두더지 굴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91978 126.7710478 3411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96183 126.77084 3412 두더지 굴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3144 126.7702406 3413 두더지 굴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4853 126.7699711 3414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4631 126.7689019 3415 청설모 식흔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4611 126.7689031 3416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2289 126.7689942 3417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92989 126.7692139 3418 두더지 굴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87289 126.7697158 3419 오소리 식흔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80719 126.7695908 3420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79458 126.7695572 3421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72092 126.77023 3422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72092 126.7702303 3423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72069 126.7702333 3424 오소리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71169 126.7702869 3425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68058 126.77049 3426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66464 126.7707653 3427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65944 126.7707783 3428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65686 126.7707525 3429 고라니 배설물 홍산 1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364133 126.7708758 3430 고양이 목견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32731 126.8053575 3431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20836 126.80374 3432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20853 126.8037411 3433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20767 126.8037439 3434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20586 126.8037572 3435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20411 126.8037492 3436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17689 126.8036672 335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437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16056 126.8035492 3438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15997 126.8035522 3439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15725 126.8035614 3440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7864 126.8030911 3441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7619 126.8030264 3442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6078 126.8030275 3443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6011 126.8030292 3444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1658 126.8030542 3445 두더지 굴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1219 126.8033428 3446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1672 126.8034767 3447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1717 126.8035731 3448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1461 126.8036606 3449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14 126.8036661 3450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3278 126.8046919 3451 고라니 배설물 홍산 2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2403189 126.8047664 3452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4228 126.7728217 3453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589 126.7724811 3454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314 126.7723644 3455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381 126.7722806 3456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828 126.772215 3457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15 126.7721825 3458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164 126.772055 3459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322 126.7720281 3460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342 126.7719258 3461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6 126.7719033 3462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2072 126.7718508 3463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2442 126.7717939 3464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1078 126.7717492 3465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0397 126.7717492 3466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0106 126.7717233 3467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6819 126.7717678 3468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6922 126.7717622 3469 오소리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8014 126.7716119 3470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2917 126.7712647 3471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2067 126.7709061 3472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1525 126.7706039 3473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1544 126.7705489 3474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1383 126.7704736 3475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1792 126.7703503 3476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1572 126.7703419 3477 삵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2614 126.7690458 3478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3781 126.7688628 3479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13836 126.7673039 336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480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14339 126.7672661 3481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14758 126.7672342 3482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153 126.7671928 3483 두더지 굴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2583 126.7681961 3484 두더지 굴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3325 126.7682964 3485 고라니 배설물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24892 126.7681842 3486 고라니 사체 홍산 3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32186 126.7683867 3487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38394 126.8228392 3488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39492 126.8227675 3489 청설모 식흔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45178 126.8224256 3490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50617 126.8224944 3491 삵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52925 126.8224125 3492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55083 126.8224156 3493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56522 126.8223944 3494 청설모 식흔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592 126.8224461 3495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4014 126.8225853 3496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7681 126.8228922 3497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0331 126.8226975 3498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3753 126.8225936 3499 두더지 굴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76 126.8224036 3500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4894 126.8186258 3501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3867 126.8186367 3502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16 126.8186719 3503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1278 126.8186806 3504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0947 126.818665 3505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1947 126.8188017 3506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3597 126.81895 3507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4572 126.8190703 3508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47 126.8190797 3509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0089 126.8214108 3510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0183 126.8217769 3511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1006 126.8219792 3512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1675 126.8221361 3513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2522 126.8224489 3514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2567 126.8224419 3515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3561 126.8225792 3516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6953 126.8231364 3517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9669 126.8232772 3518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0803 126.8234281 3519 족제비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3447 126.8239417 3520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4056 126.8238742 3521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5286 126.8238439 3522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8117 126.8238136 337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523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18794 126.8237786 3524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0811 126.8238153 3525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2186 126.8237678 3526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7189 126.8238814 3527 삵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28353 126.8239628 3528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32753 126.8235744 3529 고라니 배설물 홍산 4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34467 126.8233347 3530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7406 126.8451919 3531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6703 126.8452931 3532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5789 126.8453928 3533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5897 126.8454319 3534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4992 126.8457106 