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수교 20년, 미래로 가는 KORINA]2002년 외국자본 유치해 화려한 부활… 마카오 GDP 94%가 카지노에서 나와

입력
수정2012.06.05. 오전 6:59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카지노 천국’ 마카오 가보니

[동아일보]

“당신이 나만큼 돈 있어 봤어? 내가 돈으로 할 수 있는 건 다 해봤는데 이것(카드 게임)만큼 재미있는 게 없어. 마지막 패를 열어보는 그 짜릿함은 말도 못해.”

중국인 관광객 우빙야우 씨(52)는 1일 마카오 베네시안 호텔 카지노에서 바카라 게임을 하며 기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4번을 연달아 져 5분 만에 8만 홍콩달러(약 1216만 원)를 잃었지만 그는 싱글벙글했다. 중년 남성인데도 왼손에 손톱 크기만 한 30캐럿 다이아몬드 반지를 꼈고 시계는 금으로 도금돼 있었다. 그는 카드를 받을 때마다 금과 다이아몬드로 장식돼 한 대에 36만 홍콩달러(약 5472만 원)인 자신의 ‘전시용’ 휴대전화를 만지작거렸다. 아직 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생각은 못했는지 그가 입을 벌리고 웃자 아랫니 3개가 빠져 있었다.

이 카지노의 VIP 고객을 관리하는 중국동포 C 씨는 우빙야우 씨를 중국 산시(陝西) 성의 광산재벌 중 한 명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틀간 200만 홍콩달러(약 3억400만 원)를 잃고도 자리를 뜨지 않는 카지노의 ‘우량 고객’이었다. C 씨는 “땅 파면 돈이 나오는 사람인데 중국에선 쓸 곳도 없고 정부 규제도 심해 욕구가 많이 쌓였을 것”이라며 “이런 고객은 우리가 스위트룸을 잡아주고 게임할 돈도 빌려주며 모셔온다”고 귀띔했다.

인구 56만 명의 도시국가 마카오는 요즘 우빙야우 씨처럼 돈 쓸 곳을 찾아 헤매는 중국인 관광객들로 넘쳐난다. 지난해 마카오를 찾은 중국인은 1616만 명. 마카오 전체 방문객 2800만 명의 58%가 중국인이었다. 지난해 마카오 국내총생산(GDP)이 326억 달러인데 관광객이 카지노를 하며 쓴 돈이 305억 달러(94%)일 정도로 카지노는 마카오의 핵심 산업이다. 마카오 정부는 카지노 업체에 수익의 40%를 세금으로 물려 지난해 117억6400만 달러를 세금으로 걷었다. 정부 세수입의 80%다. 12년 무상교육에 올해 초엔 전 주민에게 100달러를 보너스로 나눠 줄 만큼 국가 재정이 풍족하다. 대규모 카지노 34개가 번창하면서 일자리도 넘쳐 실업률은 2.1%에 불과하다.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구매력 기준)은 5만1400달러로 아시아 최고 수준이다.

마카오 관광산업은 침체에 빠진 카지노를 2002년 외국에 개방하면서 화려하게 부활했다. 현지 카지노 재벌 스텐리 호가 독점해온 이 사업에 미국 카지노 자본인 샌즈와 윈, MGM, 홍콩계 카지노 갤럭시 등이 300억 달러를 집중 투자했다. 당시 라스베이거스 카지노 자본에게 중국과 거리상 가깝고 언어도 비슷한 마카오는 최적의 투자처였다. 마카오 역시 중국 부자들을 끌어들이려 카지노를 적극 활용했다. 마카오 카지노의 매출 규모는 2006년 라스베이거스를 넘어서 세계 1위로 발돋움했다. 최근 셰러턴과 콘러드 등 대형 호텔체인이 마카오에 잇달아 카지노를 개장했고 W호텔과 샹그릴라 등도 카지노와 대형 명품점이 포함된 초대형 복합리조트를 건설하기 위해 용지 매립을 진행 중이다.

싱가포르도 마카오식 모델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2005년 싱가포르 정부는 40년간 금지해왔던 카지노사업을 새 성장동력으로 다시 추진했다. 2010년 샌즈 그룹으로부터 28억 달러를 투자받아 센토사 섬과 마리나베이에 대형 카지노 리조트를 조성했다.

<특별취재팀>

▽팀장

김상수 산업부 차장

▽팀원

정효진 강유현 박창규(산업부)

유재동 김재영 박선희(경제부)

김희균 남윤서(교육복지부)

허진석(문화부) 이정은(정치부)

신광영 기자(사회부)

이헌진 베이징 특파원(국제부)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채널A 인터넷 토픽!]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