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노인들, 초고령 애완동물 돌보다 허리 더 휜다

입력
수정2015.03.14. 오전 12:12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고바야시 가즈오(78·왼쪽)와 그의 부인 사치코(71)가 백내장으로 시력을 잃은16살짜리 애완견 세피아(맨 왼쪽 개)와 9살이 되면서 노화가 본격화된 이치고(가운데), 레오 등 3마리의 애완견을 안고 있다.

ㆍ노노 개호(老老介護·노인 간 돌봄)… 노인의 나라, 사람과 함게 늙어가는 개·고양이 어쩌나

세계 최고 ‘노인국가’인 일본에는 애완동물이 참으로 많다. 일본페트푸드협회는 애완용 개·고양이 수가 2000만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 주택가나 공원에 가면 개나 고양이를 데리고 산책 나온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상당수가 고령의 할아버지나 할머니다. 이뿐만 아니라 함께 나온 개나 고양이들 중에도 나이가 많이 들어 움직임이 둔한 동물들도 많이 보인다. 사람은 물론 애완동물까지 고령화하는 일본 사회를 보여주는 풍경이다.

일본인 평균기대수명은 남성 80.21세, 여성 86.61세로 세계에서 가장 길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이 25.9%에 이른다. 국민 네 명 중 한 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로 이미 접어든 것이다. 애완동물도 비슷한 추세를 보인다. 예전에는 8~9살 정도였던 개의 평균기대수명은 실내 사육이 늘고 의료·사육 기술이 발달하면서 14살 이상으로 늘어났다. 열 살 넘는 고령 개·고양이 비율이 이미 4분의 1을 넘으면서 ‘애완동물의 고령화’도 심각하다.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개나 고양이를 키우는 노인들이 갈수록 늘고 있지만, 체력이 한계에 이른 노인들이 함께 늙어가는 개와 고양이를 돌보면서 살아가는 것 또한 만만치 않은 일이다. 늙은 개나 고양이를 돌보느라 애쓰는 노인들을 찾아가 봤다.

■ 사람과 동물 사이 노노개호

도쿄(東京)도 가쓰시카(葛飾)구의 한 단독주택 문을 열고 들어가자 애완견 2마리가 다가와 펄쩍펄쩍 뛰면서 반긴다. 이미 나이가 많이 든 9살 토이푸들종인 ‘레오’와 같은 나이의 치와와종인 ‘이치고’는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이렇게 친밀감을 표시하곤 한다고 집주인 고바야시 가즈오(小林一男·78)가 설명했다.

16살짜리 요크셔테리어종인 세피아가 고바야시 가즈오의 집에서 일어서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세피아는 백내장으로 시력을 완전히 잃은데다 다리 등의 근육이 쇠약해져 혼자서 생활하기 어렵다. 치아가 모두 빠져 혀도 밖으로 삐져나와있다.

그때 레오와 이치고의 틈바구니에서 뒤척이는 개 한 마리가 보였다. 낯선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 일어나려고 애를 썼지만 바로 주저앉았다. 제대로 걷지도 못했고, 방향감각도 없어서 보는 사람까지 불안했다. “16살 우리집 장남 ‘세피아’예요. 요크셔테리어종이고요. 백내장 등 안과질환이 심해 두 눈이 보이지 않는 데다 다리 근육이 약해져서 저래요. 그래도 손님이 반가운 모양이네요.”

고바야시의 일과는 그의 표현대로 ‘아들 3형제’와 함께 시작돼 그들과 함께 끝난다. 그가 키우는 애완견은 모두 수놈이다. 부인(71), 직장생활을 하는 딸(49) 등과 함께 사는 고바야시는 16년 전 세피아를, 9년 전 레오와 이치고를 가족으로 맞아들였지만 자신과 개들이 함께 늙어갈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건강 하나는 자신 있었어요. 나나 개들이나 언제까지나 건강할 줄 알았죠.”

10여년이 지난 지금 고바야시 부부의 생활은 늙은 세피아와 레오, 이치고를 돌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잘 보이지 않고 걷지도 못하는 세피아는 부부의 도움 없이는 하루도 살아갈 수 없다. 세피아는 5~6년 전부터 백내장을 앓았지만 늙은 개를 마취한 뒤 수술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수의사의 판단에 따라 그냥 키우고 있다.