3535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5547 126.8461361 3536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6569 126.8464806 3537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6514 126.8467278 3538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6394 126.8468697 3539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66419 126.8468719 3540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4786 126.8488275 3541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4689 126.8488511 3542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3853 126.8492308 3543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3508 126.849295 3544 두더지 굴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4167 126.8497022 3545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3936 126.8497189 3546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76292 126.8499994 3547 두더지 굴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81183 126.8503461 3548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83519 126.8505597 3549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86269 126.8508536 3550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90861 126.8510289 3551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92364 126.8513508 3552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92761 126.8514706 3553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92961 126.8515639 3554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9415 126.8518378 3555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795828 126.8520628 3556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03325 126.8520453 3557 고라니 배설물 홍산 5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803056 126.8519931 3558 고라니 발자국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267253 126.7813275 3559 수달 배설물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269939 126.7803122 3560 수달 배설물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270033 126.7803058 3561 수달 배설물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271394 126.7801369 3562 수달 배설물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278397 126.7802925 3563 멧돼지 식흔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28555 126.7806436 3564 고라니 발자국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285314 126.7806442 3565 멧돼지 발자국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292861 126.7804028 338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566 수달 배설물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322039 126.7788306 3567 수달 배설물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322606 126.7788597 3568 수달 배설물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326186 126.7790347 3569 고라니 배설물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328078 126.7792133 3570 고라니 발자국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328725 126.7792631 3571 두더지 굴 홍산 6 1 회방문 2017 366161 홍산 36.1355625 126.7829636 3572 두더지 굴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51581 127.8118936 3573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44061 127.8140944 3574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45569 127.8180408 3575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42511 127.8204444 3576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42314 127.8236564 3577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44917 127.8245353 3578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36292 127.826485 3579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35931 127.8264931 3580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33128 127.8267756 3581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30244 127.8270117 3582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1556 127.8290203 3583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1311 127.8295164 3584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8708 127.8306081 3585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8419 127.8307875 3586 멧돼지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0392 127.8327031 3587 멧돼지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0797 127.8330817 3588 멧돼지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245 127.8333619 3589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0131 127.8338725 3590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08439 127.8346678 3591 오소리 굴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08614 127.8367047 3592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08139 127.8373572 3593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07844 127.8378467 3594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1989 127.8388247 3595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2561 127.8389772 3596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3386 127.8401344 3597 두더지 굴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815 127.8410753 3598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6822 127.8436119 3599 족제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6825 127.8436119 3600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3325 127.8443722 3601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0242 127.8465536 3602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0475 127.8467733 3603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1528 127.8473978 3604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1769 127.8474606 3605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2319 127.8479469 3606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4183 127.8498303 3607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4242 127.8501369 3608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3481 127.8506842 339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609 3610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3642 127.8519739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2347 127.8525583 3611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2106 127.8526406 3612 족제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2036 127.8527406 3613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2006 127.8527931 3614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9111 127.8534867 3615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9106 127.8534875 3616 담비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9044 127.8534869 3617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8183 127.8537919 3618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18611 127.8540681 3619 청설모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20575 127.8568094 3620 두더지 굴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33786 127.8592119 3621 두더지 굴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50219 127.8607472 3622 두더지 굴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59233 127.8622675 3623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59381 127.8623172 3624 오소리 배설물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63728 127.8626239 3625 두더지 굴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65569 127.8627794 3626 멧돼지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75331 127.8639528 3627 멧돼지 식흔 관기 1 1 회방문 2017 367121 관기 36.4778325 127.8645092 3628 다람쥐 소리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23778 128.3504752 3629 두더지 굴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2093 128.3513328 3630 두더지 굴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15768 128.3508859 3631 멧돼지 기타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13601 128.3513915 3632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22147 128.3530929 3633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25642 128.3540182 3634 다람쥐 식흔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25699 128.3540639 3635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28699 128.3545969 3636 두더지 굴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31865 128.3561046 3637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31959 128.3560884 3638 두더지 굴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31978 128.3563977 3639 노루 기타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08657 128.355041 3640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08509 128.3550368 3641 노루 기타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6602 128.3548224 3642 멧돼지 기타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3831 128.3547523 3643 노루 기타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1892 128.3543735 3644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87961 128.353959 3645 담비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87433 128.3538931 3646 청설모 식흔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82158 128.3535283 3647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81428 128.3535188 3648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7665 128.3536972 3649 멧돼지 식흔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79489 128.3533893 3650 삵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88124 128.3530225 3651 두더지 굴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88072 128.3530262 340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3652 3653 3654 3655 3656 3657 멧돼지 식흔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7283 128.3535112 고라니 배설물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5239 128.3521496 두더지 굴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5894 128.3521512 멧돼지 식흔 진조 3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07609 128.3522819 두더지 굴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38205 128.3001646 