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정치 >

6·25 전쟁 한국지원국 63개국으로 확정

(서울=뉴스1) 김정욱 기자 | 2012-05-10 09:02 송고
6·25 전쟁지원국 현황연구’ 포럼© News1  


 
한국전쟁 당시 한국을 지원한 나라가 그 동안 알려져 왔던 41개국보다 22개국 늘어난 63개국으로 확정됐다.

 

국방부는 10일 오후 서울 용산 국방회관에서 ‘6·25 전쟁지원국 현황연구’ 포럼을 개최하고 주제발표 및 토론을 거쳐 이같이 확정했다고 밝혔다.

 

그 동안 6·25전쟁 지원국 현황과 관련해 국방부는 한국동란전란지(1951년~1953년)를 바탕으로 41개국이 한국 지원국이라고 공식 인정해왔다. 하지만 지난 해 7월과 10월 ‘6·25전쟁 물자지원국 현황연구’ 등을 실시해 지원국을 60개국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사단법인 월드피스자유연합은 지난 해 자체 조사연구를 통해 6·25 전쟁 당시 우리나라를 지원한 국가는 67개국이라고 확정했다. 이와 함께 월드피스자유연합은 한국전쟁이 가장 많은 국가가 지원한 전쟁으로 세계기네스북에 관련 내용을 등재했다. 월드피스자유연합은 6·25 전쟁 때 한국 지원의사를 표명하거나 유엔의 지원 결의에 찬성의사를 밝힌 7개국을 지원국으로 포함시켰다.

 

이에 국방부 6·25사업단과 군사편찬연구소는 비밀에서 해제된 6·25전쟁 관련 미국 정부 문서와 유엔 보고서 등을 분석해 우리나라 지원국 현황을 연구해왔다.

 

군사편찬연구소는 1950년 전쟁 발발 시점부터 정전 이후 유엔한국재건단이 존속한 1958년까지 구체적인 지원 시기와 국가, 내용을 구분한 뒤 관련 문건들을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전쟁 당시 유엔을 중심으로 우리를 실제 지원한 나라는 군사지원국 16개국, 의료지원팀 5개국, 물자지원 39개국(전후복구지원국 7개국 포함) 등 모두 60개국이다.

 

지원의사를 밝혔지만 자국 사정 등으로 실제 지원을 하지 못한 브라질, 볼리비아, 니카라과 등 3개국도 이번에 지원국으로 포함됐다.

 

브라질의 경우 1950년 9월 유엔의 요청에 따라 270만 달러 상당의 물자를 지원하기로 했으나 자국 사정으로 1958년까지 지원하지 못했다.

 

볼리비아는 전문장교 30명 파견을 제안했으나 유엔에 의해 받아들이지 않았고, 니카라과는 1950년 11월 쌀 지원을 제안했지만 수송문제로 인해 실제적 지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6·25 전쟁지원국 현황연구’ 포럼 월터 샤프 사령관10일 국방회관에서 열린 ‘6·25 전쟁지원국 현황연구’ 포럼에 참석한 월터 샤프 전 한미연합사령관. © News1



 
민간단체인 월드피스자유연합의 자체 조사 결과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포르투갈, 스페인, 아일랜드, 이라크 등 4개국은 유엔의 지원결의에 찬성의사를 표명했다. 그러나 실제 지원의사 등은 밝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이번 국방부가 확정한 지원국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국방부가 10일 확정한 6·25 전쟁 당시 한국지원 국가 63개국의 세부적 내용을 보면 △참전국(군사지원국)-미국, 영국, 호주, 네덜란드, 캐나다, 뉴질랜드, 프랑스, 필리핀, 터키, 타이, 그리스, 남아공, 벨기에, 룩셈부르크,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등 16개국 △의료지원국-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등 5개국 △물자지원국-과테말라, 도미니카, 서독, 라이베리아, 리히텐슈타인, 레바논, 모나코, 멕시코, 버마(미얀마), 베네수엘라,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스위스, 아르헨티나,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이란, 이집트, 인도네시아, 일본, 아이티, 에콰도르,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자메이카, 대만, 칠레, 쿠바, 캄보디아, 코스타리카, 파나마, 파라과이, 파키스탄, 페루, 헝가리, 교황청 등 39개국 △물자지원 의사 표명국-니카라과, 브라질, 볼리비아 등 3개국 등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6·25전쟁 당시 국제사회가 93개국의 독립국가로 구성돼 있었고 이 중 유엔 회원국은 60개국에 불과했다”며 “이를 감안하면 전 세계 국가 가운데 63%가 한국을 지원한 셈이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번에 확정한 결과를 국방백서와 공간사에 게재하고 유관부처와 협조해 교과서와 각종 기록물을 개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세계기네스북 재등재도 추진할 방침이다.
 


kj@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