아침에 일어나 맨 처음 하는 일은 세피아의 기저귀를 풀어주는 것이다. 건강할 때는 스스로 대소변을 가렸지만 요즘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개가 잠들기 전 꼭 일회용 기저귀를 채운다. 정해진 시간에 식사와 물을 챙겨주고 정해진 날짜에 목욕을 시켜주는 것도 고바야시 부부가 빼놓을 수 없는 일과다.

고바야시 부부의 가장 큰 고민은 갈수록 늘어나는 애완견 치료비다. 8만엔(약 80만원) 정도의 연금과 아르바이트 수입으로 알뜰살뜰 살고 있는 부부가 매달 애완견 치료에 쓰는 돈은 평균 3만엔(약 30만원)에 이른다. 고바야시는 요즘 레오와 이치고에게 운동을 시키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걸어다니는 종합병원’ 신세가 된 세피아의 사례를 통해 애완견 운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부부의 바람은 자신들이 살아 있는 동안 애완견 3마리 모두의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다.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 이놈들이 떠나야 마지막까지 보살펴 줄 수 있으니까요. 지금 형편으로는 애완견 요양시설에 맡길 수도 없고, 딸에게 짐을 남길 수는 없잖아요.” 부인 사치코(早智子)는 “사람은 부모보다 먼저 죽으면 불효지만 애완견은 부모(주인)보다 먼저 죽는 것이 효도”라고 말했다.

■ 애완동물 전문 요양시설도 ‘북적’

일본의 유통 대기업인 이온이 설립한 애완동물 전문 요양시설의 직원이 노환으로 스스로 음식을 먹기 어려운 개에게 주사기를 이용해 먹이를 주고 있다. | 이온펫 웹사이트

“미안하지만 이제 우리는 떨어져서 살아야겠구나. 내가 더 이상 너를 돌봐 줄 수 없게 됐다.”

도쿄에서 혼자 사는 이와이 준코(岩井順子·67·가명)는 얼마 전 애완견을 동물 전문 요양시설에 맡겼다. 무릎과 허리가 불편해 걷기조차 쉽지 않은 이와이가 14년 동안 가족처럼 키워온 개와의 이별을 결심한 데에는 이유가 있다. 수시로 짖어대는 등 치매 증상을 보이는 데다, 개가 여기저기 아파하고 있어 혼자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와이가 개를 위해 요양시설에 매달 내는 돈은 월 7만7000엔(약 75만원)으로 결코 만만치 않은 금액이다. 그는 “사실 부담스러운 액수이지만 수의사를 비롯해 전문가의 보살핌을 받으면서 말년을 보낼 수 있게 해준다고 해서 결정했다”면서 “노환이 심각한 사람이 비슷한 처지의 개를 돌보면서 살아가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애완동물 전문 요양시설은 갈수록 늘고 있다. 역시 사람과 동물의 ‘동반 고령화’ 탓이다. 특히 독신으로 살면서 개나 고양이를 키우던 사람이 질병으로 쓰러져 불가피하게 전문시설을 찾는 경우가 많다. 수요가 늘자 대기업까지 애완동물 요양시설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일본 최대 유통업체인 이온그룹은 지난해 지바(千葉)시의 대형 쇼핑몰에 수영장과 체육관까지 갖춘 애완견 요양시설을 열었다. 쇼핑몰 안에 있는 동물병원의 수의사가 24시간 대기하며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24시간 누워만 있는 개나 고양이의 경우 2시간에 한 번씩 눕는 방향을 바꿔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월 이용 요금은 체중 5㎏ 미만인 애완동물은 10만엔(약 100만원), 15㎏ 미만 15만엔(약 150만원), 15㎏ 이상 20만엔(약 200만원)으로 정해져 있다.

집에서 개나 고양이를 돌보는 고령자들에게는 애완동물 치료비 부담이 크다. 애완동물보험을 취급하는 한 기업의 조사결과, 2009년 평균 3만9000엔(약 39만원)이던 애완동물 1마리의 연간 치료비가 지난해에는 7만5000엔(약 75만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동물이 늙어가면서 복합적인 질병을 앓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애완동물 보험에 가입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일본의 애완동물 보험 가입 건수는 2009년 40만건에서 지난해 96만건으로 늘었다.

<글·사진 도쿄 | 윤희일 특파원 yhi@kyunghyang.com>

모바일 경향 [경향 뉴스진 | 경향신문 앱 | 모바일웹] |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 [페이스북] [세상과 경향의 소통 커뮤니티]

- ⓒ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신문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