고라니 발자국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3831 128.300124 3658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40529 128.3004395 3659 두더지 굴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41897 128.3001588 3660 멧돼지 식흔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43229 128.3001049 3661 멧돼지 발자국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4391 128.3002052 3662 두더지 굴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4569 128.3002763 3663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4666 128.3002726 3664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2659 128.3000143 3665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4112 128.3000849 3666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4336 128.3001489 3667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5173 128.3002623 3668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6661 128.3002648 3669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652 128.3001295 3670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7958 128.2996534 3671 삵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8237 128.2989255 3672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8292 128.2989671 3673 삵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9479 128.298604 3674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69679 128.298568 3675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71578 128.2984716 3676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76156 128.2987152 3677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77915 128.2989216 3678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81144 128.2989309 3679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81836 128.2990863 3680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8477 128.2992865 3681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85835 128.2993066 3682 멧돼지 발자국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87812 128.2995619 3683 고라니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89717 128.2997544 3684 두더지 굴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91843 128.2999025 3685 삵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76706 128.2987921 3686 삵 배설물 진조 4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440891 128.300359 3687 멧토끼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82506 128.2799571 3688 청설모 식흔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56216 128.2806155 3689 다람쥐 식흔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58319 128.2806201 3690 두더지 굴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00695 128.2836066 3691 두더지 굴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03872 128.2839101 3692 두더지 굴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09323 128.2843466 3693 두더지 굴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14722 128.2852655 3694 담비 배설물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18013 128.285671 341 경도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695 3696 두더지 굴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27937 128.2861679 고라니 배설물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28654 128.286189 3697 3698 두더지 굴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53191 128.2878239 멧돼지 기타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57163 128.288809 3699 3700 다람쥐 목견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714 128.2835397 삵 배설물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80902 128.2821162 3701 고라니 배설물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89822 128.2799629 3702 고라니 배설물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374 128.278168 3703 두더지 굴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692106 128.2763954 3704 삵 배설물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03212 128.2748364 3705 두더지 굴 진조 2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703139 128.2748093 3706 삵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856706 128.2843558 3707 멧토끼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02779 128.2808498 3708 멧토끼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0478 128.2810634 3709 삵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08551 128.2809084 3710 안주애기박쥐 사체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4544 128.2786712 3711 삵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46066 128.2786807 3712 멧토끼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45038 128.2787921 3713 멧토끼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63367 128.2789946 3714 안주애기박쥐 사체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919981 128.2796859 3715 멧토끼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883293 128.2817054 3716 너구리 발자국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881374 128.2818122 3717 멧토끼 배설물 진조 1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869368 128.2820626 3718 삵 배설물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95668 128.2728662 3719 삵 배설물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95543 128.2724 3720 두더지 굴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96692 128.2722487 3721 삵 배설물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88726 128.2704127 3722 두더지 굴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83798 128.2689716 3723 고라니 소리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83628 128.2689873 3724 두더지 굴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83528 128.2689687 3725 두더지 굴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72343 128.268709 3726 두더지 굴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61055 128.2679763 3727 고라니 발자국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064399 128.2664749 3728 멧돼지 식흔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119171 128.275908 3729 멧돼지 식흔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118734 128.2763039 3730 멧돼지 식흔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124688 128.2777986 3731 고라니 발자국 진조 5 1 회방문 2018 378063 진조 37.511101 128.274298 3732 삵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8257 127.9581047 3733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563 127.9581046 3734 멧토끼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9271 127.9571773 3735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8259 127.9562628 3736 멧토끼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5256 127.9558889 3737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4046 127.9559075 342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738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0879 127.9553324 3739 멧토끼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88353 127.954689 3740 오소리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81705 127.9539471 3741 오소리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80285 127.9537642 3742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76885 127.9529849 3743 오소리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75308 127.9528205 3744 청설모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7539 127.9528398 3745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73977 127.9525128 3746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73332 127.9522954 3747 오소리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71608 127.9520278 3748 오소리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70092 127.9517992 3749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69553 127.9515889 3750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69604 127.9510226 3751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66555 127.9503228 3752 오소리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66845 127.9503508 3753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60619 127.9490291 3754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58265 127.948475 3755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58077 127.9484171 3756 삵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58347 127.9484755 3757 삵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6419 127.9558841 3758 삵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7999227 127.957381 3759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01512 127.9582528 3760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02712 127.9583403 3761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03325 127.9584109 3762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04714 127.9584602 3763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05422 127.9585234 3764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09847 127.9590123 3765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10075 127.9590003 3766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10793 127.9590166 3767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12831 127.9589806 3768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18637 127.9592659 3769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266 127.9592542 3770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27317 127.9592081 3771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29913 127.9592233 3772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36053 127.9594789 3773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40643 127.959815 3774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4085 127.9598122 3775 청설모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42206 127.9598645 3776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47989 127.9597679 3777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49974 127.9597669 3778 담비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50571 