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슬란드 부도 위기…과도한 금융산업 화근

입력
수정2008.10.09. 오전 12:2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ㆍ외자 유치 ‘올인’도 한몫

‘강소국(强小國)’으로 각광받아온 아이슬란드가 왜 가장 먼저 국가부도 위기를 맞고 있을까. 해외 언론들은 “과도한 금융경제 의존” “외자 도입의 함정” 등 정책적 실패를 위기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아이슬란드는 지난해 유엔개발계획(UNDP)이 선정한 살기 좋은 나라 1위 국가이자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세계 5위(6만2733 달러)인 나라다. 하지만 아이슬란드는 지금 디폴트(지급불능) 위기를 가장 가까이 둔 나라로 전락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7일 아이슬란드가 러시아에 40억유로의 긴급 지원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러시아 측은 이에 대해 “요청을 검토하겠다”고만 밝혔다. 아이슬란드 중앙은행은 환율 폭등을 막기 위해 1유로당 130크로나로 환율을 고정했지만, 암시장에서는 200크로나에 거래되는 등 환란은 계속되고 있다.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사태)을 우려한 정부는 은행 국유화 조치를 취하고 부실기업을 직접 인수하는 등 특단의 대책을 내리기도 했다. 하지만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는 8일 “아이슬란드 은행의 자회사인 해외 지점 계좌를 보유한 영국인들을 보호하지 않으면 법적인 조치를 밟을 것”이라며 국유화 후속 조치를 요구했다.

인구 30만의 어업 국가였던 아이슬란드는 1990년대부터 금융 시장 개방을 중심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뤘다. 최근까지 GDP의 10배에 이르는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같은 과도한 금융산업 비중은 아이슬란드 경제를 외부의 금융 충격에 민감하게 만들었다.

외국인 투자 유치에만 ‘올인’한 것도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금융산업이 이끄는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당국은 지속적으로 금리를 높여왔다. 해외자금을 끌어들이려고 2004년 5%대였던 정책금리를 15.5%까지 올렸다. 몰려든 외국인들의 돈은 금융시장에 집중됐으며 특히 ‘고위험·고수익’의 파생상품에 집중됐다. 하지만 지난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위기의 전주가 울리자 헤지펀드들은 ‘크로나’ 가치 하락에 집중 투기했다. 결국 통화가치가 폭락하면서 믿었던 외국 자본들은 탈출하기 시작했다.

‘금융 강국’ 아일랜드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본받아야 할 모델로 평가받았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아이슬란드 국민들도 이제 거품경제의 붕괴는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8일 전했다.

<정환보기자>

- 재취업·전직지원 무료 서비스 가기 -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