127.9597395 3779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51825 127.9597364 3780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53129 127.9598779 343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781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53125 127.9598701 3782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54041 127.9599206 3783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5592 127.9601657 3784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60114 127.9605745 3785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60524 127.9606011 3786 고라니 배설물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60112 127.9606155 3787 청설모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60269 127.9608646 3788 두더지 굴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67851 127.9614175 3789 청설모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66374 127.9613585 3790 청설모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62849 127.9614315 3791 멧돼지 식흔 웅양 2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06158 127.9615779 3792 두더지 굴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68217 127.8976778 3793 두더지 굴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67067 127.8976464 3794 오소리 굴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67137 127.8976553 3795 오소리 식흔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64728 127.8976247 3796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64979 127.8976133 3797 오소리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63853 127.8976178 3798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6341 127.8976743 3799 오소리 굴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58895 127.8984431 3800 오소리 식흔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57788 127.8985373 3801 오소리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517 127.8989028 3802 오소리 굴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9083 127.8991552 3803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9286 127.8991839 3804 두더지 굴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8803 127.8992227 3805 염소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6969 127.8994322 3806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5004 127.8995756 3807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4056 127.9001602 3808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4241 127.9002083 3809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151 127.9002593 3810 염소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069 127.9002934 3811 노루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40154 127.9002846 3812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38436 127.9001927 3813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37109 127.9001839 3814 노루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3647 127.9002553 3815 노루 기타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36565 127.9001671 3816 노루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34533 127.9001267 3817 멧돼지 식흔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27582 127.9005294 3818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23714 127.9006497 3819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03327 127.9003079 3820 오소리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296706 127.9003945 3821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295029 127.9002226 3822 청설모 식흔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282064 127.8997045 3823 멧돼지 식흔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279915 127.8996729 344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경도 3824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277557 127.8995361 3825 고라니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292165 127.9000697 3826 오소리 배설물 웅양 1 1 회방문 2018 357044 웅양 35.8369996 127.8975092 3827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51942 127.9666771 3828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49739 127.9670645 3829 오소리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48794 127.9671882 3830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4397 127.9678386 3831 고라니 소리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37861 127.9681505 3832 두더지 굴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35803 127.9681718 3833 오소리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33787 127.9687322 3834 오소리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34072 127.9687124 3835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358 127.9686564 3836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30093 127.9684063 3837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27043 127.9678863 3838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25321 127.9676886 3839 오소리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23194 127.9674464 3840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17708 127.9670521 3841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15405 127.9667502 3842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12733 127.9664872 3843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11825 127.9664561 3844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08047 127.9662467 3845 오소리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06693 127.9660841 3846 담비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1392 127.9666786 3847 삵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38845 127.968757 3848 오소리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48857 127.9689696 3849 멧토끼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52247 127.9690227 3850 청설모 식흔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5689 127.9685051 3851 오소리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57326 127.9684413 3852 오소리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66144 127.9681205 3853 오소리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77292 127.9678364 3854 멧돼지 기타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79295 127.9675584 3855 멧토끼 배설물 대덕 1 1 회방문 2018 357042 대덕 35.8867171 127.964801 3856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53798 127.5877802 3857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52539 127.5877153 3858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45417 127.5876797 3859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45155 127.5876882 3860 두더지 굴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27057 127.5893673 3861 오소리 식흔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26272 127.5894741 3862 두더지 굴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21239 127.589723 3863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1464 127.5899927 3864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85386 127.5864456 3865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578432 127.5845704 3866 담비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03652 127.5850727 345 번호 국명 흔적종류 구간이름 구간번호 반복횟수 연도 도엽번호 도엽명 위도 3867 두더지 굴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21664 127.585546 3868 두더지 굴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27622 127.5854703 3869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39908 127.5866268 3870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47759 127.5887108 3871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27301 127.5917909 3872 청설모 식흔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21415 127.5928163 3873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19579 127.5926694 3874 고라니 배설물 안천 1 1 회방문 2018 357031 안천 35.9600867 127.5878459 3875 멧돼지 발자국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12883 127.6543762 3876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15318 127.6537073 3877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1597 127.6535977 3878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16022 127.6535638 3879 담비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15323 127.6531705 3880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1667 127.6512831 3881 청설모 식흔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34983 127.649436 3882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40041 127.6486607 3883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49432 127.6474371 3884 담비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49541 127.6473894 3885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51028 127.6473288 3886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51266 127.6473378 3887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5319 127.6472318 3888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56063 127.6471674 3889 청설모 식흔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56099 127.647104 3890 담비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56528 127.6471185 3891 청설모 식흔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61323 127.6469861 3892 오소리 굴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64871 127.6466401 3893 오소리 굴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64876 127.64664 3894 오소리 굴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65309 127.6465986 3895 오소리 굴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65522 127.6465795 3896 오소리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79677 127.6459293 3897 담비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79756 127.6459395 3898 고라니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892889 127.6459345 3899 노루 배설물 적상 1 1 회방문 2018 357032 적상 35.8905035 127.6495234 346 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